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세무사 변찬우 Mar 02. 2022

2022년 종합소득세율 안내

안녕하세요. 국세청 경력 세무사 변찬우입니다.

사업자나 프리랜서분들은 매년 5월 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적용받는 종합소득세율은 몇%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2022년 종합소득세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란 개인이 1년간 발생한 소득을 신고하고 납부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개인이 얻은 소득에 대해 세법상 정해진 범위에 소득이 포함된다면 소득세를 부과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법상 정해진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부동산 임대),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모두 합산한 금액에 대해 다음 연도 5월에 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신고 기간 : 매년 5월 1일 ~ 31일

과세기간 : 전년도 1월 1일 ~ 12월 31일



2022년 종합소득세율

종합소득세율 구조는 누진세 구조로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소득 구간마다 세율 차등을 주기 때문에 많이 벌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받게 되어 소득이 증가할수록 세금이 증가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1,200만원까지는 6%가 적용되고 1,200만원부터 4,600만원까지는 1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3,500만원의 소득이 있다면

→ 1,200만원 × 6% = 72만원

→ 2,300만원 × 15% = 345만원

즉, 72만원 + 345만원 = 417만원이 본인이 낼 세금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일일이 계산하면 세금을 계산하기 복잡하므로 세금을 쉽게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이 있습니다.


아래 표를 누진공제를 적용하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계산법은?


 과세표준 금액이란 세금을 내야 할 대상 금액으로 필요 경비를 제하고 소득공제를 제한 최종적으로 세율을 곱하는 과세의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소득세는 종합소득 금액에서 소득공제를 차감하는 경우 종합소득 과세표준이 계산이 되며, 종합소득 과세표준에서 종합소득세율을 곱하면 소득세 산출 세액이 계산되어 세액공제와 감면을 차감하고 가산세를 더하는 경우 소득세 납부세액이 계산됩니다.


종합소득세 계산 흐름도                                



종합소득세 절세 방법은?


과세표준은 줄일수록 유리한데요.  소득 자체를 줄일 수 없으므로 소득은 늘리면서 과세표준을 내릴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평소에 각종 비용을 챙기셔서 준비를 잘 해두시는 게 좋은데요.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셔서 적격증빙 잘 챙겨두시는 만큼 소득세도 줄어들겠죠? 

https://blog.naver.com/silrity/222637827883





종합소득세 꼭 신고해야 하나요?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  각종 세액공제 및 감면을 받을 수 없으며 가산세를 부담하게 됩니다.

종합소득세가 계산이 되면 종합소득세의 10%를 지방소득세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시는 거 아시죠?  소득세 신고 후 개인지방소득세도 놓치지 말고 신고하셔야 가산세 부담이 없습니다.


이상으로 2022년 종합소득세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환급일)은 언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