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CONTENTS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남들만큼은 받고 있을까? 마케터의 평균 연봉

[스플X잡플래닛]

나, 남들만큼은 받으면서 일하고 있는 걸까?


직장인들이 언제나 마음속에 품고 있는 '물음표'라면, 단연 연봉일 것입니다. 내 연봉이 업계에서 어느 수준인지, 남들 만큼은 받고 있는 건지, 궁금하지 않은 직장인이 과연 있을까요? 


마케터의 연봉이 궁금한 분들을 위해 잡플래닛에 차곡차곡 쌓인 마케터의 연봉 데이터를 분석해 봤습니다.





1년 차 평균 3,095만 원…5년 차 상위권은 5,500만 원


1년 차 마케터의 평균 연봉은 3,095만 원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하위 25%는 평균 2,600만 원, 상위 10%는 평균 4,000만 원을 받습니다. 평균 연봉이 4,000만 원을 넘어서는 것은 5년 차였고 8년 차가 되면 5,000만 원을 넘겼습니다.

마케팅 직군의 경우, 평균 연봉은 전반적으로 연차에 따라 완만한 오름세를 보였는데요. 연봉이 가장 가파르게 오른 것은 10~11년 차, 상위권과 하위권의 차이가 눈에 띄게 벌어지기 시작한 것은 5년 차 부터입니다. 회사나 역량에 따라 연봉 격차가 벌어지는 연차라는 의미입니다.

5년 차의 평균 연봉은 4,177만 원이지만, 하위 25%는 3,540만 원으로 여전히 3,000만 원대에 머물렀습니다. 반면 상위 10%는 5,5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8년 차의 평균 연봉은 5,000만 원을 넘겼지만, 하위권은 4,500만 원에 머물렀고, 상위권은 6,500만 원을 받았습니다. 1년 차 상위권과 하위권의 차이는 1,400만 원 선이었지만, 8년 차에는 2,000만 원까지 벌어졌습니다.

10년쯤 일하면 어떨까요? 10년 차 마케터의 평균 연봉은 5,530만 원입니다. 상위권은 7,000만 원에 도달했고, 하위권은 4,800만 원이었습니다. 하위권은 11년 차가 돼서야 5,575만 원으로 5,000만 원을 넘겼는데요. 이때 상위권 평균 연봉은 7,500만 원입니다.

12년 차 마케터 상위권 연봉은 8,6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하위권은 5,500만 원, 평균 연봉은 6,449만 원입니다. 12년 차 하위권과 상위권 마케터의 연봉 차이는 3,100만 원에 달했습니다.





연봉이 높은 마케팅 분야는? 제품>전략>…>온라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온라인 마케팅, 전략마케팅, 브랜드 마케팅…

같은 '마케팅' 직군이라도 이 안에는 수많은 직무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직무별 연봉은 어떻게 다를까요? 마케팅이라는 이름으로 묶여있지만, 세부 직군별로는 편차가 꽤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케팅 직군 중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직무는 '제품별 마케팅'으로 5,113만 원을 평균적으로 받고 있었습니다. 평균 연봉은 '전략마케팅'(5,045만 원) '마케팅 커뮤니케이션'(4,820만 원) '시장조사·분석'(4,717만 원) '브랜드 마케팅'(4,581만 원) 순으로 높았는데요. 평균 연봉이 가장 낮은 직무는 '온라인 마케팅'(3,942만 원)으로 전 직무 중 유일하게 3,000만 원 대에 머물렀습니다.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는 어떨까요? 같은 직무라도 회사와 연차에 따라 연봉 차이가 크게 날 수 있습니다.

'전략마케팅'의 경우 하위 25%의 연봉은 3,625만 원인데 비해, 상위 10% 연봉은 7,700만 원으로 차이가 컸습니다. 'CRM' 직무 역시 하위 평균 연봉은 3,000만 원인데 반해, 상위 평균 연봉은 7,200만 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평균 연봉이 가장 낮았던 '온라인 마케팅'은 하위 평균 3,000만 원, 상위 평균 6,152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평균 연봉은 다른 마케팅 직무 중 가장 낮았지만, 상위 10% 평균의 경우 브랜드 마케팅(6,030만 원)보다 높았다는 점입니다. 같은 '온라인 마케팅'이라도 연차와 회사에 따라 연봉 차이가 크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직무별 특징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전략이나 브랜드 마케팅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 기업이나 고연차 마케터 분포가 많은 반면, 온라인 마케팅은 규모가 작은 기업과 사회 초년생, 저연차 비중이 컸습니다.





온라인 마케팅은 연봉이 낮다고? 오히려 성장 가능성이 높다.


마케팅 분야 중 가장 많은 인원이 필요하고, 채용 규모도 큰 직무라면 단연 '온라인 마케팅'입니다. 평균 연봉이 낮아 벌써 침울해 하는 온라인 마케터들의 표정이 보이는데요.

하지만 속단하긴 이릅니다. 이는 직무 자체의 연봉이 낮다기보다, 온라인 마케터가 일하는 환경의 특징을 이해해야 합니다. 앞서 말했듯, 온라인 마케팅 분야에는 저연차 주니어가 많고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 규모가 작은 회사에 소속된 비중이 다른 직무보다 큰 편입니다. 연차, 회사별 차이가 크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 보니 전체 평균 연봉은 다소 낮아 보이지만, 연차별로 살펴보면 오히려 성장 가능성이 큰 직무이기도 합니다.

온라인 마케팅 분야의 연차별 연봉을 분석해 봤습니다.

1년 차의 연봉은 2,600만 원에서 3,620만 원 사이, 평균 연봉은 3,026만 원으로 마케터 전체 1년 차 평균보다 전반적으로 낮습니다.

하지만 8년 차는 평균 연봉 5,511만 원으로, 전체 마케터 8년 차 평균인 5,184만 원보다 높습니다. 다만 하위권은 4,300만 원으로, 전체 평균 하위권(4,500만 원)보다 낮았습니다. 상위권은 7,180만 원으로 전체 평균 하위권(6,500만 원)보다 크게 높았습니다. 그만큼 회사와 개인 역량에 따라 연봉 차이가 크다는 얘기입니다.

온라인 마케팅 연봉 그래프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6년 차 이후 연봉이 가파르게 오르고, 상위권과 하위권의 차이가 커진다는 점입니다. 연봉이 만족스럽지 않아 이직을 생각하고 있다면, 이때가 연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직 타이밍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이때 시장의 평균 수준만큼 연봉이 오르지 못하면, 하위권에 머무를 위험이 커진다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마케터 몸값 높이는 이직 타이밍은 언제?


내 연봉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시장의 평균 '몸값'과 '회사'입니다. 회사가 연봉을 정할 때 참고하는 기준이 시장의 직군/직무별 연봉 수준과 회사 내부 연봉 기준(페이 밴드)이기 때문입니다. 내 역량이 아무리 뛰어나다고 해도 시장과 회사가 정해놓은 연봉 범위를 뛰어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전문 분야를 정해놓지 않은 주니어 마케터라면 연봉 평균이 높은 직무로 커리어 방향을 정해 도전해 보는 것이 연봉을 높이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하고 싶은 일이 분명해 커리어 방향을 정해놨다면, 당연한 얘기겠지만 연봉 밴드 수준이 높은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연봉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직을 통해 연봉을 높이고 싶다면, 상위권과 하위권의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하는, 즉 '몸값'의 차이가 커지기 시작하는 5년 차 이후가 타이밍일 수 있습니다. 회사와 개인의 역량 차이에 따라 연봉 차이가 커진다는 것은, 나 역시 연봉을 높여 이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는 곧, 내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와 실적을 잘 쌓아둬야 타이밍이 왔을 때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주니어 시절부터 다양한 기회가 있는 환경의 회사를 고르는 것도 방법인데요. 기회가 많은 만큼 내세울 수 있는 실적, 경험 등을 쌓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익명의 인사담당자 A씨는 "마케터가 주니어일 때 얼마나 성장했는지, 실적 관리를 잘 했는지에 따라 선택권의 범위가 달라질 것"이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거나 마케팅 비용 집행 규모가 큰 회사를 선택하는 것도 연봉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조언했습니다.






직장 생활의 만족도가 연봉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만족도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입니다. 직장 생활은 마치 집을 짓는 과정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반을 잘 다져야 튼튼한 집을 지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처음 땅을 다질 때 소홀하더라도 초반에는 티가 잘 나지 않습니다. 바닥을 깔고, 기둥을 세우고, 층을 높일 때 비로소 알 수 있죠.


스파크플러스와 잡플래닛이 전해드린 오늘 콘텐츠를 보고 연봉의 숫자만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마케터로서의 나'의 가치를 어떻게 올릴 수 있을지 고민할 수 있는 마중물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스파크플러스와 잡플래닛이 전해드릴 가감 없이 솔직한 직장 생활 많이 기대해 주세요:)




▼ 스타트업부터 대기업까지 함께하는 스파크플러스 더 알아보기 ▼


매거진의 이전글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워크를 위한 5가지 추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