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시가(詩家)인지 시인(詩人)인지】

{언어의 구분법}

[아버님 묘원에서]


















소설가(小說家)는 집가(家) 자를 붙이고 시인(詩人)은 사람인(人) 자를 붙여 구분한다.

또한 희곡작가나 평론가 혹은 비평가 등은 모두 집 가를 붙여 구분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고 이해가 안 된다.

필시 사람 인(人) 자는 집(家)을 구성하는 인원의 개념일 것이라면 굳이 그렇게 붙여야 할 이유가 모호하기 때문이다.

혹여 어떤 의미로도 개념이 정리된 개념이 없는 것으로 생각해보면 시인이라고 굳이 인(人) 자를 붙여 고집할 이유가 있을까 라는 의문이다.

사전적 의미로는 시인은 시를 잘 짓는 사람 혹은 그런 사람이라고 정리하지만, 시가라는 말을 찾아보면 시인이라는 동등한 개념으로 말하고 있다.



사실 인간이라고 말을 하면 도덕적 상식적 상상이 떠오르지만 가를 붙이면 집안의 구성원 즉 문학의 구성원이라는 뜻도 예외일 수는 없을 것 같다.

시인, 소설가, 수필가, 평론가, 희곡 작가 등으로 모조리 문학 집안의 구성원을 두루뭉수리 암시에서는 시인이라는 의미는 가장쯤의 개념의 냄새가 난다.

물론 어느 장르의 우열을 가리기 위함이 아니라는 전제가 앞서야 한다.

문학은 모두 소중한 인간사를 소재로 선택하고 또 그런 특징을 담는 점에서 다만 문학이라는 그릇의 용어가 될 뿐이다.



독일에서는 시를 응축(凝縮)이라 칭하고-

이는 그들의 실용 주위 특성이 담겨있지만, 서양의 Poen은 ‘만들다’‘행하다’의 뜻이 담겼고 poetry에서는 주로 시 정신을 운위(云謂) 하지 않고 수필가에 도덕적인 의미를 찾기 힘든 것도 사실이다. 하필 왜 시에서 ‘만들다’‘행동하다’의 뜻, 전자에는 제작과 후자에는 도덕적인 개념의 ‘행하다’의 암시를 천천히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공자도 시를 알면 정치를 알고 있다는 말은 시와 바름 <정치>의 순서에서는 확실히 도덕적 의미가 담긴다. 예치(禮治)는 덕치(德治)란 목적에 당도하는 공구(工具)와 같다는 의미가 아닐까? 이규보의 <백운소설>에 “부시 이의주(夫詩意爲主)” 나 최자의 <보한집>에는 “시는 기를 위주로 하나, 기는 성에서 발하고, 의는 기에 의거하고, 말은 정에서 나오고 정은 곧 의이다”에서 뜻을 거론한다. <시경>에서도 마음이 흘러가는 것을 적은 것이다. 마음속에 있으면 지(志) 요 이를 표현하면 시가 된다, 는 말은 지(志)와 의(意)가 동일한 개념 속에 있다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志)나 의(意)가 공통의 의미라는 한정을 만나게 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인간의 심지(心志)를 파악하는 길을 만나는 상징에 근접하기 때문이다.

왜 그런가 하면 한 편의 시에는 시인들의 모든 삶과 인생이 담기는 것이다.

심지어 인품과 성정의 모든 세세함이 연출되는 고백의 형태를 접하는 일은 시가 가지고 있는 장점이다.

허구를 접하는 감성과 진실의 속살 진솔한 정신은 그 만나는 차이가 엄존하기 때문에 아마도 시는 도덕적인 무게의 시인이 됨으로써 비로소 궁극의 종점이 파악되는 길을 만들게 된다는 뜻에서 본다면 사람이 글을 쓴다는 것은 도덕률이나 예의를 갖춘 조건을 말하는 강조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요즘 문단 선거철이 또 되었나 보다. 이쪽저쪽에서 메일을 보내고 있고 자기 자신의 프로필이라고 자랑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위세를 부리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자기네 편이 되어야 한다며 여기저기 야단법석이며 온갖 말 폭탄에 심히 우려함에 조마조마하다.

우리 시단이나 문단은 가슴과 정신은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으며 자기 위치나 줄 서기에 바쁘고 내가 이사장이 되어야 한다는 말장난이나 지엽적 말단 일상의 에피소드에 희롱당하는 시단, 문단의 걱정이 앞서며 우리 문단도 모두가 희생하고 봉사하는 단체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며 한국 문단이 하나로 뭉쳐 나가는 모습을 기대할 뿐이며 그렇게 되기를 소원하면서 에필로그 한다.


2022. 09. 17.


금요 저널 주필/칼럼니스트/

이승섭 시인[

작가의 이전글 [전통은 우리가 지켜야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