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을 중심으로 작성합니다.
본 내용은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라 틀릴 수 있습니다. ^^
AWS 사용시 비용 관련해 알아보자.
서버 생성시 자주 하는 질문을 알아보자.
발생한다.
왜냐면, AZ와 AZ 간은 IDC와 IDC 간이다.
거리가 꽤 되므로 , AWS 측에서 비용이 발생한다.
그래서 AZ 간에도 비용이 발생한다.
같은 AZ = 같은 IDC이다.
같은 IDC 내에서 트래픽 비용은 무료이다.
발생하지 않는다.
데이터가 AWS에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S3로 데이터를 넣는 부분은 네트워크 비용 발생하지 않는다.
단지, S3저장 비용은 발생한다.
발생한다.
AWS는 나가는 트래픽 비용은 과금한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가져가는 경우 비용을 받는다.
AWS 새로운 콘솔에서 키 페어를 PPK 파일을 바로 만들 수 있다.
PC OS 가 windows 인경우 ppk를 만들어 EC2 서버에 접속한다.
putty로 접속해 사용한다.
// 예전 콘솔에는 pem파일을 받아 , putty key gen으로 ppk로 만들어 접속했었다. 지금도 가능하다.
SSH > Auth > 여기에. ppk 파일을 로드해서 접속한다.
옵션> 글로벌 옵션 > SSH2 > 퍼블릭 키에서 Use identity or certificate file 사용 누르고, AWS에서 생성한 pem 키를 추가해야 한다.
// Secure crt가 5.x대인 경우는 publickey 옵션이 없어서 안된다. 7.x대 가능하다.
chmod 400 *. pem로 퍼미션을 변경해 줘야 한다.
// pem파일에 other 그룹 권한이 있으면 안 됨.
아니오, 중지해도 EBS 볼륨은 유지되어 비용이 나옵니다.
아래 구조 보세요.
사용하지 않는 EC2는 반드시 종료하세요.
종료하면 EBS볼륨도 삭제됩니다.
삭제된 자원은 다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복구도 안되니 주의 바랍니다.
작업 후 반드시 만든 리소스는 바로 삭제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비용이 발생됩니다.
Cloudformation으로 서버를 한 번에 만들 수 있습니다.
https://brunch.co.kr/@topasvga/84
네트워크 2주차 Aws예약주소 알아보자
https://brunch.co.kr/@topasvga/1309
처음으로 돌아가기
https://brunch.co.kr/@topasvga/4321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