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Willy Jan 05. 2021

인비저블맨

살인의 예비행위, 스토킹

모두가 잠든 밤, 주인공 세실리아는 몰래 집을 빠져나가면서 영화는 시작된다. 세실리아는 남편 애드리안에게서 벗어나, 주변의 도움을 받아서 새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과학자인 애드리안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그녀를 스토킹 하며, 세실리아의 인생을 망가뜨린다. 애드리안의 청각적 그리고 시공간적 스토킹은, 보는 이로 하여금 숨 막히고 께름칙한 고통을 준다.

성공한 과학자가 한 여인을 미치도록 사랑해서 일어난 스토리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이 영화는 스토커와 스토킹 피해자의 이야기이다. 아, 물론 SF를 기반한 영화 스토리지만 말이다. 인비저블맨이 그저 <할로우맨>을 닮은 투명인간 이야기가 아닌, 스토킹에 초점을 둔 시각이라면 영화는 어떻게 보일까? 


첫 번째, 보이지 않을 뿐, 항상 마주하고 있다. 

본격적인 스토킹이 시작된다. 이미 한번 부부였었던 만큼, 더욱 대담하게 이뤄진다. 

에드리안이 세실리아에게 물리적 혹은 실질적 피해를 입히기 전, 스토킹 기간이 존재한다. 미리 이 기간에 세실리아가 보호받았다면, 애드리안이 제재를 받았다면, 세실리아는 고통을 받았겠는가? 


두 번째, 세실리아는 생각한다. “결국, 저놈은 날 죽일 거야”

주거침입은 물론이고, 이메일까지 해킹한다. 애드리안은 교묘하게 세실리아를 괴롭히며, 세실리아의 주변 사람들까지 피해를 입힌다. 죽을 것을 알기에 계속 피해 다녔는데 결국 죽는다. 이만큼 개죽음이 또 있는가? 생명권을 보호해달라는 것이지 구애행위를 제재해달라는 것이 아니다. 


세 번째, “어떻게 대응했길래.. 네가 좀 잘하지..”

영화의 후반부는 현실과는 180도 다르게 흘러간다. 우리가 바라는 스토리다. 하지만 현실은 어떠한가? 당사자들 간의 문제로 치부해버린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일도 너무 쉽다.


열 번 찍어서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

정말 소름 돋는 속담이다. 

작가의 이전글 완벽한 타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