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상철 Oct 21. 2015

돈 받은 만큼만 일해야 할까?

“성실 하나로 살아가는 사람이 남에게 감동을 못 준 예는 이제까지 하나도 없다.”

– 맹자


모든 일은 태도에서부터 출발한다. 태도는 마음가짐이라고도 표현하는데 이것을 어떻게 가지는가에 따라 같은 일을 해도 전혀 다른 걸 얻기도 한다. 어떤 태도로 사는 게 현명한 건지 고민할 가치가 있다.


– 돈 받은 만큼만 일한다?

최저 시급을 받는 아르바이트를 하러 편의점에 왔다. 어떤 이는 이렇게 말한다. 최저 시급은 딱 그 정도 수준의 일만 하라고 그렇게 받는 거라고. 그러니 돈 받는 수준에 맞게 적당히 하다 가는 게 현명하다고 한다. 사실 최저 시급을 주는 아르바이트에서 직업적 보람을 찾기는 어렵다. 이것을 평생 직업으로 삼으려고 하는 사람도 없고, 여기서 전문성이나 노하우가 쌓이는 것도 없다. 이런 일까지 최선을 다할 필요 있을까?


– 태도는 돈과 관계없다

최저 시급을 받는다고 딱 그 수준에 맞게 일해야 할까? 사실 어차피 시간 쓰는 건 똑같다. 물건이 빠질 때 바로 채워 넣고, 모든 손님에게 환하게 인사하고, 어떤 물건이 어떻게 팔리는지 분석해 보는 건 어떤가? 누군가에게 인정받으려고 하는 건 아니지만, 이렇게 열심히 일하다 보면 언젠간 눈에 띄어 뜻밖의 보상이 있을지 모른다. 꼭 그런 게 아니더라도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일하다 보면 더 성실하고 부지런한 자세가 몸에 배기 마련이다.


– 운과 기회의 문제다

어떤 태도로 살지는 결국 본인의 몫이다. 요령 부리고 산다고 해서 결과가 무조건 나쁜 것도 아니고, 우직하게 열심히 한다고 더 잘 되는 것도 아니다. 타고난 운은 어쩔 수 없지만, 우리는 운을 더 좋게 만드는 노력을 할 수 있다. 어떤 태도가 운과 기회를 더 많이 가져다줄지 생각해 보자. 매사 요령 부리고 사는 사람과 작은 일도 최선을 다하는 사람 중 누구에게 더 좋은 기회가 생길까?


– 태도는 습관으로 이어진다

열정페이로 아르바이트생을 혹사하는 사장에게 충성하라는 게 아니다. 사장이든 뭐든 외부와 상관없이 이건 자기와의 싸움이라 생각하는 게 좋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좋은 태도를 보이려는 노력 말이다. 아르바이트는 최선을 다해도 특별한 혜택이 있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거기서 좋은 태도를 만들 수 있다면 훗날 빛을 발하는 날이 온다.


프로는 실력도 실력이지만, 직업을 대하는 태도부터 아마추어와 큰 차이가 있다. 직업에 대한 자부심, 전문성에 대한 진지함이 차원이 다르다. 애초에 그런 마음가짐이 있어야 프로가 될 수 있기에 모든 프로는 성실하다. 같은 시간을 일해도 누구는 프로가 되고 누구는 아마추어를 벗어나지 못한다. 태도에 대한 올바른 마음가짐이 없다면 영원히 아마추어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 머니맨 페이스북 페이지를 구독하면 더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원문: 머니맨(http://moneyman.kr/archives/1120)

매거진의 이전글 리더와 보스는 무엇이 다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