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dit orozi Nov 07. 2018

하층민이라고 주인공이 되지 말란 법이라도?

제르미니 라세르퇴 / 공쿠르 형제

 

 공쿠르 형제 중 형인 에드몽 드 공쿠르Edmond˗Louis˗Antoine Huot de Goncourt는 1822년 프랑스 북동부 지방의 낭시Nancy에서, 동생 쥘 드 공쿠르Jules˗Alfred Huot de Goncourt가는 1830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들은 ‘드 공쿠르’라는 이름답게 귀족 공쿠르 가문으로 태어났지만, 정작 군인이었던 아버지 마르크 피에르는 쥘이 4살 때 사망하고 만다. 가문이 가문인 덕에 경제적 어려움은 없었지만, 공쿠르 부인은 공쿠르 형제의 교육에 온 힘을 쏟았다.

 두 사람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고, 어머니가 평생 일하지 않아도 쓸 수 있을 만큼의 유산을 남기고 죽자 형제는 집필 활동을 시작했다. 하지만 그들의 첫 작품인 『18XX년대』는 제2 제정을 일으킨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묻혀버린다. 이후 15개월 정도 그들의 사촌이 창간한 잡지의 기자로 일하게 되고, 그 시간 동안 당대의 문인들과 친분을 쌓았다. 고티에를 문학적 스승으로 삼고, 플로베르와는 친한 친구 사이가 되어 그의 별장에 자주 방문하며 교류했고, 에드몽이 작품을 구상하고 틀을 짜면 동생 쥘이 문체를 다듬는 방식으로 작품 활동을 했다. 

 1870년 동생인 쥘이 40세의 나이에 매독으로 세상을 떠나고 형 에드몽은 기 드 모파상, 에밀 졸라 등과 교류하며 혼자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쥘 생전에도 기자 출신답게 그들은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글쓰기를 중요시했다. 철저한 고증은 사실적인 묘사로 이어졌고, 그들의 삶을 문헌화한 『일기』는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사회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렇게 빼곡한 자료와 취재를 중심으로 사실적인 묘사와 화려한 문체로 장식된 작품들이 탄생했다. 그리고 이런 사실 위에 임상의학적인 과학 지식을 덧붙여 파리 서민들의 모습을 연구하려 했다. 이 형제의 노력은 이후 『필로멘느 수녀(1861)』와 『제르미니 라세르퇴(1865)』 등의 작품에서 결실을 맺는다. 

 특히 『제르미니 라세르퇴』의 서문은 자연주의 사조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데, 여기서 공쿠르 형제는 기존의 문학 내에서 하층민이 소외되어온 것은 아닌지 자문하고 그들을 묘사할 것이고 이들의 묘사에 과학적이고 사회적인 조사가 담겨있음을 밝힌다.

 1896년, 쥘 사후 혼자서 작품활동을 이어가던 에드몽도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다. 이후 그들의 유산은 에드몽의 유언에 따라 ‘공쿠르 상’의 창립기금과 ‘아카데미 공쿠르’ 회원의 보수로 쓰였다. 공쿠르 상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으며, 프루스트, 앙드레 말로, 시몬느 드 보부아르, 미셸 투르니에, 마르그리트 뒤라스 등 프랑스문학의 거장들이 공쿠르상을 수상했거나 공쿠르상 수상을 계기로 주목받는 작가가 되었다.     


 

『제르미니 라세르퇴』는 공쿠르 형제가 1865년에 쓴 소설이자 그들의 대표작이다. ‘제르미니 라세르퇴’라는 파리 하녀의 삶을 병리학적 분석을 통해 조명한 작품으로, 실제 그들의 하녀인 로즈 말랭그르Rose Malingre를 모델로 한 것이다. 이 작품의 서문은 자연주의의 시작을 알린다고 평가된다. 그렇다면 이 작품의 서문 이후의 문장들, 그러니까 소설 내부에는 어떤 사실주의적 요소가 자리 잡고 있을까?      


 그는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저잣거리 입구에 파란 매대를 설치하고, 도금된 촛대, 상아색의 동그란 냅킨, 검은 바탕에 금빛 레이스 세공이 되어있는 석판화, 중간중간 비어있는 뷔퐁 백작의 책 서너 권을 신중하게 정리하고 진열했다. 그는 도금된 촛대가 안겨 검은색 부티크를 차렸다. 그리고 경매품 감정사들이 묵고 있는 호텔 아래 쪽 방들을 들락날락하며 수집품 장사를 시작했다. 그는 그릇부터 닭까지, 팔 수 있는 것이라면 모조리 내놨고, 장 자크 루소의 나막신 한 짝과 와토가 준 수입에 도취하였다. 그래서 그는 우산 수리공 맞은편 통로 오솔길에 와토가 서명한 발뤼의 수채화도 팔았다.     


 우선 이 대목에서 공쿠르 형제의 기자로서의 면모를 볼 수 있다. 그들은 작품을 쓰는 것에 있어 직접 수집한 문헌과 취재한 것들을 기반으로 작품을 썼다. 공쿠르 형제는 작가이자 예술평론가였고, 소설 속에 등장한 안토니 와토Antoine Watteau의 평전을 썼을 정도로 동시대의 작가와 화가, 예술가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 루소나 와토, 발뤼 등 실제 그 시대의 예술가들을 소설 속에 삽입하면서, 소설의 등장인물들이 당대에 살아 숨 쉬고 있는 인물임을 부각했다.

 그리고 『제르미니 라세르퇴』는 어린 제르미니가 15살 때 파리로 상경한 이후, 제르미니의 말년까지 작품은 파리를 배경으로 그려진다. 그리고 공쿠르 형제는 이 파리라는 공간의 묘사에도 힘을 쏟았다. 다음 대목은 작품 중 제르미니가 연인인 주피용과 함께 나들이를 가는 묘사 부분이다.


 오른쪽에서 그녀는 생드니 대성당의 커다란 공간 을 보았다. 왼쪽에는 무질서하게 지어진 집들 너머로, 생-투앙 위에 누워 있는 태양의 체리 빛 불꽃이 전율하며 하늘을 받드는     붉은 기둥처럼 회색빛 하늘 아래 놓여있었다. 


 

실제로 파리의 클리낭쿠르의 제방 위로 올라가면 왼편에는 생-투앙이, 오른편에는 생드니 성당이 보인다. 더욱 정확하게 보자면 다음과 같다. A점은 생-투안 벼룩시장을, B점은 생-드니 대성당을 가리키며, 화살표는 작중 묘사된 제르미니의 시선을 유추해본 것이다. 이처럼 공쿠르는 파리 하녀의 삶을 그리기 위해,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하층민의 삶을 묘사하기 위해 하녀 주위의 공간적 배경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며 사실성을 강조했다. 

 또한 이 작품의 백미는 총 70장으로 이루어진 작품에서 2장에 속하는 부분이다. 작품의 제목이자 주인공인 ‘제르미니’만큼이나 중요한 그녀의 주인 마드무아젤 드 바랑듀이Mlle de Varandeuil의 삶을 다루고 있다. 마드무아젤 드 바랑듀이의 어린 시절은 프랑스 대혁명 속 귀족의 삶이었다. 어떻게 본다면 마드무아젤 드 바랑듀이의 삶에는 공쿠르 형제 혹은 그들의 아버지의 삶이 투영된지도 모르겠다. 샤를 10세로부터 ‘드 바랑듀이’를 받은 바랑듀이 씨의 모습에서 루이 16세로부터 ‘드 공쿠르’라는 이름을 받은 공쿠르 형제의 증조부가 보인다. 어쨌거나 프랑스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혁명을 다루고 있기에 한 두 페이지의 짤막한 챕터들로 구성된 소설에서 작가가 가장 긴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쇼메트는 곧 이 ‘매우 유능해 제 몫을 하는’ 바랑듀이 씨와 약속했고, 사람들이 진행 중인 회합에 관해 이야기하는 동안 어린 바랑듀이를 캐비닛으로 들어가게 했다. 그녀는 그 캐비닛 속에서 성별을 나타내기라도 하듯 가슴을 드러낸 두 중년 부인을 보았다. 


 쇼메트Pierre Gaspard Chaumette는 프랑스 대혁명 당시 급진과격파였다. 작품 내에서는 귀족의 이름을 버린 드 바랑듀이가 살아남을 수 있게 해준 인물로, 마드무아젤 드 바랑듀이에게 세례명을 선사하고 나름의 반환점을 제시해준다. 이 대목에서 ‘가슴을 드러낸 두 중년’은 프랑스 대혁명의 상징적인 가상 인물인 ‘마리안’을 가리킨다. 이뿐만 아니라 학문이나 예술을 취미로 삼는 경향을 가리키는 ‘딜레당티즘’을 언급하며, 19세기 프랑스의 허영심 가득한 계층을 풍자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하층민의 삶을 다루고 있다. 작품의 주된 테마는 성욕을 이기지 못하고 삶이 붕괴된 하녀의 이야기다. 2018년에서야 비루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예술작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19세기 프랑스는 그렇지 않았다. 공쿠르 형제 이전의 사실주의 작가들, 그러니까 스탕달이나 발자크, 플로베르의 작품 속에서도 하층민이 주인공이 된 적은 없었다.      

다시 왜? 아마도 내가 명문 태생의 문인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하여 민중 또는 달리 부르고 싶다면 하층민들이 내게 발견되지 않은 미지의 사람들의 매력, 여행자들이 찾아 나서는 이국 정서 비슷한 것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귀족 태생의 공쿠르 형제가 하층민의 삶에 귀 기울인 것은 추악하고 혐오스러운 것에 끌렸기 때문이다. 그들의 삶은 언제나 귀족 혹은 저명한 문인들과 함께였다. 하지만 문학의 독자층은  예전처럼 귀족과 살롱에 거주하는 사람에서 중간 계층으로, 더 나아가 하층민으로 나아갔다. 서문에서 밝힌 것처럼, 공쿠르 형제는 상류층과 독자들의 고상하고 우아한 취향에 반하여 사회 속에서 외면 받는 이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어 했고, 그 결과 탄생한 작품이 『제르미니 라세르퇴』다. 그렇기 때문에 일종의 ‘변화의 시발점’이라고 볼 수 있는 이 작품의 가치를 작품 외적인 부분에서 찾는다고 해서 무리는 아닐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의 반항과 당신의 부조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