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찬학 Jan 10. 2024

2024년에는 달라질 수 있을까요?

지난해 정시 상담의 특징 

정시 원서 접수 기간이 끝났습니다. 

이제 남은 건 전문대 정시(~1월 18일까지)와 정시 추가모집 뿐입니다. 

모든 수험생과 학부모님들 수고하셨습니다. 


올해 정시상담의 몇 가지 특징을 좀 말해 보겠습니다.


첫째, 현역이 증발하고 대부분 N수생입니다. 

저만 유독 그런건지는 모르겠는데 수시상담할 때 6모, 9모에서 압도적인 수능경쟁력을 보여 주었던 고3들이 수능최저를 못 맞춰서 탈락하는 경우가 급증했고 수시에서 탈락했지만 수능을 잘 봐서 정시로 재도전하는 경우가 드물었습니다. 


둘째, 진로에 대한 고민이나 희망학과 지원이 거의 붕괴된 상황입니다

한 두 문제 틀렸을 뿐인데 표점 유불리로 의대합격을 자신할 수 없는 비이성적인 최상위권을 제외하면 상담을 신청하는 대부분 학생들의 요청사항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학과 상관없이 최대한 상향할 수 있는 대학 알아봐 주세요" 이게 정말 큰 문제가 뭐냐면 애들이 합격하고도 바로 반수준비를 한다는 겁니다. 학고반수도 불사하고 학교나 학과에 대해 애정도 없고 그냥 독재나 시대인재 갑니다. 확실히 정상이 아닌 것 같습니다.


셋째,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심화되고 난도가 들쭉날쭉이다보니 대학들의 학과별 전형방식 쪼개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서울대 지균-일반부터 시작해서 고려대 일반-교과 / 건국대 인문1,2-자연1,2 / 서울시립대 인문 1,2,3-자연1,2,3 / 숭실대 인문,경상,자연1,2 / 숙명여대나 성신여대는 모집단위별로 반영비율을 7개 이상으로 나누었습니다. 저도 머리가 아플 지경입니다. 이러니 컨설팅을 받고 모의지원 여러 개 결제하느라 수십만원 쓰고 정말 난리도 아닙니다.





더 많은 이야기는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학습 분야 TOP1 <슬기로운 진로진학>


https://contents.premium.naver.com/thetablesetter/jinhka/contents/231229181149485ql


매거진의 이전글 2028 대입 제도 확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