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uuly Oct 27. 2022

니트컴퍼니 공부 - NEET 선행연구(질적연구) (3)

Kim Baldry & Lauren Graham & Ariane De Lannoy, 2019. "The agency and resilience of NEET youth and what we can do to support them. Evidence from a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with young people in South Africa," SALDRU Working Papers 253, Southern Africa Labour and Development Research Unit, University of Cape Town.



어제에 이어서 같은 글의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이 연구는 12개의 연구들을 모았고, 거기서 10개의 문제점을 뽑아서 제시하고 그걸 바탕으로 어떠한 대안이 가능할지에 대해서 고민을 하였다. 10개의 문제점은 "학교 교육, 학교 교육 이후, 취업, 취업을 위한 지원들, 가족과 육아, 재정적 배제, 건강과 안전, 정보와 연결, 교통과 이동, 소속감과 네트워크" 이다. 이 중에서 학교 교육 이후, 취업, 소속감과 네트워크 정도를 살펴보고 결론에 대해서도 정리해보려고 한다. 



2. 학교 교육 이후 Post-School Education


    고등학교를 마치고나면 청년들은 그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형태로든 그 다음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 하고 있고 또한 교육을 위한 높은 열망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 어떻게 하면 그런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좋지 않은 고등학교 성적과 제한된 정보, 경제 사정으로 인해 이 시기는 더욱 불확실하고 혼란스러우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시기이다. 연구 자료는 '학교 교육 이후' 관련된 4가지 주제를 보여준다.   


      고등교육(대학)에 접근하는데 따르는 어려움    

      접근 가능한 기술 개발 프로그램의 가치    

      "기술 향상"에 있어 주체적으로 행위한다는 증거     

      기술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실업에 대한 실망    


대안

      학교를 떠나 취직이나 트레이닝으로 전환하는 사람들을 위한 확실한 가이드가 필요하고, 대학을 가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재정적 지원도 필요하다.     

      청년 취업가능성 프로그램은 교육과 취업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청년들의 주체적인 행위성을 지원하고 소속감을 제공함으로써 정서적 안녕과 회복력을 증가 시킨다.     

      청년들은 활동적인 시민이 되기 위해서는 공간과 기회가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이것은 청년 클럽, 멘토쉽, 인턴십, 견습생, 자원봉사, 직업 쉐도잉, 지역사회 활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3. 실업 (Un)employment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청년들은 학업을 마친 뒤에는 일자리를 찾거나,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찾지 않는 경우에도 일할 준비가 되어 있는걸로 확인했다. 이러한 상황들은 종종 성적을 더 올리거나, 또 다른 교육을 지원하거나, 일 또는 공부를 하면서 함께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청년들은 돈을 벌어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취업한다는 것은 2가지의 의미로 해석할 수 는데, 하나는 취업은 돈을 대가로 행해지는 모든 것이라는 것, 두번째는 취업은 성장, 발전하며 자라나는 걸 의미한다는 것이다.  


    양적 분석은 구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노동 시장에 대한 '지향성'을 유지하는 실업 청년의 많은 수를 이야기 한다. 질적 연구는 일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강조한다. 먼저 모든 연구에서 청년은 그들 스스로 무언가를 만들거나 그들의 가족을 경제적으로 부양하거나 기여하고자 하는 욕구를 드러낸다.  


    실업의 경험은 의존이라는 형태로 계속해서 표현된다. 소득이 없다면 청년은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없다. 경제적 독립은 성인을 나타내는 사회적 지표이자 또한 청년들 마음속에서도 성인이 되는 지표로 받아들이고 있다. 연구에 참가했던 한 여성은 오랫기간의 구직 실패 끝에 그녀의 기술 수준보다 낮은 수준의 단기 계약직을 얻게 되었다. 그녀는 "진짜 어른이 된 느낌이다."라고 표현하였다.   


드러나는 현상들

      일을 찾는데 드는 비용    

      봉급에 대한 기대와 신용 사기    

      사회 연결망의 역할과 제한된 사회 자본에 대한 경험    



10. 소속감과 네트워크 Belonging and social networks


    일부 청년들은 학교에서 취업이나 실업상태, 혹은 고등 교육으로 이행할 때 지지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정서가 있다. 학교 밖으로의 전환은 유동적이고 비선형적이며 불규칙하다고 설명된다. 이러한 전환 과에서 그들이 받는 지원 부족은 연구 전반에서 보고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은 회복력이 강하며, 더 나은 미래로 향하는 트랙 위로 다시 올라가기를 원한다.   


    학교 밖에서 클럽이나 다른 활동에 청년들이 자주 참가한다. 이러한 참여는 그들의 개인적 발전과 복지에 기여하며, 긍정적인 공동체 문화에 기여한다. 가장 많이 언급되는 활동은 스포츠와 종교 활동이였다.   


    청년들이 학교에서 독립으로 어떻게 전환할지에 대한 좋은 예시는 청년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에는 심리사적 지원과 지도, 기술 훈련, 대학과 같은 교육기관과의 연결, 직업 매칭, 인턴십과 같은 것들이 이루어지며 일부 활동은 급여가 지급된다.   


    청년 취업 지원 프로그램 외에도 NGO, 커뮤니티센터, 도서관, 클리닉 및 기타 공공장소는 청년들의 연결 및 소감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면들은 청년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활동에는 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상담 및 지원 그룹, 기술 훈련, 자원 봉사 및 멘토링과 같은 활동들이 포함된다.   



결론


    다양한 연구와 상담에서 주로 나오는 이야기는 청년들의 주도적인 행위자성과 회복력이다. 청년들은 그들의 삶에서 무언가 만들어내고 이루기 위한 반복된 시도에서 투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장애물에 직면한다. 대부분의 장애물들은 본질적으로 구조적이다. 열악한 기본 교육, 진로 지도 부족, 제한된 정보 접근, 높은 작업 비용, 낮은 일자리 증가, 범죄와 폭력에 노될 가능성 등등. 또한 그들의 이야기에서 기회나 직업에 접근하지 못하거나 훈련과 직업 기회가 그들을 더 나은 결과로 이끌지 못하여 생기는 좌절감을 발견한다. 그리고 청년들은 많은 도전의 구조적 특성을 알고 있지만, 그들이 삶에서 진전을 이루지 못하는 것에 대한 비난을 개인화한다. 그들은 그들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 자신 스스로의 실패를 지적한다. 이것은 결국 정신 질환, 사회적 배제라는 감각로 이어질 수 있다.   


    NEET 상태에 있는 것은 더 나아지려고 노력하는 선형적인 과정이 아니라, 청년들이 기회를 찾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태이지만, 기회를 잡지 못하면 다시 NEET 상태로 돌아온다.   


    청년들이 수많은 교육을 듣고,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창업하는 것을 포함해서 다양한 파트타임 일들을 하며, 나쁘지 않은 생활비를 벌거나 괜찮은 삶으로 나아가기 위해 기회를 추구하며 살아가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 본질적으로 청년들은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장기적으로 경제적인 기회로 잡으려고 한다. 그러한 시행착오들은 실패로 보통 귀결되며, 그 과정에서 지원이나 피드백도 거의 없다.   


    어떻게 개입을 하는 것이 청년의 필요를 가장 잘 충족시킬 수 있을까? 연구에 참여한 청년들은 그들이 주체적으로 행위하는 것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확실하게 이야기 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에는 서비스와 기회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와 그들이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무엇을 더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포함되어 있다. '청년 문제' 출판물에 기고한 청년들은 '지원의 순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는데,  그들의 주체적인 행위성이 중심에 있는 상태에서,  박식하며, 방향설정을 해 줄 수 있는 부모, 교사, 멘토, 종교 지도자와 같은 사람들 등의 지원을 받는 것이다. 그들은 '사람 전체'와 '사회 전체' 접근 방식을 지지하지만 청년들은 자신들이 그 안에서도 나름의 역할을 하기를 바란다.   


    이론적으로 말해서, '긍정적인 청년 발달 접근 방식'은 사실 청년들이 요구하는 것이다.  청년들에 대한 그러한 접근은 "청년의 주체적인 행위성과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문제를 다루는 것에서 우리의 실무 지향성을 바꾼다.  그러한 접근법은  촉진적이고 예방적이다. 예를 들어 고용 가능성에 적용되면 "청년실업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서 "어떻게 하면 청년들이 보다 원활하게 노동시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가?"로 질문을 전환한다. 그것은 우리에게 청년이 노동 시장과 관련 기술이나 잠재력뿐만 아니라 총체적인 방식으로 접근하도록 해준다. 즉, 그들의 관심사, 주체적인 행위성, 꿈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들의 재능과 에너지를 강조하며 그들이 개인, 가정 및 구조적 장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총체적인 방식으로 젊은이들과 함께 일할 것을 요구한다. '긍정적인 청년 발전 접근방식'의 중심에는 청년의 주체적인 행위성과 역량이 있지만, 또한 청년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이 주체적인 행위을 이끌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도울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긍정적 청년 발전 접근방식' positive youth development approach


참여자들의 이야기와 현실을 고려하면 '긍정적 청년 발전 접근방식'은 어떤 모습일 수 있을까? 


    첫째, 전체론적이고 다차원적이며 인간적인 접촉을 제공한. 청년들을 대면하게 하고(아마도 기술에 의해 지원될지도) 그들의 능력과 목표를 이해하면서 그들이 있는 곳에서 시작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젊은이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기 위한 무언가가 필요하다. 기존 시스템(학교)에서 완전히 나오기 전에, 그리고 시스템에서 나온 사람들도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무언가가.   


    청년들이 스스로 하는 행위에 대해서 지지를 받고 있다고 느끼고, 방향을 잡는 능력과 복지를 향상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청년들에게 기본적인 정보와 서비스의 "스타터 팩"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는 "소액의 현금, 은행 계좌, 경로 정보, 운송권, 항공권, 디지털 구직 플랫폼에 대한 접근"이 포함될 수 있다.    


    청년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서비스는 무수히 많지만, 그러한 서비스와 기회는 청년들에게 알려지지 않거나 다양한 이유로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참여자들의 이야기 이용 가능한 기회에 참여하려는 반복된 시도와 이를 위한 시도에 대한 실제 투쟁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그러한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어떠한 개입이든 그들이 지역 수준에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와 기회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이 더 나은 삶을 향해 건설하고 그들의 발전을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소개에는 젊은이들이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도록 돕고, 적절하고 접근 가능한 훈련 기회를 식별하며, 이러한 기회를 신청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청에 대한 후속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심리사회지원서비스 또는 성·생식보건서비스 의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회보조금, 유아발달시설 등 젊은 부모나 보호자가 접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자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젊은이들의 재정적 능력을 지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지역 정보"가 필요하다. 즉, 이용 가능한 지역 서비스와 기회를 이해해야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 경로를 지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접근 방식은 지속적인 지원을 필요로 한다. 너무 많은 프로그램들이 젊은이들이 기회에 접근하게 해놓고 그 다음 부터는 그들 스스로 탐색하도록 내버려둔다. 긍정적인 청소년 발달 접근법은 일정 기간 동안 젊은이들과 함께 걷기를 추구하며, 그들이 특정 기회를 완료하거나 특정 서비스에 참여했을 때 개입에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그들의 궤적에서 다음 단계가 무엇인지 평가하기 위해 지원자와 협력한다. 확실히, 청년들의 이야기는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청년들에게 높이 평가된다는 것을 보여다.  




작가의 이전글 니트컴퍼니 공부 - NEET 선행연구(질적연구) (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