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황작물 Jan 10. 2024

한국인에게는 유목민의 피가 흐르는 걸까

여행을 싫어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만

한국인에게는 유목민의 피가 흐르는 걸까. 휴가 기간에는 당연하다는 듯이 어딘가로 떠난다. 몇 년째 아무 데도 가지 않는 사람에겐 혹시 이유가 있는지 묻는다. 마치 사람은 누구나 여행을 좋아한다는 명제가 있는 것처럼. 적어도 일 년에 한 번은 해외여행을 하고 국내여행은 수시로 다녀야 워라밸과 풍류를 아는 사람 축에 낄 수 있을 것 같다.


청개구리 심보가 발동한다. 나는 여행을 싫어한다,라고 늠름하게 말하고 싶다. 하지만 그게 사실이 아니라 아쉽다. 여행을 좋아했었고 지금도 싫어하지는 않는다. 다만 떠날 동력이 없어졌다. 장소를 물색하고 교통편을 예약할 의욕과 열정이 없다. 그 골치 아픈 과정을 예전엔 다 어떻게 했을까. 꼭 해야 하는 일도 아니었는데. 


그렇게 떠난 곳에서 한 시도 빠짐없이 맹렬한 소비자가 되었던 것도 꺼림칙하다. 나는 소비자가 아닌 다른 정체성으로 더 오래 존재하고 싶은 소망이 있다. 그게 무엇인지는 아직 찾지 못했지만. 


왜 이렇게 변했을까. 여러 가지가 있지만 육식을 멀리하게 된 이유도 크다. 전통을 자랑하는 현지 특산물은 대개 육류다. 동물을 먹고 싶은 욕망은 눈곱만큼도 없는데 안 먹자니 아쉽다. 답답한 비행기에 갇혀 몇 시간을 날아왔는데 괜히 손해 보는 기분. 먹는다고 즐거운 것도 아니다. 이러나저러나 산뜻하지 못하다. 


스마트폰의 보급도 괜한 아쉬움을 더한다. 부끄럽지만 라떼는, 그러니까 내가 여행을 처음 시작했던 때는 반드시 현지인과 부딪쳐야 할 일이 생기곤 했다. 하지만 이제 그런 일이 거의 없다. 공통의 언어가 없어도 손짓 발짓보다는 스마트폰을 꺼내든다. 물론 그 덕분에 더 많은 편리를 누리게 되었으니 발전된 기술을 쓰지 않을 깡도 없다.   


여행을 꺼리게 된 이유는 많고 많지만 여행으로 인해 가장 행복해지는 순간 하나를 꼽으라면 바로 말할 수 있다. 집에 도착한 순간. 짐 가방을 내려놓고 소파든, 바닥이든, 내 집의 익숙한 냄새를 맡으며 내 몸을 아무렇게나 부려 놓은 그 순간. 나는 가장 큰 행복을 만끽한다. 오, 내 집에 왔다!


그 집 자체가 나의 모국이 아닌 때도 있었고 언제 쫓겨날지 모르는 월세방인 경우도 있었지만 정말 그러했다. 마치 내 집이 얼마나 소중한지 알기 위해 떠났던 것처럼. 내 여행의 백미는 그 순간이었다. 


어쩌면 사람들도 그 기쁨을 누리기 위해 떠나는 걸까. 그렇다면 나는 더 이상 떠나지 않아도 되는 사람인지도 모른다. 이미 내 집의 소중함을 신기하리만큼 매일 인식하고 있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뭔가에 홀린 듯 도쿄행 항공권을 예약했다. 꽉 채운 만 4년 만의 해외여행이다. 이번엔 무엇을 느끼고 돌아오게 될까. 가슴이 두근거린다. 여행을 싫어한다고 말하기에는, 이번에도 글러버렸다. 

작가의 이전글 별안간 찾아온 요통, 여행을 결심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