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유히유영 May 16. 2022

"안녕 아가야, 오랜만이다"

 비출산 결심 스토리 (1) by 에디터 E.ge

"젊다."


사진을 보던 아내가 탄식하듯 말했다. 우리가 연애를 시작한 2012년, 두 명의 젊은이가 즐겁게 웃고 있는 모습이 눈부셨다.


10년 전 우리, 연애 시작하고 한 달도 안 됐을 때다. 풋풋하다.


연애 시절 모습을 오랜만에 보니 색다른 기분이 들었다. 당시 30대 초중반이었지만 스스로 나이가 꽤 많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사진 속 우리는 피부가 덜 쳐져 보였고 약간 마른 모습도 좋게 느껴졌다. 그렇게 과거 사진을 보며 대화를 나누던 중, 사진 한 장에 시선이 멈췄다.


“저 사진 본 지 얼마나 됐지?”
“한 8년 정도 지났지, 아마.”


유산한 아이의 초음파 사진이었다. 할 말이 있지만, 어디서 부터 해야 할지 몰랐다. 그만큼 가슴에 깊이 묻어둔 일이었다. 지난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아픔은 잠시 묻어 두고 아내에게 물었다.


나: 저 사진 되게 오랜만에 보는데, 어떤 감정이 들어?


아내: 잘 기억이 안나. 아마, 당시에는 저 사진을 자주 보았겠지? 하루에 한 번 이상 보지 않았을까? 그런데 벌써 그 사진이 낯설 정도로 오래 됐구나 싶어. 생각해 보면 그때는 저 사진이 별로 중요하지 않게 여겼던 것 같아. 그냥 초음파 사진이잖아. 굉장히 의학적 의미만 있었어. '아이가 잘 있구나' 하고 확인하는 용도 그 이상도 이하로 아니었지. 왜냐면 저 시기가 지나가면 당연히 아기가 나올 거니까. 그렇게 믿었으니까.


나: (충격) 나는 저 사진 보면서 아이에게 편지 써 주고 그랬는데. 아기가 생겼다는 기쁨이 생각보다 컸나봐. 아이를 무척 기다렸던 기억이 나.


아내: 임신 초기 계류 유산은 흔히 일어나는 일이란 걸 알지만, 그때는 내가 절대 유산할 리 없다고 생각했어. 당연히 순조롭게 출산하리라 믿었지. 남들처럼 신혼 1년 보내고, 아이가 생겼으니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정도로 가고 있구나 싶었어. 뱃속의 아이가 어떻게 되는 건 남들에게나 일어나는 일이지, 나의 현실일 거라곤 상상도 안 했어.


눈물이 마를 날 없었던 당시의 우리.


비록 유산을 했지만, 우리에게는 '아이'가 있었다고 난 믿었다. 11주 만에 아이를 묻었다. 시신은 없지만, 어딘가에 우리 아이를 묻었다고 생각했다. 그 시기를 떠올리면 가슴이 아파 온다. 정말 무엇보다 소중한, 말로 표현하지 못할 정도로 미안한 내 아이. 세상은 비록 나에게 "없었다"고 말하겠지만, 나는 "있었다"고 생각하는 아이.  그렇게 여기며 살아왔다고 말한 나에게 아내가 물었다.


아내: 내 뱃속에 11주 동안 분명 존재하던 아이인데, 세상 사람들 모두 아이가 없었다고 하겠지? 오빠는 어때?


나: 나는 아이 한 명을 잃은 느낌이야. 그래서 저 사진을 보면 너무 슬퍼.


아내: 그 애와 단 한 번도 교감하지 못했잖아. 그런데도?


나: 부모 마음에 한 번 품은 아기는 '사람'이었던 게 아닐까? 나에게는 '사람'이었던 아이가 세상에 명백히 존재했어. 사실 아이 심장 소리 딱 한 번 밖에 듣지 못했지만, 내가 안고 있던 아이가 죽은 느낌이 들어. 그래서 당시에 굉장히 힘들었어. 힘들다는 표현 외에 쓸 말이 없어. 정말 고통스러웠어. 유산 1주년이 당도했을 때, 아이를 추모하는 무언가를 하려고 했었어. 네가 너무 힘들어 할까 봐, 나만 추모하고 넘어갔거든. 그만큼 나에게는 소중한 아이였다는 생각이 들어.


아내: 그러게. 이 이야기를 직접 나누는 일이 그동안 너무 없었구나 싶네. 그 당시에 바쁘게 지내서 감정을 잘 얘기하지 못하고 지나지 않았나 생각해.


나: 맞아. 그냥 서로 "괜찮냐?"고 확인만 하고 넘어간 느낌이야. 당시 이야기 꺼낸지 너무 오래 됐다.


유산 후 8년 만에 묻어둔 이야기를 꺼냈다.


우리는 이 일을 ‘평생 갈 아픔’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서로서로 배려해 지금까지 아이 잃은 슬픔을 묻어두고 있었다. 그렇게 8년이 지났다. 실제 우리는 유산한 시기를 잊고 잘 살아 왔다. 가끔 아홉 살인 1호 조카를 볼 때, 살았더라면 그 조카의 나이가 되었을 죽은 아이가 생각났다.(1호 조카와 같은 해에 임신을 했다.) 어쩌면 내가 1호 조카에게 극진한 사랑을 쏟는 이유가, 아이를 잃은 마음과 이어져 있는지도 모르겠다.


아내와 이런 이야기를 길게 나눈 건 처음이었다. 산 사람의 상처는 아무는 법인가 보다. 아내는 방송국 일을 하느라, 아니 바쁘게 일만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그때 상황을 내가 물었다.


나: 아이를 다시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 적은 없었어?


아내: 당연히 했지. 처음에는 아이를 잃고 너무 슬펐어. 그래서 이 슬픔을 누르려면 새로 아이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어. 병원에서 6개월 후에 가지라고 했는데, 6개월이 너무 길게 느껴졌어. 빨리 다른 아이가 찾아와 슬픔을 거두어 가기를 바랐지. 그런데 그 당시에 일이 너무 바빴고, 기획 다큐멘터리 팀에 들어가면서 정신이 아예 없어졌어. 국장도 “올해는 이 작품 잘 만들어야 하니, 아이는 다음으로 미루는 편이 좋겠어”라고 할 정도였잖아. 그때는 나도 아이보다 중요한 무엇인가를 쫓는 마음이 크게 들었어.


나: 맞아. 그때 정말 많은 일이 있었지.


아내: 응, 바쁘게 지내면서 유산한 사실을 잊은 느낌이었어. 아이를 가져야 한다는 생각도 점차 희미해질 정도로 바빴으니까. 그런데, 슬픔이 없어진 게 아니더라. 그냥, 감정을 계속 무언가로 눌러 놓은 기분이 들어. ‘넌 중요한 일을 해내야 해’라고 자꾸 압박하니, 나도 거기에 휘둘렸어. 임신 중에 썼던 일기를 지우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다시 볼 수도 없는 삶을 살았어. 죽은 아이에게 그게 정말 미안해.


아이를 품었다가 보낸 감정은 같을 텐데, 오빠는 조금 더 정성 들여 기억 또는 추모를 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나는 그런 과정 없이 일로 도망갔던 세월을 보냈어.


나라고 항상 아이만 생각하고 살았겠나. 당연히 그렇지 않다. 그저 아내보다 더 아이를 추모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프리랜서였으니 그랬다. 당시에는 여유가 있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아이를 더 기억할 수 있었다. 우리 ‘영영이’를 말이다. 우리 부부 이름에 있는 영과 영을 따서 붙인 태명이 ‘영영이’였다. (계속)


아이 떠나보낸 얘길 8년만에 나눴죠. 영상 속 둘의 표정이 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