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상호 표 대중성의 완성
사회의 어두운 면을 직면하게 하는 돌직구식 연상호 화법도 물론 좋다. 그러나 <기생수: 더 그레이>는 영화 <부산행>으로 노는 물이 달라진 연상호 감독의 완벽 적응 신호탄이다. 영화 <염력>과 <반도>(부산행 2)에서 이루지 못했던 연상호의 대중성이 드디어 완성되었다. 연일 화제가 되며 넷플릭스 시리즈 #1에 머무르는 <기생수: 더 그레이>의 성공이 짜릿한 이유는 따로 있다. 함께 망했던 <반도> 팀과 다시 뭉쳤고, 모두의 장점을 살렸기에 더 짜릿하다.
브랜드 연상호
연상호 감독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다루는 스토리텔러다. <돼지의 왕> <사이비> 등 그의 애니메이션은 이제 초기 작품이라고 불러야 좋을 것 같다. 영화 <부산행>과 그 뒤로 이어진 장편 상업영화, 드라마를 거치며 연상호 작품은 진화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여전히 색채가 뚜렷하다. 선량함을 가장한 폭력적이고 탐욕스러운 사람, 단체가 등장하고 그래서 연상호 스토리의 캐릭터는 입체적이고 배경은 처절하다. 그리고 한국의 처절함은 세계적으로 급이 다르다.
원작을 계승해 다른 작품을 만들다
<기생수: 더 그레이>는 일본 작품 <기생수>의 콘셉트를 빌려왔다. 지구에서 인간은 해로운 존재가 되었다. 인간의 몸에 들어가 살며 인간을 먹는 본능에 충실한 기생 생물이 등장한다. 번식은 불가능한 기생 생물은 오로지 생존을 위한 발전을 하는데, 아이러니하게 생존을 고민하다가 인간을 배운다.
인간다움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교류를 통해 다른 종이 서로 이해하는 주제를 이어받았다. 종이 다른 생물이 교류하는 것, 기생 생물이 인간의 마음을 배우고, 사람이 마음을 열어 기생 생물과 협력하는 것. 기생 생물이 연민을 배우고 사람을 위로할 때는 희망을 느끼게 된다.
사회와 인간의 추악한 어둠을 고발하고 까발리는 것은 오히려 쉽다. 대중을 위한다면 대중의 마음을 보듬고, 위로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다 같이 죽자'보다 '그래도 살자'라는 위로는 하루를 견디게 해준다. 사람과 기생 생물이 서로를 이해하면서, 연상호 브랜드가 대중적이 되려면 필요했던 부분이 드디어 완성되었다.
<반도> 팀이 다시 모이다
원작의 콘셉트와 주제를 계승하지만, 한국을 배경으로 하는 다른 작품이다. 원작이 있는 작품을 만드는 아주 모범적인 결과가 탄생했는데, <반도> 팀이 다시 모인 힘이다. <기생수: 더 그레이>에는 연상호 감독 특유의 어두움, 상처와 아픔, 폭력성에 류용재 작가 특유의 깨방정, 재치, 기발함이 더해졌다. 두 사람 모두 장르를 잘 아는 사람에 각자의 장점만 모았다. 모든 것이 적당하니 좋지 아니한가.
원작에서 오른손이었던 기생 부위를 얼굴로 바꾼 덕에, 주인공 수인은 풍물패의 상모돌리기 액션을 선보인다. 관객은 예측불허의 액션에 눈을 뗄 수 없다. 배우 이정현은 작은 체구에서 뿜어 나오는 에너지가 대단하고, 광기 어린 캐릭터를 잘 소화한다. 그녀의 광기는 섬뜩할 정도로만 적당히, 초반에 드러낸다. 배우 구교환의 날렵함과 착착 붙는 대사 구사력, 배우 권해효, 김인권의 연기는 말할 필요도 없다.
결말에서 원작의 주인공 신이치 이즈미와 오른손이 미기가 의미심장하게 등장할 때는 즐거운 비명을 지르게 된다. 마치 류용재 작가가 아이디어를 내고, 연상호 감독이 '좋아, 이렇게 등장시키자' 했을 것만 같다.
실패가 있기에 성공하다
<반도>는 장점을 찾을 수가 없어 극장에 앉아있기에 너무 고통스러웠다. 재능을 발휘하지 않고 이름만 걸어 세우는 건 아닌지 안타까운 영화였다. 그러나 실패하지 않으면 발전할 수 없다. 안이한 선택 때문에 실패했다면, 따끔한 지적이 필요하다.
더 중요한 것은 기회가 따라야 한다. 실패에서 배웠고 성장했다는 것을 증명할 기회 말이다. 누군가는 실패하고 주저앉지만, 누군가는 실패에서 배우고 훨씬 더 크게 성장한다. <기생수: 더 그레이>의 작품성과 대중적 성공이 더 짜릿한 이유이다.
*오마이뉴스 동시 게재
https://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3021636
*2020년에 이은 기사
https://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664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