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리뷰] ‘마스터’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은 없었다

이병헌과 강동원, 그것도 모자라 김우빈이라는 환상의 트라이앵글 캐스팅이 이목을 집중시키기에는 충분했다. 감독의 전작이 ‘감시자들’이라는 필모그래피도 연출력에 대한 기대를 안고 가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다. 흥행 감독과 믿고 보는 세 배우의 조합은 철저하게 실패했기 때문이다.     


먼저 문제가 되는 캐릭터는 김우빈이 연기하는 박장군이다. 정의로운 사명감 하나로 똘똘 뭉친 지능범죄수사팀장 김재명(감동원 분)은 박장군에게 형량을 줄여준다는 조건 아래, 박장군이 모시는 희대의 사기꾼 진현필(이병헌 분) 회장의 정보를 경찰 측에 제공하라는 회유와 협박을 한다.      

극 중에서 박장군은 ‘무간도’의 양조위 캐릭터를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밖에 없는 스파이 캐릭터다. 그런데 박장군이 경찰에 회유되는 동기가 쫄깃하지 않고 영화 속에서 헐겁게 묘사된다. 박장군이 김재명만 믿고 진 회장의 정보를 넘긴 결과가 좋지 않았음에도 재차 박장군이 김재명의 제안을 받아들인다는 설정을 보면, 박장군은 실리에 따라 얼마든지 배신도 가능한 캐릭터라기보다는 김재명의 ‘권선징악’적인 마인드에 경도된 일차원적인 캐릭터에 지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관객은 진 회장이 김재명이라는 정의의 사도에 굴복당하기까지의 ‘통쾌함’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 영화에는 가장 중요한 통쾌함이 휘발하고 만다. 치밀한 플롯과 연출력을 통해 진 회장이라는 악의 몰락이 점층적으로 그려졌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돈 세탁’과 같은 부수적인 디테일에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장년층 이상의 관객에게는 돈 세탁의 과정이 구차하거나, 혹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음에도 영화 연출은 통쾌함 대신 디테일에 집착하는 우를 저지른다.     

영화는 ‘마스터’라는 제목과는 어울리지 않을 만큼 ‘장부’에 집착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장부는 진 회장이 윗선에 얼마만큼의 금품 로비를 했는가가 기재된 장부라는 뜻이다. 만일 이 장부가 경찰이나 검찰의 손에 넘어가면 진 회장을 검거하는 결정적인 물증으로 자리 잡게 된다.      


하지만 영화는 이렇게나 중요한 장부를, 뺏기느냐 뺏느냐 하는 과정에만 치중하지, 장부가 얼마만큼 중요한 물건인가 하는 ‘동기’가 결여된다. 정경유착이라는 정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만큼 중요한 장부임에도 불구하고 감독은 그저 진 회장이 윗선으로 추측되는 누군가에게 전화를 거는 시퀀스 몇몇으로 충분하다고 착각한다. 그 장부에 적힌 윗선이 세상에 공개되면 정관계 인사들에게 얼마만큼 치명적인가 하는 장부에 대한 디테일이 빠졌다는 이야기다.     

액션 또한 새로울 게 없다. 오히려 그 많은 제작비를 어디에 들였을 까 하는 의구심만 증폭된다. 이 영화가 지금 흥행 1위를 달리고 있다고는 하나, 그건 이 영화의 작품성 덕이 아니다. 흥행 감독이라는 감독의 전작 필모그래피와 주연 남자배우 세 배우의 지명도, 그리고 독과점 상영관 확보 덕이다. 올 겨울 블록버스터급 영화 가운데 첫 번째 실망작이 ‘마스터’다.


미디어스

매거진의 이전글 [리뷰] '판도라' 개봉이 늦춰진 게 보약이 될 줄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