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웨이브 [악귀] ‘악귀’에 덜 홀린 김은희 작가

웨이브 [악귀]


김은희 작가는 SBS와 함께 ‘싸인’ ‘유령’ ‘쓰리 데이즈’를 연달아 선보이며 국내 드라마 시장에 장르물 신호탄을 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이후 tvN에서 ‘시그널’, 넷플릭스에서 ‘킹덤’ 시리즈를 선보이며 장르물의 대가이자 대한민국 최고의 드라마 작가 중 한 명으로 올라섰다. ‘악귀’는 여름 시즌을 겨냥한 공포 드라마이자 김은희 작가의 SBS 귀환작이다. 이런 점 때문인지 방영 전부터 높은 관심을 끌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악귀’는 조금 더 악귀에 홀려야 하지 않았나 싶은 작품이다. 지상파라는 점에서 수위 조절이 있어 한계를 보였던 것인지, 전작 ‘지리산’이 흑역사가 아닌 하락세의 전초를 보여준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작품 자체만 보았을 때는 예고편이 하이라이트가 여겨질 만큼 아쉬움이 남는다. 우선 공포를 전면에 내세웠음에도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부족한 장르적 쾌감이 가장 크다.     


이 작품은 악귀가 들린 흙수저 청춘 구산영과 귀신을 보는 민속학 교수 염해상을 메인으로 내세웠다. 여기에 공포 장르가 스릴감을 주는 요소인 범죄 장르의 요소를 더하고자 형사 캐릭터로 홍새를 등장시킨다. 이런 캐릭터 구성만 보면 극적으로 탄탄한 균형을 보여준다. 산영은 공포의 ‘문’을 열고 들어온 존재, 해상은 이 공포와 맞서며 퇴마에 나서는 인물, 홍새는 세상의 눈으로 사건을 바라보며 흥미를 더하는 조미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극적인 균형이 꼭 장르적 쾌감으로 연결되는 건 아니다. 도입부 산영의 아버지 강모가 악귀한테 자살을 당하는 장면을 제외하면 그럴듯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 1화가 드라마를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공포의 매력 포인트를 살리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지상파의 수위조절 문제로 볼 수도 있지만 심리적인 두려움이나 시각적인 효과, 극적인 분위기 모두 잡지 못했다.     


이런 장르적인 매력 발산의 실패는 연출의 문제로 볼 수도 있다. 스토리의 전개가 작가의 몫이라면 시각적인 인상은 연출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산영의 몸속으로 들어간 것으로 추정되는 머리 푼 귀신이나 도입부 해상이 자살을 이끄는 악령에게서 사람을 구하고자 하는 장면은 더 자극적으로 표현될 가능성이 있었지만 그러지 못했다. 산영의 몸에서 악귀가 나오고 첫 살인을 저지르는 장면 역시 동적인 카메라 워크가 무색할 만큼 역동적인 두려움을 자아내지 못했고 말이다.     


극적인 측면에서는 1화부터 많은 걸 담아내려다 보니 정작 에피소드의 매력은 놓쳐버렸다. 산영은 흙수저 청춘이라는 점을, 해상은 악귀를 보는 민속학 교수라는 점에 더해 과거의 아픔 때문에 아직 온전한 어른이 되지 못한 점을 보려주려다 보니 이 지점에 많은 걸 할애한다. 산영의 에너지와 해상의 독특한 유머가 긴장감이 넘치는 분위기 속 쉼표가 되어줘야 했는데, 마침표가 되어 극 전체의 색을 자아내다 보니 다소 유치하게 느껴진다.     



이런 분위기를 더욱 가중시키는 건 회차별 에피소드를 풀어가는 방식이다. 공포 장르에서 에피소드를 풀어가는 방식은 사건 발생 후 이를 추리하는 과정이 주는 흥미다. 학교폭력을 당한 학생이 악귀가 되었다는 점을 빠르게 공개하며 추리의 맛을 떨어뜨린 것에 더해 여자아이의 울음소리, 죽은 자에게서 오는 전화 등 등골을 서늘하게 만드는 요소들이 몰카범 오해와 추격전으로 분위기가 상쇄되며 제 역할을 해내지 못했다.     


김은희 작가의 라이벌은 과거의 김은희가 아닌 김은희 키즈들이다. ‘싸인’과 ‘유령’ 이후 국내에서도 미드 같은 장르물이 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열렸고 이후 우후죽순 장르물이 쏟아졌다. 이후 장르물에 도전하며 김은희의 뒤를 이은 수많은 작가들은 꽤나 걸출한 작품들을 완성했다. 순수 공포장르만 봐도 ‘손 the guest’와 ‘방법’이 호평을 자아낸 바 있다. 과거의 자신을 넘는 게 문제가 아니라 왕성해진 장르물 시장에 수많은 경쟁자들이 등장한 것이다.     


‘악귀’는 제대로 미치길 바란 시청자들이 덜 미친 김은희 작가의 글빨에 다소 아쉬워할 1화를 선보였다. 청춘, 어른, 돈이라는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극에 녹여내기 위한 성숙한 시도가 무섭게가 아닌 무겁게 극을 만들어버린 기분도 든다. 다만 인물 사이의 관계를 탄탄하게 구성했다는 점과 민속학에 기반을 둔 미스터리가 앞으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악귀에 제대로 홀린 듯한 장르적 쾌감만 자아낸다면 충분히 만족스런 작품이 나올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귀공자] 김선호, 스크린 데뷔부터 터진 마성의 매력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