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동혁 건축가 Jan 13. 2016

전원주택 목조주택으로 한번 지어봐?

내집짓기 목조주택 파헤치기!

출발


설계, 내외장재, 토지에 걸쳐 드디어 시공에 대한 첫 이야기를 시작하게 되었네요.^^

20개가 넘는 이야기를 적어오면서 얼른 실질적인 이야기들을 하고 싶었는데 ㅠㅠ 이제서야 시작을 할 수 있게 되었네요.^^
목조주택의 관심과 문의는 나날이 늘고 있는데 비해 건축주님께서 잘 모르시거나 잘못 알고있는 정보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두 편에 나누어 목조주택에 대한 이론적인 이야기와 더불어 잘 못 알고계시는 오해를 풀어드리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blogimg.ohmynews.com/attach


목조주택 (Wood Frame House)


목조주택이란 건물의 벽체, 마루바닥, 지붕 등의 뼈대를 주로 나무로 만들어서 지은 주거형태의 건물을 일컫습니다.

일반적으로 목구조 하면, 통나무 구조, 기둥보 구조, 경골목구조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나뉠 수 있으며 세 가지는 완전히 다른 공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전원주택의 시공은 대부분 경골목구조라 할 수 있습니다. 

경골목구조는 미국 전체 건축물의 90% 이상에서 적용되고 있는데요, 주변 환경에 적합한 주택을 경제적으로 지으려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장점이 많은 주택이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 15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경골목구조는 흔히 2*4구조(투바이포 구조)라고도 하며 원시적 시공방식인 통나무 구조에서 중목구조 및 기둥보 구조, 발룬구조, 플랫폼구조로 변화 되면서 최근에는 플랫폼구조 및 기둥보 구조가 접목된 구조 방식 또는 공장제 조립 방식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2*6가 대체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지붕보의 경우 2*10 정도까지 사용되어지고 있으므로 이 기준으로 구조체를 잡고 진행하시면 이해가 편하실 것입니다.^^


출처 : http://house.pofler.com/home/data/cheditor4/1012


그렇다면 경골목구조란 무엇인가?


경골목구조는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법으로 벽식 구조이기 때문에 방을 덧붙여 나가면서 집을 만들어 가는 방식입니다. 흔히 경량목구조라고 불리우는 공법이 이 공법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경골 목구조의 구조방식에 따른 구분


출처 : https://smallstepenergy.files.wordpress.com/2012/03


1. 발룬 구조 (Balloon Framing)


미국식 2*4공법은 1830년경 시카고주의 엔지니어이자 목재상이었던 스노우란 사람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습니다. 당시 스노우는 기존의 기붕보 방식(Heavy Timber Construction / Post & Beam)에서 칸막이 벽체에 사용된 비내력 부분의 각재들로 그 상부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어 각재를 사용한 프레임으로 기둥의 역할을 대신하게 한 공법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이 공법은 작은 단면의 각재들만 사용하고 그 간격을 좁혀 벽체에는 샛기둥(Stud), 바닥에는 장선(Joist), 지붕에는 서까래(Rafter) 로 구성하게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런 구조와 부재는 목수들이 다루기 용이하였고, 표준화된 못으로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신속한 공법은 구조방식이 건물을 가볍게 구성하여 풍선처럼 날아 갈듯 한 인상을 주게 되어 발룬 구조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발룬구조의 특징은 외벽의 샛기둥이 기초에서 지붕에 이르기까지 두 개 층의 길이로 된 단일부재를 사용합니다. 이층바닥은 샛기둥의 중간에 끼워 시공하고 지분의 서까래와 천장틀은 샛기둥 상부의 2겹 깔도리 위에 지지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외벽을 스터코(Stucco) 등의 습식공법 자재로 마감할 경우 샛기둥 부재의 단일성으로 벽에 크랙이 가지 않게 하는 최적의 방법입니다. 그러나 벽체와 바닥 장선의 결합방식이 화염 진행을 적절하게 차단하지 못해 화재 때 2개층에 달하는 샛기둥 간의 중공이 연도의 역할을 하게 되고 또한 샛기둥의 길이가 길어 다루기가 힘이 든 단점이 있습니다.


출처 : http://www.inquiring-eye.com/anatomy/images

2. 플랫폼 구조 (Platform Framing)


화재에 약하고 작업이 까다로운 발룬구조의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구조방식이 플랫폼구조입니다. 현재 미국식 목조주택이라 함은 플랫폼구조를 말하는 것입니다. 플랫폼구조는 벽체가 평탄한 바닥구조 위에 놓이게 되는 것으로 발룬구조와 다른 점은 연속벽체 혹은 하부의 벽체 상부에 벽체 구조가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플랫폼 구조의 장점은 첫째로 구조 부재의 길이가 짧아지고 가벼워져 작업이 용이합니다. 둘째로 평탄한 플랫폼 위에서 조립되는 벽체는 정확하게 직각으로 할 수 있고 세워지기 전에 합판이나 대각재를 설치할 수 있어 벽체 프레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셋째로 플랫폼으로 구성 된 바닥구조는 하층부와 상층부의 벽체 구조사이에서 방화막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목조전원주택은 플랫폼구조로 시공되고 있습니다. 


*이론상으로 이해를 돕기위해 두 가지 공법을 예로 들어 설명드렸지만 목조주택이 국내로 적용되면서 현장상황에 맞게 많이 변화된 것이 현실입니다.^^ 간혹 블로그들에 적힌 글 들을 보면서 "무조건 이것이 맞는 것 아니냐?" 라고 질문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 세상에 무조건 맞는 공법은 없답니다. 회사별로 시공법이 다르며, 노하우들을 통해 방수나 단열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 지역과 상황에 맞는 공법과 회사를 선정하셔서 일을 진행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도착


많은 분들이 목조주택이라고 하면 보통 통나무구조를 떠올리십니다. 목구조 중에는 통나무 구조, 기둥보 구조, 경골목구조의 완전히 다른 세 공법이 있으나 문의를 주시는 많은 예비건축주님들께서 지으려고 하시는 목조주택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지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이야기를 통하여 실제로는 목구조에도 여러 방식이 있으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 바로 경골목구조 방식이라는 점과 그중에서도 층마다 스터드를 따로 두는 형태인 플랫폼 프래임으로 주로 시공이 된다는 사실을 이론적인 설명과 함께 알려드렸습니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벽체를 1층,2층으로 나눠서 시공하면 플랫폼구조. 한 번에 벽체를 올리면 발룬구조라고 하며, 현재 목조주택에 주로 사용되는 구조는 경골목구조 중에 플랫폼구조입니다. 


시공에 관한 이야기는 이론적인 내용이기에 다소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답니다. 최대한 이해하기 편하시도록 풀어서 설명 드리고자 노력할테니 포기하지 마시고 꼼꼼히 제 이야기를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 이야기에는 목조주택이 궁금하다 2편으로 왜 많은 분들이 목조주택을 선호하시는지 그 이유에 대한 내용과 목조주택의 장점 등을 이야기드리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쓴이 : 이동혁 건축매니저

이메일 : sunsutu@hanmail.net



작가의 이전글 농가주택 짓기에 좋은땅? 이것부터 확인하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