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맛의 기억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정숙 Mar 25. 2019

겨울그림자와 냉이

일러스트 음식 에세이




봄이 온 거 같다.
온 거 맞겠지?


이제 두툼하고 깜장 깜장한 겨울옷을 넣어두고

봄옷을 꺼내야 할 텐데 도무지 마음이 동하지 않는다.
귀찮아도 너무 귀찮다.

아직 겨울 아우터를 입고 다녀도 우중충한 하늘색과 이리 잘 어울리는데 무슨 문제란 말인가?

미세먼지 덕분에 우중충한 하늘이 지속되고 있다.
어느 날은 회색이고 또 그다음 날은 누리끼리 황토색이기도 한 것이 거실 창 통을 통해 바라보는

하늘은 도무지 봄이 왔다고 보기 어렵다.


겨울은 마무리를 짓는 것을 잊어버려 지겨운 문장만을 끊임없이 써 내려가는 작가처럼 도무지 봄날 같은 봄날을 내어주지 않는다.
이런 미세먼지 가득한 흐린 날은 도무지 봄 대접해주기가 싫은 것이다.

나는 겨울 그림자 같은 옷을 대충 걸쳐 입고

비상근으로 근무하는 갤러리에 출근했다.
오늘은 회색과 누런색의 중간색인 그레이쉬 덜

옐로 톤 공기 색이라고 해야 할까?

오래간만에 나온 바깥에는 그래도 봄이라고

매화꽃봉이가 터졌다.
미세먼지 속에 핀 꽃임에도 매화향은 꽤 짙어

모르고 지나쳤다가도 기어이 꽃 핀곳을 찾아내게 만든다.
정시출근을 위해 걸음을 재촉하다 가로수 심긴

정사각 작은 흙바닥에 시선을 떨궜다.

냉이다.
겨우내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견뎌낸 냉이가

흙땅에 바짝 붙어 멍이 잔뜩 든 보라색 꼴로 잎이

흙을 그러쥐듯이 나와 있었다.
매연을 잔뜩 먹고 미세먼지를 잔뜩 먹고도

아스팔트로 다 깔려버린 서울 땅바닥에서도

손바닥 만한 흙을 찾아내 가로수 밑에서 겨울을

구내하고 다가올 봄을 온몸으로 담담히 기다리고 있다. 냉이 옆에는 무심한 듯 무단인 듯 버려진 담배꽁초도 하나 장식되어 있었다.

왜 이렇게 열심히 사는 걸까?

온몸으로 자신을 받치어 살아내도 위치를 잘 못 잡아 미세먼지나 잔뜩 먹고, 몸속엔 중금속이 함유될 뿐인데.

월요일 출근길 탓인지, 마음속엔 아직 봄이 오지 않아서인지 나의 무기력이 냉이를 보고 발끈한다.
왜 살아야 하는가 질문 하나 없이 꿋꿋이 흙을 밀어내고 있는 냉이한테 나를 반론하고 싶었다.

걸음을 멈추어 조용히 냉이를 바라보았다.
삶에 대한 푸념을 하다 보니 냉이의 쌉쌀한 맛이 입에 감긴다.

젊은 시절 엄마는 이맘때쯤이면 소쿠리를 들고 뒷산에 올라가 봄나물을 잔뜩 캐었다.
냉이랑 쑥이랑 달래 등을 캐어 밥상에 잔뜩 풀어냈다.

아파트로 이사 가기 전까지는 나도 곧잘 따라가서 일손을 돕는다는 핑계로 아이스크림을 사달라 졸랐다.
벌건 흙이 드러난 벌거숭이 야산이 기억난다.
흙이 언 듯 녹은 듯 딴딴한 황무지에 땅바닥에 들러붙은 풀들은 어린 내겐 잡초인지 먹을 건지 잘 몰라
그냥 보이는 데로 뜯어서 소쿠리에 담았다.

내가 담으면 엄마가 몰래 빼내 버리고를 반복했다.
엄마가 실컷 뿌리째 캐내야 한다고 해도 그냥 풀잎만 되는 대로 뜯어서 오히려 방해만 하는 야매 일꾼이었다.
하다가 지겨워지면 쭈그려 한참 캐고 있는 엄마 등에 기대어 저거는 먹는 거야? 저거는 뭐야? 질문 세례를 퍼붓고는 돌아가는 길엔 많이 도왔으니 아이스크림을 사달라고 슈퍼 앞에서 칭얼거리곤 했다.


그때의 햇살과 흙내음이 조금은 그리운 듯하다.


오늘 저녁은 돌나물 무침에 냉이된장국을 버섯밥과 먹어야겠다.

그리고 이번 주말은 본가에 내려가 쑥버무리를 해달라고 조르면 엄청 귀찮아하면서도 해주시겠지?

이번 주의 일주일을 살아낼 음식은 봄나물 낙점이다.
겨울을 견딘 쌉쌀한 맛이 겨울의 긴 여운을 거둬가길 바라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쌉쌀한 삼겹살의 추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