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의 "차트조작 방지는" "자율규제"만이 답이다.
개인적인 학연, 지연에 얽매이지 않는 냉정한 "패각투표" 추방명령을
한국 문화산업은 공정한 게임에 대한 공동합의가 없는 상태이다. 옛날에 방송사의 순위를 매기던 "인기가요"가 순위조작의 의혹만을 남기고 폐지된 이래, 최근들어서는 출판사의 사재기가 문제가 되어 감시기구가 발족하였으나 여전히 의혹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이다.
문화산업의 차트는 매우 중요하다. 문화산업은 "슈퍼스타 현상"의 대표적인 산업이며, 그 효용의 객관화가 어려운 "신용재"이며 지인의 소비가 나의 효용을 증가시키는 "네트워크효과산업"이다. 이러한 속성들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차트를 매우 중요하게 참고하기 때문이다. 차트의 공정성이 훼손됨으로써 문화산업은 확대의 가능성이 크게 제약을 받는다. 차트가 의심스러우면 개인소비자는 소비지출을 망설이게 된다. 요즈음 처럼 "한류"가 해외로 나가는 경우 해외의 콘텐츠수입자들이 기본적으로 참고하는 것도 "차트"이다. 우리도 해외의 음악이나 영화를 수입할 때 일차적으로 "빌보드차트"나 "박스오피스"를 우선적으로 참고하지 않는가? 한국음악이나 한국영화, 한국문학은 "차트"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 만으로도 지금보다 전체적인 파이를 획기적으로 키울수 있을 것이다. 차트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는 "동네 우물에 오줌누는 행위"이다. 당장은 한바가지 물과 시원한 배뇨감, 그리고 악동적 본성의 만족에 웃음짓겠지만 곧 자신도 그 물을 마셔야 한다.
해결이 없는가? "국가?", "검찰?" 아니다. 문제가 생길때마다 상호불신으로 외부적인 물리력에 의존한 것이 오늘날 검찰 적폐, 공무원 적폐를 탄생시키는데 일조를 하였다. 마치 황새를 왕으로모신 개구리들 처럼. 자기들의 생태계의 문제는 자신들이 해결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는 고급사회의 "고급서비스"를 누릴 수가 있다. 문화산업은 정보비대칭이 심하여 외부에서 객관적인 감시기구가 작동하기어렵다. 내부적으로 문화산업 각 분야의 당사자들이 상호감시의 기능과 나아가서는 자신들의 진정한 자부심을 회복하고 내부규칙을 어기고 반칙을 행한 구성원에게 개인적인 학연, 지연에 얽매이지 않는 냉정한 "패각투표" 추방명령을 내릴 때 전체적인 산업은 그 잠재적인 규모만큼 성장할 수 있을 것이며 모든 구성원들이 제몫을 제대로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동의 우물을 지키는 자율규제는 최소한 학자, 교수. 회계사, 변호사,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등 한국의 전문가 사회전반에 걸쳐 정말로 절박하게 요구되는 눈 앞의 절박한 과제이다.
======= (이하 기사 발췌)
음원 사재기 의혹이 본격 불거진 것은 2018년 4월, 여러 대형 기획사 아이돌 그룹이 신곡을 내놨으나 예상치 못한 가수가 1위를 차지하면서 였다. 가수 닐로의 ‘지나오다’가 그 주인공이었다.
그런데 닐로는 박수를 받기보다는 의심을 샀다. 방송 노출도, 팬덤도 없던 닐로의 곡이 김연자의 ‘아모르파티’를 제치고 50대 음원 차트까지 석권하면서 음원 사재기 논란이 불거졌다. 닐로 소속사의 요청으로 주무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자체 조사를 벌였지만 조작 증거는 없었다.
이후 지난해 11월 그룹 블락비 멤버 박경이 SNS를 통해 음원 차트 조작 의혹을 받던 가수 바이브, 송하예, 임재현, 전상근, 장덕철, 황인욱를 거론하면서 사재기 의혹에 다시 불씨가 붙었다. 이 논란은 박경 측과 언급된 가수들 소속사 간 법정 공방으로 이어졌다.
사재기 의혹을 받는 소속사 관계자들은 떳떳하다며 ‘그것이 알고 싶다’ 카메라 앞에 섰다. 그들은 하나같이 입소문을 일컫는 ‘바이럴 마케팅’의 효과일 뿐, 사재기가 아니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