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금낭화 Feb 07. 2021

스무 살과 서른 살은 열정의 온도가 다르다

감상문

이 책은 여러 번 읽었다. 어릴 적 흔들리는 마음을 다잡고 싶을 때마다 이 책을 펼쳤다. 강한 언니의 딱 부러지는 조언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좋은 책이다. 

지나고 보니 스무 살과 서른 살도 어린 나이다. 이렇게 어릴 때는 젊음이란 큰 무기를 알아차리지 못한다. 정해지지 않은 미래에 대해 늘 불안해하고 혼란스러워했던 것 같다. 안정감을 찾고 싶어 이 시기가 빨리 지나가기를 바랐다. 편안한 노인이 되고 싶었다. 나이가 들어도 젊었던 때로 돌아가고 싶지 않을 줄 알았다. 

그러던 내가 나이가 들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20-30대를 그리워한다. 돌아갈 수 있다면 미래에 대한 걱정을 버리고 인생을 신나게 즐기며 살 수 있을 것 같다. 37살의 지은이는 그 깨달음을 혼자만 느끼기엔 아쉬워 이렇게 책까지 펴냈겠지?

일흔이 넘으신 어머님은 마흔에 뛰어다니셨다고 했다. 그 나이에는 못할 일도 무서워할 일도 없다고 하셨다. 나이는 항상 상대적인 것 같다. 누군가에겐 40대도 어린 나이인 것을 보면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것일지도...

책 제목만 보면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쓴 것 같다. 하지만 40대 여성이 읽어도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았다. 경험이 녹아있는 표현들이 책을 술술 읽게 만든다.

저자는 두 아이의 엄마이지만 싱글이다. 2년간 육아를 하느라 경단녀였다가 이혼을 하면서 재취업을 했다고 한다. 아이들은 고작 생후 18개월과 2개월이었다. 삶에 대한 절실함이 취업문을 열었다. 아이가 어려 회사를 잘 다닐 수 있겠냐는 면접관의 질문에 재치 있는 대답을 했다. 지금은 아이가 어려 직장을 다니기 힘든 시기가 맞지만 아이가 크면 더 잘 다닐 수 있지 않겠느냐고 했단다. 아이 엄마만이 생각할 수 있는 대담함이 느껴졌다.  

여자의 사춘기는 아이를 낳고서부터 인 것 같다. 나의 정체성을 고민하고 내가 진짜 하고 싶은 일을 생각하는 시기. 삶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것은 아이를 키우면서 시작되는 것 같다. 지은이도 두 아이를 책임지는 엄마가 아니었다면 이 책을 썼을까. 

이 책이 출간된 지 15년이 흘렀다. 지은이(박은몽)의 안부가 궁금해졌다. 인터넷을 뒤적였지만 그 이후 몇 권의 소설책을 쓴 것 외에는 정보가 없었다. 저자의 근황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 아쉬웠다. 이렇게 멋진 책을 썼다면 어딘가에서 이것과 걸맞은 일을 하고 있을 것 같았는데... (내가 정보를 못 찾는 것 일 수도 있다 --;;)

나도 이런 책을 쓰고 싶다. 누군가에게 찐하게 겪은 내 경험을 글로 들려주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책 내용)

20대는 무언가를 결정짓는 시기가 아니라 자신을 가다듬고 준비하는 시기다.

서른이 되었다고 해도 결정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러나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훨씬 더 강해져야 한다는 건 확실하게 깨달았다.

중요한 것은 몸의 나이가 아니라 마음의 나이다. 그리고 열정의 나이다. 아무것도 마음껏 힘껏 도전해보지 않고 나를 한번 제대로 펼쳐보지도 않고 이대로 서른을 보내기에는 찬란한 젊음이 너무 아깝다.

작가의 이전글 스펙보다 중요한 내 아이의 자존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