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슬로그업 Nov 05. 2016

대한민국이라는 열차에서 문 열기

스타트업 관람가 35. <설국열차>

어처구니없는 일 앞에 전 국민이 분노하고 있습니다. 박근혜, 최순실, 최태민, 탄핵, 하야, 시국선언, 특검… 실시간 검색어만 봐도 사람들이 얼마나 화가 났는지 알 수 있습니다. 세계 정치사 전집을 통째로 펼쳐본대도 이처럼 황당하고 쪽팔린 일이 또 있는가 싶은 사건인 것 같습니다.


장르나 강도 면에서 상상을 초월하긴 했지만, 사실 언젠가 터질 것이 때가 되어 터졌다는 느낌도 듭니다. 권력을 움켜쥔 자들의 부정부패 악취를 못 느끼는 사람은 없었죠. 극장만 가봐도 그랬습니다. <설국열차> <더 테러 라이브> <내부자들> <베테랑> <터널> 등 언제부턴가 크게 흥행한 한국영화 중엔 부조리한 사회구조에 분노한 작품이 많습니다.


극장이 분노하는 동안 서점은 거의 병원이 되었습니다. 이제 서점은 아프고 힘들어서 위로받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스크린 안의 권선징악을 보며 대리만족을 느끼고, 불량식품 같은 책 속에서 새콤달콤한 위로를 찾는 일이 이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생활입니다. 판타지만이 위안이라니, 얼마나 슬픈 사회구조인가 싶습니다.



지금 대한민국과 가장 잘 어울리는 한 편의 영화는 <설국열차>가 아닐까 합니다. 칸칸이 나뉜 계급구조, 좋은 자리를 꿰찬 자들의 몰염치, 엔진을 장악한 소수와 부품이 된 나머지 사람들. 전에 영화를 봤을 땐 열차에 들어찬 이런 부정적 상징들이 과하다고 느꼈습니다. 또 그걸 전달하는 방식이 너무 노골적이라 불편했습니다. 그런데 지금 다시 이 영화를 보니 전혀 과하지 않고, 그냥 대한민국 그 자체였네요. 설국열차는 메이드 인 코리아였습니다.


영화 속 얼어붙은 세상을 내달리는 열차는 하나의 국가와 다름없습니다. 열차 안에서 한정된 자원을 놓고 더 가지려 하는 자본주의 구조를 답습합니다. 머리칸으로 갈수록 호화로운 생활을 누리고, 호화로울수록 염치가 없어집니다. 반면 꼬리칸에선 바퀴벌레 양갱을 먹고 있습니다.


기득권층은 이 구조가 바뀌는 걸 원하지 않습니다. 자원이 공정히 분배돼서 모두가 행복한 세상은 그들이 원하는 세상이 아닙니다. 이들은 늘 더 갖기를 원하고, 그러므로 더욱더착취합니다. 마이크를 들고 “모두에게는 정해진 위치가 있으며, 이 균형을 유지하지 않으면 국가가 무너지고 만다”고 겁을 줍니다. “지도자는 위대하고, 엔진은 신성하다” 외치면서 자발적으로 세뇌당합니다. 엔진은 끊임없이 회전합니다. 부품이 된 대중을 착취하며 얻은 동력으로 말이죠. 열차는 쉬지 않고 정해진 길을 따라 내달립니다.



영화가 현실과 이렇게나 닮았다면, 부조리한 구조를 깨부수고자 영화 속 인물들이 어떻게 대처했는지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변화는 커티스(크리스 에반스)와 남궁민수(송강호)를 중심으로 한 꼬리칸 사람들이 더 이상 소수 기득권층의 세계를 유지하는 부품으로 쓰이기를 거부하면서 시작됩니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 이들이 한 일은 하나씩 하나씩 닫힌 문을 여는 것이었습니다. 갑의 윽박지름과 공포정치에 맞서 악착같이 한 칸씩 전진합니다. 그 과정에 고통이 있었고, 위기가 있었고, 희생이 있었습니다. 결국엔 신념과 희생의 힘으로 엔진을 멈추며 판 자체를 뒤엎어버리죠.



지금 있는 위치, 내가 있는 현실이 맘에 안 든다면 단계 단계 앞으로 나아가는 것 외에 결국 다른 방법은 없다고 말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일은 소신과 용기와 무언가의 희생 없이는 이룰 수 없다고도 영화는 말하는 것 같습니다. 너무나 식상한 나머지 되려 새롭기까지 한 교훈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이게 언제나 정답이라 반박을 못 하겠어서 더 답답합니다.


속상하지만 역시 그런 것 같습니다. 세상 모든 교훈감동재미정보 다 돌아봐도 결론은 이겁니다. 기존의 뭔가가 마음에 안 들면 용기있게 나서야 하고, 용기는 있지만 돈과 빽이 없다면 그냥 겁나 열심히 사는 거밖에 답이 없다는 것입니다. 부조리한 구조가 싫으면 개겨서 틀을 깨야하고, 개기면서도 잘 살려면 뭔가를 겁나 열심히 해야 합니다. 사회구조를 바꾸는 일에 관해서건, 사업을 하며 시장구조를 바꾸는 일에 관해서건 다 마찬가진 것 같습니다.


그렇게 사는 건 당연히 쉽지 않습니다. 사회구조를 바꾸는 일은 말할 것도 없고, 시장구조를 바꾸는 일도 마찬가지겠습니다. 스타트업이라는, 기존의 틀을 깨기 위해 겁나 작정하고 개기면서 사는 사람들을 봐도 알 수 있습니다. 다들 얼마나 열심히 하루하루를 살고 있는지 보면 놀라곤 합니다. 스타트업들이 하는 일은 영화 속 커티스들이 했던 일과 똑같습니다. 한 단계 한 단계 문을 열고 앞으로 나아가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문을 열 때마다 이번엔 또 뭐가 나타날지, 어떤 시련이 닥칠지 알지 못하면서두요. 다만 문 뒤엔 늘 새로운 해결과제가 기다리고 있다는 사실만 알고서 일단 전진합니다.



대한민국이 설국열차라서 안타깝습니다. 정치권은 부패했고, 시장은 소수 욕심 많은 자들이 오래도록 독식하고 있습니다. 갑질과 착취가 일상인 사회구조입니다. 하지만 유심히 보면 아주 조금씩이나마 변화는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것만은 확실하고, 그래서 희망은 있습니다. 지금도 어딘가에서 문이 열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가볼 가치는 있습니다. 하나씩 당면한 문을 열고 전진하다 보면 문득 상식이 통하는 세상이 열릴 수도, 스타트업은 엑싯이라는 출구를 만날 수도 있겠죠. 저도 더 열심히 개기면서 살겠습니다.


원문보기


매거진의 이전글 개발자와 치킨집은 어울리지 않는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