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선지 Mar 12. 2020

'암흑의시대'라고? 중세는억울하다


우리는 중세라는 단어에서 대체로 어둠, 야만, 비위생, 흑사병, 마녀사냥 등 온갖 부정적 이미지를 떠올립니다. 그러나 중세는 암흑의 시대가 아니었습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Npath/202003121076026562


- 대 피터르 브뤼헐의 ‘혼인식에서의 춤’ –

       대 피터르 브뤼헐, ‘혼인식에서의 춤’, 1566, 패널에 유채, 119.4 x 157.5 cm, 디트로이트 미술관



우리는 중세라는 단어에서 대체로 어둠, 야만, 비위생, 흑사병, 마녀사냥 등 온갖 부정적 이미지를 떠올린다. 이런 인식은 고대문명을 계승한다는 기치 아래 중세를 전면 부정한 르네상스 인본주의와 중세를 미신과 비합리의 시대로 폄하한 18세기 계몽주의 역사관의 영향이다.


그러나 현대의 역사가들은 더 이상 서양 중세를 암흑의 시대로 생각하지 않는다. 중세시대의 건축물과 미술품, 문헌 자료들은 중세가 어둠의 시대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중세에는 찬란한 기독교 문화가 꽃피었고, 교회와 수도원을 중심으로 신학, 고전, 법학, 문학, 의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볼로냐 대학과 파리 대학 등 최초의 대학들도 등장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여유롭고 활기가 넘친 시대였고, 사람들은 높은 생활 수준을 누렸다. 물론 중세인들도 기근과 빈곤, 전쟁, 전염병으로 고통을 받았지만, 그것은 중세의 일부분일 뿐이다.


위 그림은 16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대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hel the Elder)이 농가의 혼인식 장면을 그린 것이다. 음식을 먹고 술을 마시고 춤을 추며 잔치를 벌이는 농민들의 즐겁고 활기찬 생활을 보여준다. 교회와 영주에게 핍박받는 중세인들의 비참하고 칙칙한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좁은 공간에 빽빽이 밀집된 인물들이 정밀한 관찰에 의해 세세히 묘사되어 있다. 중세 복장을 한 125명의 남녀가 야외 결혼식에 참석해 신랑 신부를 축하하고 있다. 신부는 당시 관습인 검은색 웨딩드레스를 입고 춤추고 있고, 술을 마시는 무리, 키스하는 커플들도 보인다. 맨 앞줄 오른쪽 끝에서 백파이프를 연주하는 음악가와 그 옆에서 춤추는 두 남자는 남성의 생식기 부분을 덮는 주머니인 코드피스(Codpiece)가 달린 바지를 입고 있다. 재미있게도 코드피스가 과장되게 불뚝 솟아 있는데, 화가는 남성의 왕성한 성적 에너지를 통해 농민들의 건강하고 원초적인 삶의 활기를 표현한 듯하다. 당시 교회는 춤을 사회악으로 보고 금지했지만, 사람들은 주일마다 교회 뜰에서 성가가 아니라 선정적인 연가와 이교도적인 민요를 부르며 춤을 추곤 했다. 심지어, 교회는 젊은 남녀가 은밀한 신호와 시선을 주고받으며 사랑을 키우는 장소이기도 했다.


중세인은 현대인과 많이 달랐을까? 그들도 우리처럼 뜨거운 피가 흐르는 인간이었고, 삶의 즐거움과 세속적 쾌락을 추구했다. 그리고 놀랍게도, 전염병에 대한 그들의 태도 역시 우리와 비슷한 점이 있다. 중세교회가 전염병은 신앙의 시험대이며 기도로 극복해야 한다고 설교했던 것처럼 오늘날에도 비슷한 말을 되풀이하는 이들이 있다. 또한 중세인들이 그랬듯이, 현대인도 전염병에 대한 가짜 뉴스에 쉽게 선동되고, 근거 없는 의학지식과 상술에 휘둘리며,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과 거친 분노에 사로잡힌다. 흔히 우리는 ‘중세적 광신’이란 말을 쓰며 중세를 경멸하지만, 정작 주변에서 이와 유사한 정치적 광신, 종교적 광신, 신념과 확증편향의 광신을 찾아보는 것 역시 어렵지 않다.


놀라운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류는 역사상 유례없는 자부심에 차 있지만, 중세인이나 우리나 생명을 위협하는 전염병의 공포 앞에서는, 언제든 비합리적인 사고와 행동을 할 수 있는 그냥 나약한 존재다. 누가 중세를 어둠의 시대라고 하는가. 중세는 억울하다.






이 칼럼은 어두운 이미지의 중세시대와 중세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다른 시각으로 보려는 글입니다. 중세를  암흑의 시대라고 하는 건 대체로 5세기에서 10세기까지의 중세 초기를 언급한 것입니다. 중세는 5-10세기를 초기, 11~13세기를 중기, 14~16세기 초까지를 말기로 봅니다. 사실, 14~16세기는 중세 말기라는 단어 대신, 따로 르네상스로 언급하여 근대의 시작으로 보는 것이 전통적인 관점입니다. 그러나 요한 하위징아 같은 역사가는 르네상스는 중세 말기에 불과하다고 주장했고, 많은 현대의 역사가들은 르네상스를 실질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지적, 이념적 변화 정도로 봅니다. 중세를 흔히 15세기 동로마제국의 멸망을 기점으로 딱 부러지게 끊는 전통적인 관점 때문에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이런 관점이 있다는 것을 간과하지만, 중세와 르네상스 간의 구분은 시기나 지역에 따라서도 매우 복잡합니다.


이 그림은 중세사의 고전인 아일린 파워의 <중세의 사람들 Medieval People> 속에 있는 브뤼헐의 그림을 참고하여 선정했습니다. 그녀의 책 속의 당시 파리의 중세 평민의 생활 모습이 이 그림과 딱 들어맞습니다. 브뤼헐의 그림은 중세 말기 사람들의 활기찬 모습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실  글 주제에 맞는 그림은 브뤼헐 작품 말고는 찾기 어렵습니다. 랭부르 형제의 <베리 공작의 기도서>의 달력 그림 정도가 있지만, 이 글의 흐름상 어울리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중세인에 대한 기존의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있고, 중세와 르네상스에 대한 시대 구분상의 기존의 익숙한 관점이 있기 때문에, 이 글 자체가 오해를 받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보충 글을 덧붙입니다. 
1500자로 제한된 칼럼 지면에 상세한 내용을 담기는 어렵습니다. 사실, 당시 화가들은 역사화나 종교화, 그리고 귀족, 왕족들의 초상화나 생활을 그렸지, 농민 등 피지배계층을 그리지 않았습니다. 17세기 지금의 네덜란드 지역은 스페인 왕정으로부터 독립한 데다가 칼뱅주의의 영향, 해상무역으로 골든 에이지를 이룩했고, 다른 유럽 지역과 다른 분위기를 갖고 있었습니다. 브뤼헐은 이 황금시대로 가는 길목에서 활동한 화가로서, 지역적 특성인지 그의 개성인지는 모르나, 농민들을 그린 아주 예외적인 화가죠. 다행히 우리는 그의 덕분에 중세 서민들의 생활 모습의 단편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그림이 그려진 시기는 1566년으로 근대에 가까운 중세 말기, 혹은 르네상스 후기입니다. 그렇다 해도 여전히 중세의 생활 모습이 많이 남아 있었겠죠. 갑자기 어느 세기부터 갑자기 근대의 삶의 모습으로 넘어가는 건 아닙니다. 이 그림은 중세의 삶의 모습의 많은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세 사람들의 칙칙한 이미지는 중세 일부 시기에 해당하며, 중세는 어둠, 근대는 계몽과 이성이란 이분법으로 보는 역사관의 산물입니다.



                                김선지 작가·'그림 속 천문학' '싸우는 여성들의 미술사' 저자








매거진의 이전글 전염병 앞에서, 이성은 잠들고 악마는 깨어났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