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린블루 Jul 02. 2023

내가 LVMH를 매수한 3가지 이유

    


23.07.02 기준 토스 캡쳐

포트폴리오 기본 정보

현재 평균 단가 : 685.453유로            

23.06.30 기준 가격 : 863유로            

환 차익 : + 7.3%            

최초 매수일 : 22년 8월 30일            

매수 당시 환율 : 1347원            


당시에 매수한 3가지 이유

[1. 일시적 유로화 환율 하락으로 환 차익을 노릴 수 있는 시기] 

22년 8월에는 미국이 연속으로 0.75%씩 금리를 올리는 격변의 시기였습니다. 미국 FED의 발언에 전 세계가 주목하는 시기라 달러 강세장이 열리고 있었죠. 그런데 투자자들이 미국을 주시하는 와중에 슬금슬금 유로화 환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저는 주로 인베스팅닷컴으로 환율을 보는데, 당시에 체크했던 포인트는 2가지 입니다. 

환율이 과거 역사의 평균치에 수렴하는가?                                                              

사람들이 토론장에서 하락 or 상승을 무지성으로 외치는가?

1347원이면 과거 차트 전체를 보고, 금리 상황을 보더라도 합리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더 중요한 점은 대중들이 그 가격의 움직임을 보고 어떻게 반응하는지 입니다. 인베스팅닷컴을 보고 있으면, 보통 선물 거래를 하는 분들이 많고 롱이냐 숏이냐로 매일 싸우는게 일상입니다. 홀짝을 하다보니 자신의 전망을 과도하게 믿는 분들이 많고, 여론도 쉽게 형성됩니다. 당시에 유로화가 떨어질 때 더 떨어진다 1200원대 간다 등의 근거 없는 의견들이 다수를 이뤘고, 저는 그 때 확신했습니다. 

대중들의 의견대로 절대 움직이지 않는다. 어떤 당국 관리자가 자기 국가의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걸 보고 있겠습니까. 금리를 올리던 스와프를 하던 자구책을 마련하겠죠. 여기서 교훈은 사람들이 자기 주장을 강하게 펼칠 때는 끝물이라는 점입니다. 의미있는 움직임은 아무도 관심이 없을 때 생깁니다.


[2. 선행 PER (forward PER)보다 현행 PER(trailing PER)가 높아 저평가 됐다고 판단] 

제 기억으로 당시 현행 PER가 23 정도 였고, 선행 PER가 21이었습니다. 전 세계 명품 시장 1위 업체의 PER가 20대 초반이다? 심지어 살짝 저평가되어 있다? 옆에 에르메스는 PER가 50을 넘는 와중에 LVMH의 PER는 매우 매력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했습니다.


[3. 경기 불황, 호황에도 가격 상승분을 고객에게 전가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사실 1번과 2번 이유는 기술적 분석에 가까워서 투자의 본질에는 살짝 벗어나 있습니다. 결국 본질은 내가 왜 이 주식에 투자하는가? 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것 아니겠습니까. 명품 산업은 경기가 불황, 호황 상관 없이 가격을 올려도 구매할 소비자가 항상 있습니다. 

원자재, 인건비, 유통비 등 소비자가에 반영되는 비용을 고객에게 전가해도 팔립니다. 저는 그 기저에 인간의 본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매력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남들보다 더 잘 살고 있음을 과시하고 싶은 욕망, 주머니가 얇아져도 티를 내지 않고 싶은 허세, 명품 이라는 이미지를 구매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 인간 본성이 명품을 싫어할래야 할 수 없기 때문에, 명품 산업은 감히 말씀드리지만 영속한다고 확신합니다그 명품 산업 업계 1위를 LVMH가 차지하고 있고, 전 세계 럭셔리 브랜드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니 1,2번과 관련한 신호가 들어왔을 때 바로 매수를 할 수 있었습니다.                                          


정리

환 차익을 노릴 꺼라면 인내심을 가지고 최소한 역사적 평균치에 수렴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사람들이 몰려가는 투자처가 있다면, 관심이 없는 투자처가 반드시 있습니다. 저의 경우 유로화, 명품주식 이었습니다. 

내가 왜 이 주식을 선호하는지, 확신이 드는지를 먼저 결심해놓고 시장의 신호에 맞게 내 포지션을 정하고 기다리는게 제가 생각하는 투자자의 마인드 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명품 산업은 왜 망하지 않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