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기자수첩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송석주 영화평론가 May 17. 2024

‘범죄도시 4’ 흥행과 대한극장의 폐업


대한극장이 9월 30일 문을 닫는다. 1958년 개관해 한국영화의 발전과 함께했던 극장이 66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다. 대한극장 운영사인 세기상사에 따르면, ‘영화 상영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적자 해소’와 ‘회사 소유 자산의 효율화 및 사업 구조 개선’이 폐업 이유다. 내년 4월 대한극장은 공연장으로 개편된다고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극장 산업이 몰락했다. 그 과정에서 OTT 플랫폼이 급성장했고, 극장 업자들은 어쩔 수 없이 티켓값을 올렸다. 사람들은 더 이상 극장에 가지 않고, 집에서 영화를 본다. 극장에서의 영화 관람은 가성비가 떨어지는 행위다. 티켓값이 OTT 월 구독료보다 비싸기 때문이다. 극장이 넷플릭스보다 비싸고 ‘덜 재밌는’ 공간으로 전락한 셈이다.


이런 와중에 마동석의 ‘범죄도시 4’가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한국영화 시리즈 최초로 ‘트리플 천만’ 달성이다. 덕분에 지난달 한국영화 매출액과 관객수가 역대 4월 중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 같은 성과를 ‘영화가 재밌으면 사람들이 극장에 간다’라는 논리로 내세우면 한국영화의 미래는 더욱 어두워질 것이다.


비평적 성취를 포기한 ‘범죄도시 4’가 스크린 독과점으로 천만 관객을 달성하는 동안 수많은 독립ㆍ예술영화들은 상영 기회조차 얻지 못했다. 그마저도 직장인들이 보기 힘든 이른 아침과 늦은 밤에 배치됐다.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주요 극장의 상영표는 ‘범죄도시 4’로 도배돼 있다. 다른 영화를 보려면 ‘원정 관람’을 가야 한다.


대한극장이 폐업하면 독립ㆍ예술영화들은 안 그래도 부족했던 상영 기회를 더 잃게 된다. 영화를 단순한 오락이 아닌 예술로 향유하는 신인 감독들의 첫 독립 장편영화가 극장에 많이 걸리고, 관객들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 그래야 그들은 두 번째 영화를 찍을 수 있다. 이러한 순환이 막히면 제2의 봉준호와 박찬욱은 탄생할 수 없다.


14일 제77회 칸영화제가 개최됐다. 올해는 예산 부족으로 한국영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행사인 ‘한국영화의 밤’이 열리지 않는다. 영화제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경쟁부문 진출도 2년 연속 좌절됐다. 이런 가운데 한국영화의 발전을 책임지는 영화진흥위원회 수장은 4개월째 공석이다. 한국영화의 질적 퇴행이 시작했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영화 ‘시네마 천국’에는 영사기사 알프레도가 야외 벽면에 필름을 영사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를 보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특별 선물을 한 것이다. 이 순간 카메라는 벽면 앞에 있는 사람들을 부감(high angle) 숏으로 포착한다. 이 숏은 ‘영화’가 벽면 앞 ‘사람들’을 바라보는 시점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극장은 영화와 관객들이 서로를 마주 보는 공간이다.


지금 충무로에는 영화와 관객들이 서로를 진지하게 마주 볼 수 있는 공간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모두가 우는데, ‘범죄도시 4’만 웃고 있다. 비정상적 상황이다. 언젠가 영화관은 ‘극장에서의 체험’을 중시하는 일부 영화광들의 공간이 될지도 모른다. 최근 전주국제영화제를 찾아서 “영화도, 영화관도 개혁해야 한다”라는 차이밍량 감독의 말이 귓가에 계속 맴돈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44회 만해백일장 '작가와의 대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