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검사외전’ 강동원, 황정민의 뺀질이 아바타가 되다

극적인 상황 연출을 위한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아쉬워

본 영화 상영 전에 보여주는 예고편만 보았을 때에는 황정민이 연기하는 변재욱이 사고 쳐서 감옥에 들어가는 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음모에 엮여 감옥에 들어간 것이었다. 그리고 그 음모의 주체는 변재욱이 모르고 있던 악의 세력이 뒤통수를 친 게 아니라 변재욱이 너무나도 잘 아는 선배이기에, 믿을 놈 하나도 없다는 세간의 말이 허언이 아님을 영화는 보여주고 있다.     

<검사외전>이 <내부자들>의 바통을 일부나마 이어받기라도 한 듯 <검사외전> 역시 정치가에 대해 긍정적인 묘사를 하기보다는 권력을 부여잡기 위해서라면, 경제적인 이득을 도모하기 위해서라면 선후배라는 인연 따위는 한강물에라도 쳐 넣는 정치인의 비정함을 묘사하고 있다.      


영화나 드라마는 현실을 반영한다. <검사외전>과 <내부자들> 혹은 <베테랑>이 정계나 재계의 기득권자를 묘사할 때 긍정적으로 묘사하기보다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또 그렇게 부정적으로 묘사된 기득권자가 흙수저 검사나 형사에게 응징당하는 모습에 관객수(數)로 대중이 호응한다는 건 현 세대의 기득권자에 대해 대중이 긍정적으로 호응하기보다는  ‘응징받아야 마땅할 대상’으로 보거나, 혹은 우리 시대 기득권자의 부패지수가 대중이 인내해야 할 인내심의 한계를 아주 심각하게 테스트하고 있다는 리트머스로 읽을 수 있다.     


<검사외전>은 전반부와 후반부의 주인공이 확연하게 갈리는 영화다. 전반부가 황정민의 억울함을 관객에게 어필한다면 후반부에 들어서서는 전반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황정민이 주춤한 틈을 타 강동원의 원맨쇼로 여성 관객의 마음을 훔치기 바쁘다. 감동원이 연기하는 치원은 변재욱의 ‘아바타’다.      

변재욱이 검사로 재임할 때부터 갖고 있던 업무 처리 능력이 아무리 탁월하다 해도 변재욱은 엄연히 감옥에서 빠져나와 복수의 대상에게 타격을 주지 못한다. 그럴 때 변재욱이 감옥 밖에서 하지 못하는 일을 누군가가 외부에서 수행해야 하는데 이 역할을 치원이 감당하기에 감옥 안에 있는 변재욱에게 있어서 치원은 변재욱의 ‘아바타’가 된다.     


변재욱의 아바타인 치원을 연기하는 강동원은 그동안 타 영화에서 강동원이 보여주지 않은 치명적인 매력을 발산한다. 변재욱이 억울하게 영어(囹圄)의 몸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느라 무겁게 가라앉은 극장의 공기가, 강동원이 등장하면서부터는 언제 그랬느냐는 듯 밝은 정서로 급변한다.      


영어를 발음하기 위해 혓바닥에 기름칠을 바른다고 발라보지만 서툰 기름칠을 한 나머지 그가 영어를 내뱉을 때마다 관객은 웃음의 도가니에서 헤어나질 못한다. <캐치 미 이프 유 캔>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처럼 그 어떤 위급한 순간이 엄습한다 해도 여유를 부리는 모습은 전반부의 황정민을 싹 잊게 만들 정도로 강동원의 사기 술수는 능수능란하다.     

그럼에도 영화적인 아쉬움은 지적하고 넘어가야겠다. 영화 후반부 들어 변재욱은 감옥 안에서 치명적인 위험을 맞이한다. 그럼에도 언제 그랬느냐는 듯 변재욱이 치명적인 위험을 극복하는 시퀀스에서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 기계장치의 신)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극적인 상황을 끌어오기 위한 의도적인 연출이라는 건 이해하겠지만 영화적인 비약이 심해도 너무 심한 연출이 아닐 수 없었다.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2120

매거진의 이전글 ‘렛미인’ 박소담의 아름다우면서도 처연한 공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