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쿠버네티스 기본 개념과 구성을 알아보자.
<1> 쿠버네티스는 컨트롤 플래인(Master)과 워커 노드로 구성된다.
<2> 워커 노드는 물리 장비로 서비스의 경우 2대 이상으로 구성한다.
<3> 개발자는 명령 서버(명령 PC)에서 API Server로 명령을 내린다.
<4> 인터넷 사용자는 서비스를 통해 Pod안의 컨테이너로 접속해 서비스 한다.
<1> 쿠버네티스는 컨트롤 플래인(Master)과 워커 노드로 구성된다.
1
클라우드 사업자가 컨트롤 플래인을 관리해준다.
사용자는 컨트롤 플래인을 관리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워커 노드를 생성하고 관리해야 한다.
2
개발자(관리자)는 컨트롤 플래인의 API Server에 명령을 내린다.
워커노드에 반영 된다.
<2> 워커 노드는 물리 장비로 서비스의 경우 2대 이상으로 구성한다.
1
Woker Node1
Woker Node2
Woker Node3
2
Worker Node 안에 Pod가 구성된다.
Pod에 IP 가 할당 된다.
기본적으로 Pod 수만큼 IP 할당이 필요하다. (실무에서는 Pod 수의 2배 만큼 IP할당이 필요하다.배포)
3
Pod안에 container가 구성된다.
Pod안에 1개의 container 또는 1개 이상의 container가 생성 가능하다.
같은 Pod를 사용하는 경우 container는 IP가 모두 같다. 포트로 구분한다.
<3> 개발자는 명령 서버(명령 PC)에서 API Server로 명령을 내린다.
1
일반적으로 Worker Node에 디플로이먼트로 Pod를 배포한다.
디플로이먼트 = 배포라는 의미
레플리카셋 = 복사 라는 의미
Pod를 디플로이먼트로 배포하면, 레플리카셋으로 관리한다.
디플로이먼트로 배포하면 Pod를 삭제해도 레플리카셋이 관리하여 다시 삭제된 Pod수만큼 자동 생성해준다.
그래서, 개발자는 따로 Pod(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4> 인터넷 사용자는 서비스를 통해 Pod안의 컨테이너로 접속해 서비스 한다.
컨테이너는 웹서버등으로 구성한다.
# PPT 첨부
공부 자료
https://brunch.co.kr/@topasvga/338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