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로메이징 Jul 28. 2021

이중언어 하면 헷갈려서 안돼!

정말?

어릴 때부터 한국어와 영어를 함께 가르쳐야 할까, 한국어를 하고 나서 영어를 가르쳐야 할까 많이 부모들이 고민을 하고 있고 나 또한 그런 질문을 많이 받아봤다. 


그 고민을 하는 대부분 부모들의 이유는, 두 가지 언어를 함께 가르치면 아이가 헷갈려한다는 얘기 때문이었다. 나 스스로 확실한 답변을 얘기할 수가 없었기에 다양한 논문들을 살펴보았다.


일단 먼저 살펴봐야 할 것은 '사람들이 왜 모국어 외의 다른 언어를 하는 아이들이 헷갈려한다고 생각을 할까?'이다. 바로 코드 스위칭한 언어에서만 국한해서 보는 어휘력 판단 때문이 아닐까.


코드 스위칭


"엄마, slide 탈래.", "I want to eat 고기." 이렇게 두 가지 언어를 섞어서 얘기하는 것을 코드 스위칭이라고 한다. 사실 이 부분은 이중언어를 하는 대부분의 아이들에게서 보인다. 사실 필자는 한 번도 이걸 문제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오히려 이것을 아이들이 헷갈려해서 보이는 현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 그게 새로웠다.


이걸 한 번도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이유는 미국 한인타운에 사는 어른들도 코드 스위칭을 하기 때문이다. 그냥 누구나 하는 무척이나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럼 어른들이 헷갈려서 코드 스위칭을 하는 것일까? 아니다. 그 언어로 아예 모르는 단어 거나 그 언어로 그 단어가 빠르게 생각나지 않을 때, 다른 언어에서 해당 개념의 단어를 빌려오는 것뿐이다. (Language mixing in infant bilingualis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Lanza, 2004)

 

나 또한 경험했던 것이다. 대학교 여름방학 때마다 한국에 왔는데 코드 스위칭을 정말 많이 했다. 이유는, 말을 빠르게 하는 편인데 한국어 단어를 생각해내려면 시간이 필요했다. 차분하게 잠깐 시간을 갖고 생각하면 충분히 한국어로만 얘기할 수 있었지만 빨리 얘기하고 싶어 하는 나의 성격 때문에, 또 생각해내야 하는 귀찮음 때문에 (그게 한국어던 영어던) 수시로 생각나는 단어를 편하게 얘기했던 것뿐.


아이들도 마찬가지로 다른 언어로부터 생각나지 않는 단어를 빌려올 뿐이다. 이는 혼란스러움이 아닌 이중언어 아이들만의 능력이다. 이 언어에서 저 언어로 옮겨 다닐 수 있는 능력!


심지어 2살짜리 이중언어 아이들도 상대방이 어떤 언어를 쓰는지에 따라 자신의 언어를 조절한다 (Talking with strangers; Genesse, Boivin, and Nicoladis, 1996). 만 2살인 우리 첫째 아이 또한 그러하다. 아기들이 태어났을 때부터 언어의 리듬이 다름을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중언어 아이들이 헷갈린다기보단 언어를 분별하는데 더 예민할 뿐이다.


이중언어 아이들이 헷갈린다는 과학적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엄마만 마음이 있다면 어렸을 때부터 두 가지 언어로 얘기해줘도 괜찮다는 것.


다만 아이에게 언어적 문제가 보인다면 그 문제가 전반적인 언어 발달에서 오는 문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취해야 한다.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다.


전반적인 언어발달에 대한 문제라면 모국어와 두 번째 언어 모두에서 문제가 보일 것이다. 두 언어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억해야 할 점은 영아(36개월 미만) 같은 경우 언어 표현력보다 언어 이해력을 보고 판단한다. 말을 안한다고 언어발달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아니란 말이다. 이해를 잘 하고 있다면 문제가 없다.


부족한 어휘력?


부모들의 또 다른 걱정거리는 이중언어 아이들이 상대적으로 어휘력이 부족하다는 점. 한 언어만 놓고 보았을 때는 어휘력이 부족해 보일 수도 있지만, 두 가지 언어 사이의 '개념적 어휘(Conceptual vocabulary)'를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개념적 어휘로 계산할 때는 이렇게 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한국어로 알고 있는 단어가 50개, 영어로 알고 있는 단어가 50개이면, 두 가지를 더한 후 그중에서 같은 개념의 단어(예: '개'와 'dog')는 빼는 것이다. 그렇게 계산하면 이중언어 아이가 알고 있는 어휘수나 단일 언어 아이가 알고 있는 어휘수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이다 (Pearson, Fernandez, Oller, 1993; Pearson & Fernandez, 1994).


물론 한 가지 언어만 놓고 봤을 때 어휘력이 차이 나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그 현상은 흐릿해질 것이다.



우리 아이는 30개월 이중언어 아이이다. 어릴 때부터 나와는 영어만 사용하고 아빠와는 한국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한 번도 이 아이가 헷갈린다고 생각 든 적이 없다. 단지 모든 개념에 두 가지 이름이 있다고 생각할 뿐. 3개월인 둘째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영어를 쓸 때와 한국어를 쓸 때의 반응이 다른 걸 느낀다. (항상 느껴왔으나 뒷받침할 연구결과가 필요했는데 드디어 찾았다!)


이중언어를 한다고 아이들이 헷갈려하지 않는다. 부모가 해야 할 역할은 꾸준하게 두 가지 언어를 듣고 말할 수 있는 풍부한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습득 vs. 학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