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왕고래 Jul 18. 2016

내 얼굴값은 얼마

서구적 미인 vs 한국적 미인


외모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처음으로 거울 속 내 모습에 취향을 담아내려 애썼던 순간부터 그랬던 것 같다. 아니, 인류는 훨씬 더 오래전부터 더 예쁘고 멋진 모습을 갖기 위해 노력해왔다.


더 좋은 외모를 위해 소비되는 화장품의 양은 하루 수톤에 다른다. 지금 이 순간도 미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시간과 비용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이 넘쳐나서다. 겨울이 끝나갈 때쯤 헬스장은 대목을 맞이하는데, 좀 더 많은 외모가 드러나는 여름을 준비하려는 사람들 덕이다. 패션, 미용, 잡화 등, 외모 관련 산업의 지표는 장기간 우상향으로 성장해왔다. 이처럼 인류는 어제보다 오늘 더, 외모에 관심을 갖는다.


행복에 대한 주제 역시 외모를 빼놓고는 얘기할 수 없다. 먼저 고집스레 심리학적 태도를 견지하자면, '내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들이 많다. 학문의 성격 자체가 인간 내부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이해 가능한 수준으로 정립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면의 흐름을 알아채고 외부 환경과의 균형을 이루는 것을 중요시 여긴다.


내면의 중요성. 그래, 기억할 만한 가치는 있을지 모르겠으나 왜인지 내 삶과는 동떨어진 듯한 느낌을 준다. 실제로 경험하는 일상에서는 내면보다 외모가 강력한 역할을 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내면은 전달될 때까지 긴 시간이 필요한 반면, 외모가 평가되는 시간은 1초가 채 안 걸린다. 한번 정해진 인상은 꽤 오랜 시간 동안 나의 '내면까지' 대변해버리기도 한다. 관계 속에서의 가치, 사회적인 성과가 외모의 영향을 받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보인다. 더 나은 외모는 더 좋은 기회를 얻는다. 어쩌면 '내면 따위'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우러어...?" / "아니.. 안 울어."


무시해버리기엔 무시무시한 외모, 특히 얼굴은 그중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


아름다운 얼굴의 기준과 그 영향에 대해 소개하려고 한다. 글이 꽤 길다. 심지어 눈물 없인 읽어 내려갈 수 없는 차디찬 연구결과를 공유할 참이다. 즐거운 하루를 원한다면 여기서 멈춰야 한다. 평소 눈물이 많다면 미리 손수건을 준비할 것.



아름다울수록 더 많은 혜택


외모에 대한 연구들은 미인이 누릴 수 있는 다양한 긍정적 기대 및 혜택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상대방의 외모가 뛰어날수록 '더 많이 믿으며 더 많은 친절을 베푸는' 경향이 있었다. 심지어 빼어난 외모를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더 똑똑하고 재밌고 사교적이고 독립적이며 안정적'일 거라고 평가받는다고 한다. 서럽게도, 누군가는 옅은 미소 한 방으로 취하는 것들을 나는 시간과 노력을 들여 얻어내야 한다는 의미다.


아직 눈물을 떨구긴 이르다. 외모 수준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에 비해 연봉이 5~10% 더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기업의 관리자들 역시 외모가 사회적 인정이나 성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한다. 아, 그리고, 신생아들조차 매력적인 얼굴을 더 오래 바라본다.


뭐, 굳이 더 많은 연구결과를 봐야 할까. 지나버린 시간 속 숱한 경험들이 이미 알려주었다. '외모가 전부는 아니다. 노력해서 더 좋은 가치를 지녀라. 그런데 죽도록 노력해서 도달한 그곳에도 예쁘고 잘생긴 것들은 있더라. 어디에나 있었다. 항상 그곳의 나보다 더 많은 혜택을 누린다'라고.


그래서 누구나 더 좋은 외모를 갖기 위해, 혹은 부족한 외모를 보완하기 위해 크고 작은 노력을 한다.


"아가야... 왜... 왜, 눈은 왜 가리는데, 뭐 못 볼 거라도 본 거야...?"



더 좋은 외모란 무엇일까.


아름다움, 즉 미의 기준은 누가 어떻게 정한 걸까. 이왕 노력할 건데 잘 알 필요가 있다. 거울 앞에서 처음으로 멋을 내봤을 때처럼, 기준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얼굴을 구기고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다행히도 이미 수십 년간 여러 연구자들이 미의 기준을 알아내려는 시도를 해왔다. 그렇게 수많은 논문들이 쓰고 반박되고 다시 쓰이는 시간이 반복되면서, 미의 기준이 '보편적 관점, 문화적 관점, 감성적 관점' 이렇게 세 가지 관점으로 정립되었다. 하나씩 뜯어보겠다.




#. 보편적 관점의 미인

Johnston & Oliver-Rodriquez, 1997


보편적 관점은 '단 하나의 미적 기준이 있다'는 전제를 갖고, 그것을 알아내고자 하는 관점이다.


대표적인 이론으로는 '평균가설(Averageness Hypothesis)'이 있다. 얼굴을 수학적으로 따져봤을 때, 더 많은 얼굴의 평균치가 더 아름답다는 가설이다. 이게 말이 되나 싶은데, 연구 결과 10명의 얼굴을 하나로 합성한 사진과 100명을 합성한 사진을 제시했더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100명 사진을 더 아름답다고 평가했다. 즉, 1,000명의 사진을 합성하면 더 아름다운 얼굴을 확인할 수 있다. 전 인류의 얼굴을 합치면 가장 정확한 미의 기준을 알게 되는 셈이다.


Tccandler라는 미국의 유튜브 채널에서는 매년 세계 미인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K-pop에 대한 관심이 높아서인지 한국 아이돌이 순위에 다수 포함되어 있고, 때문에 국내에서도 몇 번 이슈가 된 적이 있다. 여성 중에서는 2015년에 <애프터스쿨>의 '나나'가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남성 중에서는 <BTS>의 '뷔'가 2017년, 같은 그룹의 '정국'이 2019년에 1위를 차지했다.


2021년 결과에서도 제니(30위, 블랙핑크), 지수(26위, 블랙핑크), 유아(20위, 오마이걸), 로제(17위, 블랙핑크), 슬기(13위, 레드벨벳), 나나(10위, 애프터스쿨), 쯔위(7위, 트와이스), 낸시(5위, 모모랜드) 등, 많은 한국 아이돌 가수들이 상위권에 포진되어 있었으며, <블랙핑크>의 '리사'가 1위를 차지했다.



마찬가지로, 남자 순위에서도 차은우(41위, 아스트로), 진(35위, BTS), 태용(26위, NCT), 방찬(24위, Stray Kids), 원호(21위, 몬스타엑스), 지민(14위, BTS), 현진(12위, Stray Kids), 정국(5위, BTS), 뷔(3위, BTS) 등, 얼굴에서 빛이 반짝반짝 나는 한국의 스타들이 상위권에 자리 잡았다. (묘하게 뿌듯해서 한 명 한 명 적게 되네. 이게 대리만족이라는 건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외모를 꼽으려는 이 같은 접근은, 앞서 언급한 보편적 관점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만약 공신력 있는 조사를 통해 발표된 순위였다면, 1위를 차지한 '나나, 리사' 그리고 '뷔, 정국' 씨의 얼굴에는 우리 언니나 누나, 남동생, 그리고 내 얼굴이 포함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가장 많은 얼굴의 평균치일 테니까.


음, 곰곰이 생각해보니 뭔가 이상하다.


위의 이론이 맞다면, 내 방의 거울을 비롯해 주변에 보이는 오징어, 꼴뚜기, 대구 명태 거북이가 힘을 합친 100명의 평균 얼굴이 '원빈, 장동건, 정우성' 단 3명의 평균 얼굴보다 잘생겨야 한다. 그런데 굳이 직접 해보지 않더라도 100명보다 나은 3명의 조합을 부인하긴 어려울 것 같다.


평균가설은 미의 기준에 대한 중요한 방향을 제시했지만, 후속 연구들에서 이 같은 여러 반론이 제기됐다. 그 빈틈을 물리적인 분석으로 해소하려는 시도가 있었는데, 대표적으로는 '대칭이론'이 있다.


보편적 관점은 '진화를 위해 짝을 선택하는 조건'이 미의 기준과 가장 가깝다고 여겼다. 인간은 진화된 후손을 위해 더 나은 짝을 찾아왔으며, 그런 조건들이 모여 '아름다움'의 기준이 되었다는 것이다. 대칭이론 역시 이러한 관점을 따른다. 좌우 대칭 수준이 높은 얼굴은 건강함, 이성으로의 매력, 높은 번식 잠재력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면서 그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능력이 부족할 경우 얼굴 대칭에 편차가 생기는데, 따라서 대칭적인 얼굴은 다양한 환경에서의 생존력, 다음 세대에 대한 능력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런 얼굴이 더 예쁘고 잘 생겨 보이게 된 것이다.


아래는 할리우드 스타들의 얼굴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만 합성한 이미지다. 그들의 좌우대칭 수준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왠지 내가 하면 세 얼굴이 완전히 다른 사람일 것 같은 슬픈 예감이...)



(출처: http://www.youbeauty.com/)


그런데 대칭이론 역시 동일한 한계가 있다. '대칭적인' 오징어 꼴뚜기 대구 명태 거북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들을 아무리 모아 모아 평균을 낸다고 한들. (하... 그만 쓸까.) 자, 그래서 보편적인 관점으로는 미의 기준을 모두 설명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문화적 관점의 미인

Rhee & Lee, 2010; Wheeler & Kim, 1997


아시아 사람들은 서양 사람들에 비해 '성적인 성숙함'을 나타내는 얼굴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한다. 앞서 살펴본 보편적 관점의 한계를 나타내는 연구결과이며, 국가별로 미의 기준이 다를 수 있다는 조건을 남긴다. 이처럼 미의 기준은 환경에 따라 변한다고 여기는 것 '문화적 관점'이다. 즉, 미의 기준은 그 문화권에서 학습된 이상향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문화별로, 역사적 시기별로 미의 기준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19세기 우리나라의 미인상에는 '둥근 얼굴, 눈꼬리가 올라간 외꺼풀, 짧고 둥근 코 등'이 포함돼 있었다. (물론 그런 외모를 가진 연예인들이 각광받는 경우도 있지만) 19세기의 미인상이 최근의 기준과 같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른 인종 간 유명 연예인의 사진을 각각 합성한 연구에서도 각 인종 간 광대, 턱, 눈의 기울기 등에서 서로 다른 특징들이 나타났다. 합성한 얼굴을 해당 문화권의 대표 미인으로 보긴 어렵겠지만 각 문화 간 미인에 대한 기준이나 이상의 차이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5개 문화권의 미인 합성 이미지가 각기 다르다(Rhee & Lee, 2010).




#. 심리적 관점의 미인

Kim, Park & Chung, 2006


심리적 관점은 아름다움이 ‘외모를 지각하는 사람이 느끼는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반응의 합’이라는 관점이다. 따라서 얼굴의 물리적인 생김새만 분석하기보다, 그에 대한 심리적 반응을 같이 평가해야 한다고 본다. 예컨대 '큰 눈, 오뚝한 코, 그리고 두꺼운 입술'을 가진 얼굴은 '활발한, 자유로운, 적극적인, 서구적인'과 더불어 '까다로운, 고집 있는, 예민한'과 같은 심리적 특성을 갖고 있었다.


가장 심리학적인 성격에 가까운 관점이라고 볼 수 있으며, 미의 기준을 '못났다-잘났다'의 1차원적 접근에서 여러 유형으로 확장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한국 미인의 기준


위의 연구 결과들이 알려주듯, 좀 더 우리 문화권에서 심리적인 맥락에 맞는 얼굴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짙은 쌍꺼풀, 길고 오뚝한 코 등, 무작정 서구적인 미모를 좇다가는 오히려 실제 미인으로부터 멀어질 수도 있다. 그럼 이를 활용하여 한국적인 미인을 찾아보자.


우선 한국의 미인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여성에 대한 자료가 월등히 많다. 여성 기준으로 살펴보겠다. '연예인 ○○○의 눈 + □□□의 코 + △△△의 입'과 같은 내용을 기대하고 있다면, 그런 내용은 없음을 미리 밝힌다.)


문화적 관점에 따르면, 외모는 그 시대 및 사회의 이상적인 기준에 따라 판단된다. 한국 여성의 미인상 역시 이 같은 역사‧문화적인 흐름에 따라 변화했는데, 크게는 서구문화 유입이 활성화된 20세기를 기점으로 나눠볼 수 있다. (정작 세계는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높게 평가하는데)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당시의 서구적 아름다움을 따르곤 한다. 성형 및 미용 방식에도 이 같은 서구 지향적 기준이 반영되어 있다.


20세기 정치가 및 지식인들은 한국 사회가 일본의 식민지하에 놓이게 된 원인이 '봉건적의 삶의 방식을 고집하며 서양의 선진문물을 도입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많은 사람들이 서양 기준에 빨리 적응하는 것이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갖고 더 빨리 발달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이런 생각들은 6·25전쟁 이후 서구 문화가 유입되는 속도에도 촉진제가 되었으며, 무역의 증가, 발달된 커뮤니케이션 기술도 빠른 변화를 견인했다. 이제 언제든 어렵지 않게 서구적인 문화권의 미디어를 접할 수 있으며, 지구 반대편의 누군가와도 손쉽게 교류할 수 있다. 미의 기준 변화 역시 유사한 흐름과 속도에 따라 서구적 가치가 반영된 셈이다.


그래서 20세기 미인상은 '둥근 얼굴, 넓고 반듯한 이마, 길쭉한 눈, 눈꼬리가 올라간 외꺼풀, 숱이 적은 초승달 눈썹, 선이 짧고 둥근 코, 작고 붉은 입술'이었던 반면, 21세기의 미인상은 '갸름한 얼굴, 쌍꺼풀, 큰 눈, 높은 코 등' 기존과 상반되는 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심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21세기 미인상은 ‘섹시한, 도도한, 능력 있는, 성숙한'과 같은 특징들이 나타났다. 이는 서구적인 문화권에서 갖는 미인의 특성과 유사하다.


20세기 미인상 (미인도, 신윤복) & 21세기 미인상 (연예인 합성 사진: 김태희, 이영애, 한가인, 한예슬, 송혜교, 손예진, 이민정)


이러한 변화는 아름다운 몸에 대한 기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조선시대에는 아이를 잘 낳을 수 있고 힘든 일도 거뜬히 소화할 수 있는 '건강한 골격, 풍만한 엉덩이와 허벅지'가 아름다운 여성 몸을 의미한 반면, 최근에는 '서구적이고 마른 몸'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1950년부터 2002년까지 미스코리아의 선정 기준에서도 동일한 기준 변화를 엿볼 수 있다. 1979~81년 미스코리아의 평균 신장/체중은 166cm/50kg인데, 이는 더 과거인 1962~1972년에 비해 키가 약 10cm 더 커지고 몸무게는 2.4kg 줄어든 수치다. 2000년대는 173cm/50kg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 길고 날씬한 여성이 한국을 대표한다. 그래서인지 여성의 약 30~40%는 정상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뚱뚱하고 느낀다.



많아지는 미인, 좁아지는 기준


한국은 성형 강국이다. 외모가 성공에 있어서도 중요하다고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상당수의 사람들이 성형수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고, 그 안에서도 시술과 수술을 구분하는 등, 이전에 비해 많이 보편화되었다. 국제미용성형수술협회(ISAPS)에서 발표한 2009~2011년의 세계 성형수술 통계에 의하면 한국은 성형수술을 가장 많이 한 상위 25개 나라 중 7위를 차지했으며, 각 나라별 성형외과 수에서도 7위, 성형수술 비율에 대한 조사(이코노미스트, 2012)에서는 1위를 차지했다. 그 기술이 워낙 좋다 보니 성형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외국인들도 굉장히 많다. 즉, 우리나라에서는 누구나 결심만 하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얼굴에 근접할 수 있다.


이쯤에서 고백한다. 이번 생에서 아름다운 얼굴을 가져보지 못한 나로서는, 미인이 더 좋은 삶을 누릴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이 있다. 따라서 이 글은 미인을 흉보는 글이 아니며, 예뻐질 필요가 없다고 비현실적 안정제를 주입하려는 의도도 없다.


요는 '어떻게 예뻐질까'에 대한 고민이다. 한국에서 미의 기준은 가파르게 변화했다. 수십 년 전 한국의 기준에 맞춰 둥근 얼굴을 만들 필요가 없듯, 반드시 최근의 서구적인 기준에 맞춰 커다란 눈을 갖춰야 하는지도 고민해볼 수 있다. 이제 얼굴이라는 게 단순히 예쁘거나 못난 것이 아닌, 그에서 유발되는 심리적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내가 원하는 얼굴이 앞으로 지향하는 삶과 가까운지 따져봐야겠다. 이상적이라고 생각한 얼굴이 특정 상황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갖고 올지도 모른다. 예컨대 동일한 얼굴이라 해도 데이트 상대로 생각할 때, 일생의 반려자로 생각할 때, 업무 파트너로 생각할 때에 따라 달리 평가될 수 있다.


왠지 서구적인 미인이 갖고 있는 수만 가지 장점을 뒤로하고 안 익은 여드름 짜듯 단점을 찾아내는 것 같아 슬픈 느낌이 들지만, 서구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얼굴이 갖는 심리적 특성을 좀 더 비교하겠다. 그래야 선택이 쉬워질 테니.



한국적 미인 vs 서구적 미인


첫인상에 대한 연구에서는 서구적으로 '더 예쁜' 여성이 '덜 예쁜' 여성에 비해 사교적이고 외향적이나 덜 따듯하고 허영심이 많을 것이라고 평가되었고, 가정과 직장에서의 역할 수행에 대해서도 그 기대치가 낮게 나타났다.


20대를 대상으로 한 미의식 연구에서는 잘 갖춰진 얼굴의 미인을 이상형으로 생각하면서도 나름의 자연스러운 모습 또한 소중하게 생각하는 양상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예컨대 너무 큰 눈, 뾰족한 코, 과장된 윤곽을 가진 얼굴을 미인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동시에 거부감을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보다 최근의 심리학 연구에서는 서구적인, 전통적(한국적)인 얼굴을 대인관계 맥락인 '성격 관점, 업무상황, 사회적 거리감, 친밀함'의 기준에 따라 나누어 조사했다. 예를 들어, 각 얼굴에 대해 '함께 일(또는 조별과제)을 하게 됐을 때, 친구로서 중요한 비밀을 공유할 수 있는지, 연인이라면 나를 배려할 것 같은지 등' 실제 관계를 가정하여 질문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가 꽤 흥미로워서 좀 더 자세히 다뤄보겠다.


우선 서구적인, 전통적(한국적)인 미인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선 그에 해당하는 대표 얼굴을 정해야 한다. 연구에서는 400여 장의 사진을 시작으로 세 차례에 걸친 예비 조사 및 선별 작업을 통해 아래의 얼굴이 선정되었다.



서구적인 미인상. 진한 이목구비, 쌍꺼풀, 큰 눈, 선이 길고 높은 코, 대체로 날렵한 형의 얼굴.


전통적(한국적)인 미인상. 얇은 이목구비, 외꺼플, 선이 짧고 둥근 코, 대체로 둥근형의 얼굴.




머릿속으로 그렸던 이미지와 부합하는가.

그러면 각 대표 얼굴이 '성격 관점, 업무 관계, 사회적 거리, 친밀한 관계' 4가지 맥락에선 어떻게 인식되는지 살펴보겠다. 결과를 보기 전에, 내가 어떤 얼굴을 지향하고 있는지, 그 얼굴이 관계 맥락에서 어떤 인상을 가질지 미리 예상하고 보면 재밌을 듯. (본문 하단에 요약표를 두었다.)




#성격 관점

어떤 성격으로 보일까.


대표 얼굴에 대한 성격 요소들을 비교해 본 결과, 연구 참가자들은 서구적 얼굴이 (전통적 얼굴에 비해) 더 '외향적이고 자신감 있는, 활발한' 성격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대로 전통적 얼굴은 더 '정서적으로 안정된, 친화적인' 첫인상을 갖고 있었다.


서구적 미인: 외향적, 자신감있는, 활발한 / 전통적 미인: 정서적으로 안정된, 친근한


호감도에 대한 추가 조사 결과에서는 전통적인 얼굴이 더 높았다. 상대적으로 선이 굵고 강한 인상의 서구적 미인은 호불호가 분명해 보이기 때문에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반면, 선이 얇고 부드러운 전통적 미인은 상냥할 것으로 지각하여 호감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호감도가 높고 접근하기 쉬운 게 꼭 좋지만은 않을지도 모르겠다. 척박&야박&독박 삼박자가 버무려진 사회생활에 있어선 접근하기 어려운, 이른바 '센 언니'의 포스가 오히려 효과적일 수도 있으니까.


"대리님, 아까 뭐 할 말 있다고 하지 않았어요?"




업무 관계

같이 일을 하게 된다면?


업무 시 고려되는 여러 요소들로 두 유형의 얼굴을 비교해 본 결과, 자신감, 신체적 능력, 긍정적 태도, 신중함 4가지 요소에서 심리적 반응의 차이가 있었다.


사람들은 서구적 얼굴이 더 자신감 있고, 신체적 능력이 좋을 것으로, 전통적 얼굴이 더 긍정적이고 신중할 것으로 응답했다. 이 결과가 맞다면 마케팅 부서에는 서구적 얼굴, 연구/개발 부서에는 전통적 얼굴이 많을 것 같다. 면접 시에도 그런 인상이 어느 정도 반영될 테니.




사회적 거리

얼마나 가까워질 수 있을까?


'사회적 거리'는 상대방과 얼마나 가까운 관계인지 알아볼 수 있는 척도다. 가령 '이 사람을 길에서 마주치면 어떨지'와 같은 1단계(피상적 거리)부터 '평생 알고 지낼 사람으로서 어떤지'와 같은 4단계(친밀한 거리)까지 나뉘며, 이에 따라 두 얼굴의 첫인상을 비교하는 설문이 진행됐다.



그 결과 모든 단계에서 전통적 얼굴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사람들은 서구적인 외모보다는 전통적인 외모의 여성으로부터 관계의 시작과 더불어 가깝고 깊은 관계까지도 더 긍정적인 첫인상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1, 2 단계에선 서구적 얼굴이 더 좋은 인상을 가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놀라운 결과였다.




친밀한 관계

내 사람이 될 수 있을까.


한국인의 대인관계를 다루는 데 있어서 '정'을 빼놓고는 얘기하기 어려운 것 같다. 정을 달리 말하면 '정서적 유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친밀한 관계, 가령 절친이나 애인, 결혼 상대를 정하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서적 유대가 형성 및 유지되기 위해 중요한 요소는 '다정다감성, 타인에 대한 배려, 인간적 연약성'이라고 한다. 당연하게도 나에게 따뜻한 말을 건네고 배려해 주는 상대와 친밀한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셈.


서구적/전통적 얼굴을 정서적 유대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3가지 모두에서 전통적 얼굴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응답자들은 전통적 얼굴이 더 정서적 유대를 쌓을 수 있는, 즉 자신과 친밀한 관계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한 셈이다. '사회적 거리'에 대한 결과와 결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흥미로운 요소는 '인간적 연약성(Weakness of heart)'인데, '스스로의 어려움을 상대방에게 공유하는 것, 상대방의 어려운 상황을 거절하거나 모른 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적 연약성이 정서적 유대의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은 한국인의 대인관계가 '개인주의적 가치와 독립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서양 문화권에 비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조화를 중시하는 '상호의존적 자아개념'에 기인한다는 점을 나타낸다.


연구 결과 3가지 요인 중 인간적 연약성에서 유독 큰 차이가 난 걸 보면, 아무래도 서구적인 외모가 갖는 외향적이고 강한 이미지 때문인 것 같다. 비교적 부드러운 느낌의 전통적 외모에 비해 서구적 외모는 나에게 자신의 결점을 공유한다거나 내 어려운 상황에 도움을 줄 것 느낌이 적게 드는 것.




내 얼굴값은 얼마


본문에 언급한 대로, 이 글은 '어떻게 예쁠까'에 대한 이야기다. 얼굴값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 얼굴값: 생긴 얼굴에 어울리는 말과 행동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이른바 '어디서나 먹히는' 외모는 분명히 있다. 하지만 문화적, 심리적 관점의 연구결과들은 모든 걸 관통하는 답이 없다고 말한다. 미의 기준을 다루려던 글에서 '하나의 기준은 없다'는 결론을 내는 건 "다 같이 열심히 하면 다 잘 돼요. 그런데 쉽진 않아요."처럼 막연히고 무책임한 느낌이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이런 결론으로 다가가게 된다.


그 이유는 '기준'이 가진 한시성 때문이다. 기준은 제한된 범위와 시점이 있어야만 정할 수 있다. 크게는 문화권, 작게는 내가 속한 관계 속에서도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셈이다. 삶의 곳곳을 들여다보면 크고 작은 장면 속에서 각기 다른 미인이 존재할 수 있다.


비록 서두에 '내면 따위'라고 했지만, 내 얼굴에 담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실 내면이 아닐까 싶다. 미인으로 보였던 어떤 이가 시간이 흐르면서 오히려 못나 보이는가 하면, 눈에 띄지 않던 누군가가 어느 날부터 미인으로 보이기도 한다. '얼굴에 무엇을 담는가'에 따라 그곳에서의 미인은 내가 될지도 모른다.


얼굴값, 즉 내 외모만의 매력을 찾고, 그것과 내면의 관계를 따져보면 어떨까. 나의 좋은 면들이 얼굴에서 어떤 식으로 드러나는지, 난 어떤 순간에 가장 행복하며 그때의 내 얼굴은 어떤 모양을 하고 있는지, 그 모양이 내가 바라는 삶과 가까운지 말이다.






** 참고문헌

Barocas, R.,&Karoly, P. (1972). Effects of physicalappearance on social responsiveness.Psychological Reports, 31(2), 495-500.

Dion, K. L.,& Dion, K. K. (1987). Belief in a JustWorld and Physical AttractivenessStereotyp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Social Psychology, 52(4), 775-780.

Hamermesh, D.S., & Biddle, J. E. (1994). Beauty andthe labor market. American EconomicReview, 84(5), 1174-1194.

Johnston, V.S.,& Oliver-Rodriquez, J.C. (1997). Facial beauty and the late positive component of event-related potentials. The Journalof Sex Research, 34(2), 199-198.

Kim S. J., Park S. J., & Chung C. S. (2006). The trend of facial attractiveness: on affective facial model for a Miss Korea's fac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4(2), 340-343.

Kim, H. K., Park, S. J., & Chung, C. S. (2004). The affective components of facialbeauty.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Emotion & sensibility, 7(1), 23-28. http://www.riss.kr/link?id=A5018362

Kim, H. S. (2009). The war of 6.25 and cultural changes of Korean society. Seoul, Korea: Sun In.

Kim, Y. M., Kim, Y. H., & Park, K. S. (2012) Effectsof Physical Appearance and Height onWage. Korean Association of AppliedEconomics, 14(1), 1-22. http://www.riss.kr/link?id=A60135301

Park, O. R., & Song, M. Y. (2005). Anthropometric studies on the analysis of women’s beautiful face. Journal of the KoreanAssociationof Human Ecology, 14(5),813-820.

Rhee, S. C., & Lee. S. H. (2010). Attractive composites of different races.Aesthetic Plastic Surgery, 34, 800-801.

Wheeler, L., & Kim, Y. M. (1997). What is beautiful is culturally good: The physical attractiveness stereotype has different content in collectivistic cultur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 795-800.

이민주, (2004). 조선 후기의 패션 리더 – 기생, 한국 민속학 39. pp. 245-270.

작가의 이전글 님 글 봤어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