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ster Seo Oct 09. 2021

1-1. DNS와 GSLB 구축

<1> DNS

<2> GSLB

<3> 네이버 클라우드로 GSLB인  GTM 으로 구현

<4> Amazon Route53으로 GSLB 구현

<5> Azure GSBL로 구현

<6> Google GSLB로 구현

<7> 다음 과정

<8> 참고 자료



<1> DNS


도메인 구매부터 전반적인 부분을 설명한다.

현재 구매해 운영 중이라면 필요한 부분만 보기 바란다.


1

도메인 구매?


도메인 구매는 가비아, 아이네임즈, 후이즈, AWS에서 구매 가능하다.

AWS는  co.kr , .kr 도메인 구매가 안되고 .com 도메인 등은 구매가 된다.  route53에서 구매가능

GCP도  2023년 10월부터 도메인 구매 중단  https://domains.google/ 

Azure,  Naver는 도메인 구매는 안된다.

AWS Account의 경우, AWS Account 자체를  삭제하면 도메인도 삭제된다.

AWS에서 계속 사용할 분이면 AWS에서 도메인 구매해도 무방하다.

AWS에서 구매하면  DNS 설정 시 네임서버가 자동으로 들어가서 세팅은 편하다.

도메인은 서비스 명과 유사해야 하고, 불리기 쉬워야 하고, 도메인 확보가 가능해야 한다.

게임 서비스를 운영해 보고자 한다.

bestgame10.com    구매



2

도메인 설정?

개인적으로 가비아에서 구매한 경우로 설명한다.

도메인 구매 시 , 도메인 조회> 구매>  결재 

네임서버는 가비아 네임서버로 지정

DNS와 GSLB를  따로 운영하는 경우와  DNS와 GSLB를 같이 운영하는  경우 2가지가 있다



3

DNS와 GSLB를  따로 운영하는 경우?

DNS에서 네임서버로 2대로 따로 설정

DNS에서 GSLB로 설정이 필요하다.

네이버 클라우드의 경우, DNS와 GSLB를  따로 운영 한다.



4

DNS와 GSLB를 같이 운영하는 경우?

AWS GSLB인 Route53에서 같이 운영 가능하다.



5

여기서는 DNS와 GSLB를 따로 운영하는 방법으로 설명한다.

기존에 DNS 네임서버는 운영중인 기업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 참고 - 온프레미스 DNS설정법 


https://brunch.co.kr/@topasvga/214



6

Naver Cloud DNS 설정법 = Global DNS


https://brunch.co.kr/@topasvga/1938


Naver Cloud DNS는 Global DNS 이다.

Naver Cloud GSLB는 별도로 있다. = Global Route Manager 라 부른다.




7

AWS DNS 설정법 = Route 53  

https://brunch.co.kr/@topasvga/1777


AWS는 Route53이 DNS 네임서버와 GSLB 역할을 같이 할수 있다.




8

GCP DNS 설정법 = Cloud DNS 


https://brunch.co.kr/@topasvga/169



9

Azure DNS 설정법 = DNS영역 


https://brunch.co.kr/@topasvga/173






<2> GSLB



1

GSLB 란?

GSLB = Global Server Load Balancer이다.

Load Balancer이다.

Load Balancer= 부하 분산 = 외부에서 이 장치로 접속하면  분산 시커 주는 장비이다.

Server Load Balancer  = 서버에 대해 부하는 분산해준다.

Global Server Load Balancer = 글로벌하게 부하를 분산해준다. 온프라미스, 타 서비스 서버, 회외에 위치한 서버도 분산해준다.



2

GSLB 종류?

온프라미스에 구축해 사용하는 GSLB 장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에서 제공하는 GSLB  

 Naver Cloud  GSLB = Global Router Manager

 Amazon GSLB = Route53

 Google GCP GSLB

 MS Azure  GSLB



여기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네이버 GSLB인 GTM과 Amazon Route53을 사용해 구축한다.




<3> 네이버 클라우드로 GSLB인  GTM 으로 구현


GTM서비스로 전환 되었다.  https://brunch.co.kr/@topasvga/3565




<4> Amazon Route53으로 GSLB 구현


1

테스트 아키텍처 정리하면

도메인 구매 (가비아)  >  Amazone Route53에 DNS 구축   > Amazon  Route53의 GSLB기능 사용


2

기타

GCP , Azure , Naver Cloud GSLB 장비로 구축하는 법도 테스트하고 업데이트 예정이다.




3

Amazon으로 로그인 >  Route53으로 가기


bestgame10.com 으로 네임서버 만들기

만들 때 나온 ns 레코더 값을 복사해 놓기

www는 100.1.1.1로 임의로 설정해 본다.



4

도메인 구매한 가비아 > 서비스 관리 > 관리툴 > 네임서버 >설정 변경하기


변경 전

gabia 네임서버


변경 후

aws 네임서버로 설정

반영에는 하루가 소요된다.

5

하루후 ~


dig로  www.bestgame10.com 질의해서 아래처럼 정상 결과가 나오면 반영된 것이다.


dig www.bestgame10.com


; <<>> DiG 9.4.0a6 <<>> www.bestgame10.com

;; global options:  printcmd

;; Got answer:

;; ->>HEADER<<- opcode: QUERY, status: NOERROR, id: 460

;; flags: qr rd ra; QUERY: 1, ANSWER: 1, AUTHORITY: 0, ADDITIONAL: 0


;; QUESTION SECTION:

;www.bestgame10.com.            IN      A


;; ANSWER SECTION:

www.bestgame10.com.     5       IN      A       100.1.1.1


;; Query time: 147 msec

;; SERVER: 8.8.8.8#53(8.8.8.8)

;; WHEN: Sat Oct 09 14:37:14 2021

;; MSG SIZE  rcvd: 52



Route53 참고 자료

https://brunch.co.kr/@topasvga/1777




<5> Azure GSBL로 구현 = Traffice Manager


https://brunch.co.kr/@topasvga/1497





<6> Google GSLB로 구현



AWS와 Azure 서비스를 Google Cloud와 비교


https://cloud.google.com/free/docs/aws-azure-gcp-service-comparison?fbclid=IwAR29zln-jdG6lWqx4HDoK80G1rajInppiBEkv1h03q0LoJ_NLtaBlOizGig



참고

https://brunch.co.kr/@topasvga/778






<7> 다음 과정


온프라미스용 쿠버네티스 구축


https://brunch.co.kr/@topasvga/1930




<8> 참고 자료


1

전체 프로젝트 보기


https://brunch.co.kr/@topasvga/1927



2

40.(몰아보기) 온프라미스 DNS 전문가 되기

https://brunch.co.kr/@topasvga/1387



3

(몰아보기) Amazon Route53   

https://brunch.co.kr/@topasvga/1777



4

Active-Active로 운영하며 트래픽 조절 하기

https://brunch.co.kr/@topasvga/89



5

기존에 온프라미스에 네임서버  운영 중인 경우, 위임 설정으로 구현 가능하다.

https://brunch.co.kr/@topasvga/92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2시간만에 DNS이해하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