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길에서 종종 느끼는 건, 목적지보다 가는 길이 아름다울 때가 많다는 거다. 캘리포니아 대로변에 볼거리라고 부를 만한 풍경이 있어서 그런 건 아니다. 오히려 아무것도 없는 쪽에 가깝다. 산보다는 언덕에 가까운 민둥산이 저 멀리 보이고 길과 산 사이에는 지겨운 들판이 있고 드문드문 보이는 나무들은 가뭄에 고생 꽤나 한 모습을 하고 있다. 비를 흠뻑 맞고 자란 한국 땅의 수목이 내뿜는 생명력과는 비교할 수 없다. 요약하면 지루하고 메마른 풍경.
그런 지겨운 도로 풍경이 나에게는 왜 그렇게 아름답게 보일까?
그림을 그리기 전에는 아름답다는 인식에서 그쳤고,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을 열심히 눈에 담았다. 그림을 시작했을 때에는 마음에 드는 곳을 지날 때 사진을 찍어서 집에 가서 그려보고 싶었다. 그런데 사진에 담긴 도로변 모습은 그리고 싶은 만큼 아름답게 보이지 않았다. 도대체 뭐지? 얼마 전부터는 그 질문이 나를 괴롭히기 시작했다. 내 눈을 호강시킨다고 느낀 정체는 무엇이며, 그것은 왜 카메라에만 들어오면 아무것도 아닌 장면으로 폭삭 주저앉고 마는 걸까?
지난달 킹스캐년에 다녀오면서 달리는 차 안에서 아름답다는 느낌이 들 때마다 사진을 찍었다. 이번에는 무작정 그림을 그리면서 알아보기로 했다. 도대체 내가 뭐에 반한 건지 꼭 알고 싶고 그걸 표현하고 싶어서였다.
일단 이 장면을 골랐다. 저 아득히 보이는 지평선과 맞닿은 푸른 하늘과 그 아래 있는 평온한 땅, 그 사이를 잇는 전봇대와 나무, 거기에 끌렸을 것 같았다. 조형미 같은 게 있어서, 그래서 아름다운 게 아닐까?
수채화로 스케치를 해보았다. 들판에서 소가 풀 뜯는 모습이 좋았던 것이 기억나 소는 조금 더 크게 그리고 농가도 더 크게 그렸다.
그려놓고 보니까 이야기를 과장하고 싶어졌다. 하늘은 파랗다 못해 보라색이 되려고 했던 것 같고, 나무는 빛을 받아 더 따뜻한 색으로 보였던 것 같았다. 이왕이면 도로변에 핀 들꽃도 더 또렷하게 그려주고 싶었다.
처음 스케치보다는 덜 밋밋했다. 그런데 뭔가 못마땅했다. 들판의 소들과 농가가 보여서 좋았지만 들판의 소와 농가를 보고 카메라를 열고 싶은 충동을 느낀 건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들꽃이라고 불리기에도 초라한, 그 잡초 수풀이 좋았던 거다.
사진에는 잘 잡히지 않았던 그 잡초. 사진을 보고 실망했던 이유는 내가 생각했던 주인공이 그 모습을 제대로 드러내지 않아서였다.
이제 내가 뭐를 그릴지 알았다.
잡초를, 예쁜 꽃이 아닌 잡초로 그리는 거다.
작년 겨울에 비가 오지 않았으면 꽃도 못 피우고 벌써 말라버렸을 잡초들이 올봄에는 노랗게 꽃을 피웠고 여름까지 마지막 꽃을 안타깝게 피우고 있는 모습을 그리는 거다.
한 송이씩 정성껏 피워내는 화초가 아니고, 화병에 근사하게 꽂은 꽃다발이 아닌, 척박한 땅에서 억척스럽게 솟아올라 무질서하게 바람에 흔들리며 척박한 땅을 감싸주는 잡초.
잡초를 그리려면 무질서를 그려야 했다. 랜덤이란 것. 나와 아들이 묘하게 끌렸던 주제이기도 하다. 신은 질서의 하나님이라고 하는데 세상을 보면 분명히 랜덤이어서.
언젠가 아들이 말했다.
"엄마, 사람들은 숫자를 세 개 주면, 아무런 의미가 없이 던진 숫자인데도 거기서 어떻게든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어요. 사람은 그래서 살 수 있는 거예요. 모든 일에 의미를 부여할 줄 알아서."
별 걸 다 알았던 내 아들.
이런저런 생각을 하면서 랜덤을 아주 천천히 그렸다. 랜덤이 모여서 마치 질서가 있는 듯 보이는 인간의 삶을 그리듯.
(아래 그림도 올여름에 그린 '길' 그림 가운데 하나이다. 이 그림은 스케치 없이 곧바로 수채화 물감으로 채색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