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독후감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윤재 Aug 09. 2023

인생길

몽실언니

“이 세상의 모든 폭력이 사라지지 않는 한 우리는 누구나 불행한 인생을 살아야 할 것입니다.”


 권정생 작가는 소설 <몽실 언니>의 머리말에서 폭력과 인생의 관계를 이렇듯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몽실 언니>라는 작품은 결국 이 한 문장에 응축된 작은 이야기일 뿐이다. 하지만 몽실이가 바라보는 세상이 그렇듯 아주 조그마한 불행에도 그 이면을 살펴보면 커다란 원인이 존재한다. 전쟁은 몽실을 어른으로 만들었다. “누구라도, 누구라도 배고프면 화냥년도 되고, 양공주도 되는 거여요”라며 울부짖는 몽실은 자신이 겪은 불행을 통해 핍박받는 타인을 포용할 줄 아는 성숙한 아이가 되어버렸다


 분단 시대 초기에 벌어진 겨레의 비극은 이 땅에 수많은 몽실을 잉태시켰다. 이념 갈등이 유발한 폭력의 피해자인 작품 속 아비들은 또 각자의 가정에서 폭력의 원흉이자 가해자로 그려지고 있다. 세상과 어른들의 폭력에 시달리면서도 굳세게 ‘난남이’를 지켜내는 몽실의 유년에서 우리 겨레가 나아가야 할 길이 드러난다. 6‧25 전쟁이라는 성난 파도는 연약한 소녀가 감당할 수 없는 것이었지만 몽실은 더 연약한 존재를 끌어안은 채 정면으로 물살을 견뎌낸다. 그렇게 지켜낸 난남이가 비록 병든 환자로 살게 되는 밝지 않은 결말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다시 기운을 낼 수 있는 이유는 “언니가 참 좋아서, 엄마가 날 낳아 준 것이 고맙다”는 난남이의 몇 마디 말 덕분일 것이다. 새아버지의 폭력으로 갖게 된 절름발로 절뚝거리며 걸어가는 몽실의 마지막 뒷모습은 불행한 여성이 아닌 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은 영웅을 상징하는 거라고, 그렇게 믿고 싶다.


 이 소설은 그래서, 단지 분단의 아픔을 먹먹하게 그려냈다는 의미를 넘어 사람을 긍휼히 여기는 태도, 그러한 인생길과 겨레의 길을 제시하는 큰 울림으로 독자의 마음에 각인되는 작품이다. 뒤란 담 밑에 모아둔 소꿉 살림을 바리바리 싸들고 엄마를 따라나선 어린 몽실이 중년의 모습으로 황톳길 산모퉁이를 돌아나가는 순간까지 우리는 잠시 삶을 배운다.

매거진의 이전글 언덕 하나, 골짜기 하나에 하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