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동혁 건축가 May 08. 2018

[전원주택 짓기 TIP]벽부형 열회수환기장치 괜찮나요?

홈트리오(주)-이동혁건축가, 정다운건축가, 임성재건축가

제목 : [전원주택 짓기 TIP] '벽부형 열회수환기장치'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혁 건축가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열회수환기장치'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요. 전원주택의 경우 매일 주 생활 용도로 사용한다면 상관없지만 세컨드 하우스나 특히 겨울에 환기를 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쉽게 습이 올라가 곰팡이가 생길 확률을 높이게 됩니다.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이 열회수환기장치를 달아주는 것이었는데요. 기본 원리는 간단합니다. 다들 어렵게 설명하지만 열회수환기장치를 벽에 부착시켜 안에 있는 공기를 밖으로 빼내 주고 밖의 신선한 공기를 안으로 들여보내는 것이 원리의 기본입니다. 내가 창문을 일일이 열어 환기시키기 어려우니 기계의 도움을 받아 환기시킨다고 쉽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열회수환기장치는 패시브하우스처럼 단열을 중요시하는 건물에 주로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중앙 식이 아닌 벽부형으로 패시브주택이 아니더라도 환기가 필요한 공간에 설치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저 또한 세컨드 하우스를 짓는 분들께는 자주 권해드리고 있는데요. 중앙식에 비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한번 정도 시공을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출처 : https://www.creoven.de

벽부형 열회수장치가 무조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는데요. 일단 외기에 접하지 않는 내실이나 지하실 같은 경우에는 설치가 어렵습니다. 직부형이기때문에 특별히 말하지 않더라도 왜 안되는지 아시겠죠?^^;


또 하나는 환기 면적입니다. 아무래도 벽부형이기 때문에 모든 공간이 환기될 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10평 정도의 공간을 환기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이상의 공간이라면 중앙식 열회수환기장치를 고민하셔야 합니다.


세컨드 하우스의 경우 집의 평수가 30평 미만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모든 실에 설치하기보다는 거실, 주방 쪽에 하나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입니다. 


이미지출처 : https://www.creoven.de

예전에는 열회수환기장치가 엄청 투박해서 보기 싫을 정도였는데 최근에는 위의 이미지를 올려드린 것처럼 디자이너블하게 나와 설치를 하더라도 미관을 해치지 않습니다.


소음에 대해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신데 일반적인 환기팬 소음은 발생합니다. 소음에 민감한 분들은 거슬릴 수도 있을 거라 생각되네요.^^


오늘은 열회수환기장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간략히 요약하면 세컨드 하우스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필히 한번 정도는 고려대상에 넣어놓으시길 바랍니다. 가격 대비 곰팡이가 생길 여지를 훨씬 줄여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만 소음은 조금 발생한다는 점. 이 부분만 유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에도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글을 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좌측부터) 정다운 건축가, 임성재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

[집이라는 본질적인 가치에 집중하다.]

Architecture  Team : HOMETRIO[홈트리오]  

홈페이지 : http://hometrio.co.kr/

설계사례 : https://brunch.co.kr/magazine/khaim 

시공사례 : https://brunch.co.kr/magazine/sunsutuwg


글쓴이 : 이동혁 건축가

이메일 : sunsutu@hanmail.net

책 : '따뜻한 전원주택을 꿈꾸다' 저자(http://www.yes24.com/24/goods/40516450?scode=029)

이동혁건축가TV : http://tv.naver.com/sunsutu1


상담 및 자문[HOMETRIO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 : 010-4567-8413

정다운 건축가 : 010-8560-0477

임성재 건축가 : 010-9941-8899




[네이버TV - 이동혁건축가TV]

*글 읽기가 어렵나요? 그럼 이제부터는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1. 내 집 짓기의 시작-인트로 : http://tv.naver.com/v/1429784

2. 전원주택 짓기 1차 강연 영상 : http://tv.naver.com/v/1431765

3. 성공의 정석 '꾼' 이동혁 대표 : http://tv.naver.com/v/1434375

4. 전원주택 공법. 무엇으로 지으면 좋을까요? : http://tv.naver.com/v/1436122

5. 전원주택 짓기. 예산잡는 법! : http://tv.naver.com/v/1446575

6. 전원주택. 왜 품질에 대해 말이 많을까? : http://tv.naver.com/v/1451485

7. 내집짓기. 언제부터 준비해야 할까요? : http://tv.naver.com/v/1473650

8. 내 땅에 몇평까지 집을 지을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3658

9. 전원주택 지방은 공사비가 더 비싸나요? : http://tv.naver.com/v/1479534

10. 전원주택 AS는 어떻게 진행되고 몇년까지 보증되나요? : http://tv.naver.com/v/1479537

11. 전원주택 단층과 2층으로 지을 때 비용차이가 많이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9547

12. 전원주택 성토한 땅에 바로 시공할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9558

13. 강화도 이강리 전원주택. 오픈하우스 현장 : http://tv.naver.com/v/1497662

14. 전원주택에 스타코플렉스를 왜 사용하나요? : http://tv.naver.com/v/1599468

15. 전원주택 데크에 대해 알려주세요. : http://tv.naver.com/v/1599480

16. 집짓기 착공전 준비사항은 어떻게 되나요? : http://tv.naver.com/v/1599505

17. 목조주택에서 가장 많이 나는 하자와 그 빈도는? : http://tv.naver.com/v/1672388 

18. 조영구 트랜드 핫 이슈. 전원주택 쇼핑몰 : http://tv.naver.com/v/1682435

19. 전원주택 계약시 속지 않기 위한 방법은? : http://tv.naver.com/v/1684870

20. 전원주택 추가공사 왜 공사 전에 미리 말하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688493

21. 강화마루, 강마루, 장판 무엇이 좋나요? : http://tv.naver.com/v/1692136

22. 목조공법으로도 3층 이상으로 높게 지을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698287

23. 목조주택 2층에 시멘트 방통시공. 목조에 부담을 주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701955

24. 전원주택 바닥 방통없이 난방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http://tv.naver.com/v/1728947

25. 2억4천만원. 경기 광주 전원주택을 소개합니다. : http://tv.naver.com/v/1732431

26. 전원주택. 철근콘크리트가 목조보다 더 튼튼할텐데도 목조로 집을 짓는 이유가 있나요? : http://tv.naver.com/v/1735979

27. 내 땅에 흙을 마음대로 받아도 되나요? : http://tv.naver.com/v/1739333

28.  지진이 늘어나는데 중목이 아닌 경량 목구조는 약하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743684

29. 땅이 낮아 성토하고 싶어요.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 http://tv.naver.com/v/1746299

30. 전원주택. 여름공사와 겨울공사 단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 http://tv.naver.com/v/1759345

31. 전원주택 회사. 정말 안전한 업체인지 확인하고 싶어요. : http://tv.naver.com/v/1766577

32. 목조주택이 몸에 좋다는데 어차피 본드나 벽지도 바르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817543 

33. 전원주택 브랜드업체들의 이윤이 너무 높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834510

34. 전원주택 땅을 살려는데 종류가 너무 많아요. 혹시 집을 지을 수 없는 땅도 있나요? : http://tv.naver.com/v/1862326

35. 사람들이 목조주택을 짓게 되는 계기가 있을까요? : http://tv.naver.com/v/1866671

36. 건설업체가 안전한 업체인지 알아보는 법! : http://tv.naver.com/v/1918266

37. 미국식 창호와 독일식 창호의 차이 : http://tv.naver.com/v/1934487

38. 하자이행보증증권에 대해 알아보자 : http://tv.naver.com/v/2011225

39. 제주도에 집 지을 때 주의해야 할 점 : http://tv.naver.com/v/2011251 



매거진의 이전글 춘천시 장학리 허**님 착공 스타트 - 정다운 건축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