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타츠루 Jan 13. 2022

질병은 우연이지만 환자됨은 필연이 아니다

우연의 질병, 필연의 죽음

미야노 마키코, 이소노 마호 지음, 김영현 옮김. "우연의 질병, 필연의 죽음" 다다서재 2021.

이 기묘한 편지를 써보자고 말을 꺼낸 사람은 바로 저, 미야노 마키코입니다. 처음 기획할 때만 해도 꽤 폭넓은 분야를 아우를 예정이었지만, 뒤늦게 정신을 차리고 보니 결국 생과 사를 둘러싼 다큐멘터리이자 생과 사를 함께하는 사람들의 해후에 대한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혹은 병에 걸린 한 철학자가 '영혼의 인류학자'에게 기대며 내보낸 말들을 기록한 책이라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



이 책을 쓴 두 저자 중 한 명인 미야노 마키코는 책의 들어가는 말을 저렇게 시작했다. 그녀는 거의 숨을 거두기 직전에 이 책의 들어가는 말을 썼다. 두 저자 사이의 편지를 보건데, 거의 마지막 즈음(이라고 써도 될지 모르겠지만) 미야노 마키코 씨는 모르핀을 맞고도 고통을 느끼며, 정신을 차려가며 저 들어가는 말을 썼을 것이다. 책에 필요한, 아니면 더 이상 끌고 갈 수 없는 상태에 이르고서야 책을 만들기 위한 마지막 작업을 했다. 나는 책을 읽기 시작하며 어떤 무게감도 없이 책으로 돌입했지만, 나는 한 이 주 정도 책을 손에 잡지 못했고, 작년(?)에 시작한 책을 오늘에야 끝내게 되었다.


암에 걸린 철학자와 그렇게 친하지 않은 의료인류학자가 주고받는 편지는 참 좋은 콘셉트이다. 암이란 생활밀착형일 수밖에 없으니 형이상학적인 철학자를 끌어내리기 좋은 소재이다. 두 사람의 편지라 독자는 곤란한 질문을 던지지 않고 쳐다보기만 하면 된다.


나에게 이 책을 빌려주신 선생님은 노트에 필기까지 해가며 책을 읽느라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했지만, 나는 처음에는 술술 이 책을 읽어 나갔다. 철학자의 우연에 대한 생각도, 인류학자의 인간에 대한 관찰도, 암이라는 질병도 나는 영화관 맨 뒷자리에서 언제라도 재미없으면 나갈 것 같은 태도로 빠르게 책을 읽어 나갔다. 그러다가 멈추었다.


아버지가 사고를 당하셨고, 그것은 그저 잃어나지 않았어야 하는 우연에 의한 것이었다. 아버지는 그 사고로 오른쪽 발가락을 잃으셨고, 지금도 치료 중이다. 내 곁에 당장 아파 죽겠다 하는 사람을 두고, 나는 다른 아픔의 고통 속에서 그 아픔을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는 이 책을 읽어낼 수가 없었다.


저자 미야노 마키코는 자신에게 닥친 이 불운, 불운의 순간이 자신의 철학을 시험하기 좋은 기회라고 얘기했다. 그리고 자신의 고통과 고통받는 스스로가 누구인지 어떤 상태인지를 밝히기 위해서 끊임없이 쓴다. 당장 내일이 없는 사람처럼 자포자기하고, (책에 나온 것처럼) 100% 환자인 상태를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들의 보살핌에 오로지 의존할 수도 있는데, 그는 그러지 않았다.


두 사람의 편지에 따르면, 우리의 삶이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었던 우연들이 발현된 것이다. 인생에 있어 필연이란 것도 결국은 다양한 우연의 결합일 뿐. 우리는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었던 일을 받아들이면서도 미래를 향해, 아니, 당장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미래가 다가오는 것처럼 힘차게 앞으로 나아간다. 미야노 마키코는 그런 인간의 움직임에 대해서 이야기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그 철학을 *살아낸다.


자신의 고통을 써냈다는 점에서도, 자신의 철학을 살아냈다는 점에서도 저자는 훌륭하다. 이 훌륭한 대화에서 공수를 바꿔가며 함께 대화에 참여한 의료 인류학자의 몫은 이소노 마호 씨는 잘 해냈다.


내 책이 아니라, 띠지를 아주 여러개 붙인다. 우연에 의한 것이지만, 그것들을 받아들이고, 미래를 향해 마구마구 일을 벌이고, 좋아하는 사람, 좋아할 사람들과 어울려 그들과의 시간을 두껍게 만드는 삶. 이 책에서는 그런 삶을 볼 수가 있다.


그다지 잘 알지 못했던 두 사람은 편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편지에서 보이는 것보다 훨씬 친해졌다. 마키코 씨에게 섣부르게 조언하지 않으면서도, 굳건히 응원하는 이소노 마호 씨의 글을 보면서 나는 눈물을 흘리게 된다. 마치 내 친구를 잃는 것처럼, 응원하는 것처럼.


당연하지만 이 책에 실린 우리의 편지에 거짓은 없습니다. 다만 실제로 우리의 관계는 편지에 담긴 것보다 훨씬 입체적이었고, 그 입체성이 바탕에 있었기에 편지를 쓸 수 있었습니다. 용태가 점점 나빠지는 사람과의 관계는 심각할수록 어두침침하고 견디기 괴로운 것이 되기 십상입니다. 그렇지만 몸이 아픈 사람의 일상은 아픔만으로 가득 차 있지 않으며 다른 무언가가 끼어들 여지가 있습니다. 그 여지는 몸이 아플수록 점점 좁아질지 모릅니다. 하지만 몸이 아픈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함께 여지를 지키려 하는 노력에야말로 만나며 살아가는 삶의 의미가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