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를 대충 구축해 운영하려면 , 서버 EC2만 생성해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점점 회사가 커지면 보안적인부분과 가용성등을 고려해 구축 해야 한다.
우선, 네트워크 구성부터 고민해야 하고, 다른 인프라도 구축해야 한다.
다음은 대규모시스템 일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AWS 서비스 알아보고 천천히 적용해보도록 하자~
AWS용어를 알아야 구성하기 쉽다.
1. 네트워크
VPC (Virtual Private Cloud) = 네트워크 이다.
네트워크 할당을 할때 사용한다.
인터넷 게이트웨이(IGW) = 인터넷으로 나가기 위한 통로.
VPC는 폐쇄된 네트워크인데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 인터넷 게이트웨이(IGW)를 통해 통신한다.
Routes = VPC는 여러개의 서브넷으로 나눌수 있고, 서브넷(ZONE)간 통신을 할수 있도록 경로를 잡아주는 것이다.
2. 보안장비
시큐리티 그룹 = 방화벽 Firewall 이다.
인터넷에서 네트워크를 차단,허용하는데 사용한다.
3. L4
ELB = 로드 밸런서 , Elastic Load balancer = L4 = 서버 이중화 장비.
서버 이중화를 위해 부하 분산시 사용한다.
4. 서버
EC2 (Elastic Compute Cloud) = 서버
AMI(Amazon Machine Image) = OS,리눅스와 윈도 운영체제의 서버 이미지
EBS (Elastic Block Store) = 블록 스토리지로 하드디스크이다. 보통 OS나 DB 영역에 사용한다.
Public IP => 변경되는 공인IP
외부에서 접속가능하나 AWS인스턴스 시작할때 임의 IP로 할당된다. 변경이 되는 ip.
인터넷 서비스 목적이라면 변경이 되지않는 EIP를 할당 받아 사용하도록 한다.
Elastic IP (EIP) => Public IP이나 한번 할당되면 변하지 않는 공인 IP 이다.
인터넷 서비스할때 EIP를 사용한다.
DNS에 매칭한다.
5. DNS
ROUTE 53 = DNS
도메인을 관리하고 글로벌 이중화 서비스가 되도록
GSLB기능도 제공한다.
6. DB
RDS (관계형 데이터배이스 서비스) = Mysql, Oracle 등
7. 스토리지
S3 (Simple Storage Service) = 오브젝트 스토리지.
이미지, 동영상,MP3 와 같은 컨텐츠 저장서비스 .
NAS와 같은 역할.
8. CDN
클라우드 프런트 =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 대규모 파일이나 이미지 서비스를 하는데 사용한다.
다음은 [AWS]21. ROUTE53,착한가격으로DNS관리1 https://brunch.co.kr/@topasvga/25
- 이상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