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안구의 테크수다 May 28. 2016

도라이브 : 'AWS 서밋 2016 – 서울에' 가다

https://youtu.be/PAW2HprzJi0

2013년 처음 첫 선을 보인 이래 그 규모가 빠르게 커지고 있는 글로벌 컨퍼런스 AWS Summit 행사가 서울에서도 열렸습니다.  AWS 측에서는 마이크 크레이빌(Mike Clayville) 글로벌 세일즈 부사장이 방한, 행사를 이끌기도 했습니다.


https://www.awssummit.kr/


도라이브는 5월 17일 A아마존웹서비스 서밋 2016 – 서울 (AWS Summit 2016 – Seoul)이 열리는 서울 코엑스 콘퍼런스를 찾아갔습니다.


현장에서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 윤석찬 애반젤리스트를 비롯해 AWS를 사용하는 스타트업인 미미박스 memebox, 아만다, 연애의 지표가 되다 도르시아(아만다), 망고플레이트 담당자들을 만나보고 또 파트너로 참여하는 비디, 안랩, MaxGauge 엑셈분들을 만나보았습니다.


AWS가 이 기업들에게 어떤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지, AWS를 통해서 이 기업들은 시장에 어떻게 대응하고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지, 어떤 기술을 활용하는지 전해드립니다.


AWS 서밋 서울 행사는 지난 2015년에 이어 두번째로 열립니다. AWS Summit 서울은 IT 기업 행사 역대 최대 규모인 3,000여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AWS 클라우드의 미래를 전망하는 기조연설, AWS 임직원과 고객사 및 파트너사를 포함한 클라우드 전문가들이 전하는 40개에 이르는 다양한 비즈니스 강연과 심화 기술 강연, 파트너 솔루션 전시, 임원 초청 행사 및 업계 동료와의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합니다.


IT기업이 진행하는 단일 행사로는 사상 최대의 규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아마존웹서비스 관계자들을 제외하고 인터뷰 했던 분들 내용을 텍스트를 다시 추가했습니다.



망고플레이트 (13분)

유호석 망고플레이트 공동창업자 겸 CTO

누구신지(소개 부탁 드린다)?

안녕하세요. 망고플레이트(http://www.mangoplate.com) 공동창업자이자 CTO를 맡고있는 유호석이다. 현재 망고플레이트에서 서버파트를 담당하고 있고 망고플레이트 이전에는 카카오에서 서버 총괄을 했었다.


왜 나왔나?

저만의 서비스하고 싶고, 워낙 맛집을 좋아해서 나오게 됐다.


망고플레이트는 어떤 회사인지 설명 부탁 드린다.

저희 망고플레이트는 맛집 검색 추천 서비스로, 사용자의 솔직한 리뷰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쉽고 빠르게 맛집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2013년 10월 출시 이후, 250만 다운로드와 200만 MAU(Monthly Active Users)를 달성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수익모델은?

저희 수익모델은 사용자를 먼저 확보하고 성장이 먼저라고 생각하고 있다.


AWS를 쓰고 있나.

그렇다. 처음에는 AWS를 일부 사용하면서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병행하고 있었다.


AWS를 사용하는 이점, 성과들 간단히 부탁 드린다.

AWS 쓰게되어 첫째로는 지속적 성장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었고, 그 다음으로 운영이슈를 최소화하여 개발자체에 집중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AWS의 서비스인 Amazon EMR, Amazon Redshift 등을 이용하여 저희의 장점인 빅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 할 수 있었다.



미미박스(15분 30초)

김종민 미미박스 Devops 팀

간단히 소개해달라.

저는 미미박스(http://www.memebox.com)의 DevOps팀의 김종민이라고 한다.


어떻게 스타트업에 합류했나?

그전에도 스타트업에 있었다.


미미박스는 어떤 회사인가?

‘내삶을 아름답게’라는 비전으로 전세계에 k-beauty를 알리는 이커머스 스타트업이다. 한국 화장품이 전세계적으로 인기이고, 전망도 밝다. 덕택에 미미박스가 AirBnB, Dropbo x등이 거쳐간 와이컴비네이터(Y-Combinator) 인큐베이팅을 국내최초로 거치고 야후 창업자인 제리 양(Jerry Yang)에게 대규모 투자를 받을 정도로, 전세계 스타트업중에서 손꼽힐 정도로 빠르게 성장했다.


2015년에는 한국, 중국, 미국 세 군데에서 이커머스 플랫폼을 운영 했고 올해부터는 홍콩, 대만, 싱가포르에도 오피스를 내고 확장하여 글로벌로 진출하려 하고 있다.


그렇다면 글로벌 진출을 위해 AWS를 쓰는가?

그렇다. 처음부터 AWS 서비스를 전적으로 쓰지는 않았고, 다른 회사들처럼 국내외 클라우드 서비스와 섞어 쓰다 보니 관리가 복잡했다. 그런데 중국과 미국에 지사가 생기면서, 똑같은 플랫폼을 타 지역에도 똑같이 제공해야 하는 이슈가 있었기 때문에, 12개리전이 있었던 AWS를 안 쓸 이유가 없었다, 현재는100% AWS 상에서만 운영한다. 저희는 데이터 사이언스팀이나 엔지니어가 따로 없어도 Amazon Kinesis를 이용해서 로그를 수집할 수 있고, EMR로 비용대비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을 하여 서비스에 재반영하는 데이터 주도개발이 AWS로 가능하게 되었다.


스타트업 특성상 적은 개발자로도 빠른 개발과 배포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AWS는 그만큼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보다 Managed 서비스가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비즈니스개발에만 전념할 수 있는 효과를 보았다. 또, 이커머스의 특성상 대규모 광고, 이벤트가 자주 있는데 AWS의 오토스케일링과 같은 기능 덕분에 대규모 트래픽에 빠르게 대응 가능해졌고, CloudWatch에 커스텀 매트릭스를 추가하는 기능으로 트래픽에 빠르게 대응하는 성과를 얻었다.


아만다(21분)

김동수 아만다 CTO


재무담당나오셨다. (잘못 인쇄되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만다(http://amanda.co.kr) CTO 김동수이고 KTH에서 데브옵스팀, kt music에서 개발문화를 접목하는 일을 했다. 아만다에서도 똑같이 개발 문화 접목을 위해 노력 중이다.


아만다는 어떤 서비스인가?

아만다는 아무나 만나지 않도록 하고 있고 친구를 통해서 소개받던 소개팅을 기존 회원이 신입회원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매칭을 이뤄주는 식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백만 건 이상의 매칭 사례와, 일평균 4천~5천건의 매칭이 이뤄지고 있다.


주 타겟은 20대 30대인가?

그렇다 제일 많이 이용한다. 40대까지 확장도 검토 하겠다.


AWS를 사용하게 된 계기는?

스타트업이기 때문에 사용을 미리 예상하지만 예상하기가 어렵고, 서버를 많이 구매하면 비용과 시간 면에서 부담이다. AWS에서는 필요한 만큼 쓰고 반환이 가능 해서 도입하게 되었다.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개발자가 적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개발과 인프라운영을 해야 하는데, 고민없이 AWS 서비스로 빨리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AWS로 특정 시간대에 몰리는 트래픽도 잘 운영하고 있다.

팔로알토 네트웍스(26분)

강정민 팔로알토네트웍스코리아 마케팅 이사


팔로알토 네트웍스코리아 (https://www.paloaltonetworks.co.kr/) 강정민 마케팅 이사입니다. 예기치 않게 만났다.


안녕하세요.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차세대 보안의 선두주자이다. 기존에 차세대방화벽으로 유명해졌고, 이제는 차세대보안플랫폼인 APT, IPS, 방화벽 모두 만들고 있다.


AWS Summit에 나온 계기는?

아마존을 위한 차세대보안솔루션 팔로알토 네트웍스 모르시나?


지금까지 스타트업이었고, 이제 파트너를 만나보겠다.

BD(29분)

홍성준 BD 클라우드 사업 담당


개인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BD 클라우드 사업 담당 홍성준이다. 저는 18년동안 IT 관련 근무하여, 모바일 커머스 컨설팅 구축사업을 했었고 2011년부터 AWS컨설팅, 아키텍트를 담당하였다. 지금은 BD에서 Private/Public PaaS담당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클라우드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나.

2011년 처음 클라우드를 겪어보았다. 그 이후 다년간의 컨설팅 아키텍처 경험으로 AWS가 다양한 경험이 있고 확장성 등으로 타 클라우드 서비스보다 뛰어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안정성, 확장성, 자동화가 제공되어 타 클라우드보다 경쟁성이 있다. 그래서 아마존을 많이 채택해서 사업 중이다.


BD는 어떤회사인가?

BD는 2003년 블루다임으로 시작하여, SKT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했고, 삼성전자, LG전자등 대기업대상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해왔다. 또 IoT, 스마트금융, 클라우드 등 주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마존과 2011년부터 이야기가 있었던 것 같은데, 보통 퍼블릭을 쓰면 엔터프라이즈를 안 쓴다는 인식이 있지 않나? AWS를 써서 어떤 혜택이 있었는지?

아까도 말씀 드렸지만 2011년부터 사용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중 가장 뛰어나고 다양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때문에 여러분들이 효율적으로 운영, 매니지먼트할 수 있고, 다른 클라우드보다 뛰어나다. 저희가 AWS사업하면서 기존 사업 영역에서 클라우드라는 신규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하게 되었고, 신규 고객을 발굴하며 기존사업영역과 신규사업을 융합해서 서비스를 제공해서 매출증가 효과를 보았다.


AWS로 업무시스템을 이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저희가 AWS클라우드 컨설팅 전환 운용을 전담하고 있다. 고민 있으면 BD클라우드를 찾아달라. 시간 내주셔서 고맙다.

안랩(36분)

김준호 안랩 서비스기획 대리

성함과 소개 부탁드린다.

안랩 서비스기획 담당 김준호 대리이다.


기획분이 왜 부스에 있는가

제가 상품을 제일 잘 알고 있다.


안랩에는 언제 합류했는가

작년(2015년) 1월이었다. 이전에는 물리보안, 정보보안, 에너지 절감 통신상품 기획 등을 했었다. 그 토대로 안랩에 왔다.


어떤가

좋다. 기업문화가 수평적이고 복지도 좋다


안랩에 대해 다들 알지만 간단히 소개 부탁드린다.

V3같이 알려진 백신도 있지만 네트워크솔루션과 원격관제서비스도 제공한다. AWS같은 클라우드환경이 보급되면서, 그에 최적화된 원격관제서비스를 만들게 되었다. 고객들이 데이터들을 항상 보안 위협을 탐지하기 어려우니 SOC(Security Operation Center)의 인력들이 24시간 로그데이터를 가져와서 유입분석을 해드리는 서비스이다.


AWS를 사용하게 된 계기와 이점을 말해달라.

기존 IDC나 IT 자산에서 클라우드로 이주하는 고객사가 많아지면서 요청이 많았다. AWS도 엔터프라이즈 고객이 늘면서 니즈가 있으니 협업을 요청해와서 하게 되었다. 작년 10월부터 3개월 정도 준비해서 1월에 출시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환경은 쉽게 보안 솔루션을 올릴 수 있어서, 게임사, 미디어, 이커머스, 에듀케이션 등 기업들의 요구수준을 맞추고 있다. 시간 내주셔서 감사하다.

EXEM(40분)

박재호 엑셈 CTO


개인적 소개 간단히 부탁 드린다.

엑셈 CTO 박재호(상무/CTO)이다. 원래 저는 임베디드 관련이었다. 고가용성 고성능 서버관련 개발, 연구를 하고 있었다. 엑셈에 와서 제품 설계, 또 VNS의 어려운 점을 해결해주는 총괄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부분에서 아키텍처 설계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작업 중이다.


엑셈 간단한 소개부탁드린다.

엑셈은 원래 관계형 DBMS로 시작했다. 오라클 관련 성능, 트러블 슈팅, 튜닝, 컨설팅 등 각종 다른 기업에게 해준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솔루션을 만들었다. WAS(웹애플리케이션서버) 모니터링, 관제 솔루션도 만들었다. MaxGuage, 인터맥스라고 불리는 제품이다.


패키지 만드는 회사가 AWS행사에 무슨 일인가? 어제 AWS타고 해외로 진출한다는 보도자료도 봤다. Summit 참가 계기는?

엑셈은 RDMS를 넘어 빅데이터, 클라우드, 인공지능을 아우르는 올 데이터 컨포밍 회사로 성장하려고 노력 중이다. 오늘 미니세션에서 처음 선보이는 MySQL MaxGuage를 AWS형으로으로 만든 제품을 선보인다. 현재 마켓 플레이스에 올라가있다. 지금은 동경 리전에 올라갈 예정이고, 한국은 서울 리전에 몇 가지 추가적 기능이 도입되면 바로 올릴 것 이다.


이제는 해외진출이 클라우드 방식으로 전환했다고 봐도 되나?


그렇다. 원래 DBMS자체의 모니터링 툴은 엔지니어가 있어야 설치가 가능한데, 최근에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올리면, 설치부터 여러가지를 자동화 할 수 있다. 관리나 관제운영을 사용자가 굉장히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AWS에 올려서 해외진출, 외국 시장점유율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패키지를 AWS로 옮기는데 어려움은 없었는지?


AWS에서 제공하는 자체적인 API에 대한 선행연구가 필요했지만 AWS쪽에서 여러 가지 문서나 컨설턴트 지원을 해줘서 쉽게 할 수 있었다. <도안구 테크수다 기자 eyeball@techsuda.com>


원문 

http://www.techsuda.com/archives/6108


네이버 포스트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355490&memberNo=839171


작가의 이전글 도라이브 - 유재석의 비틀어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