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교육비평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교실밖 Dec 22. 2019

단지 아이들

어릴 때부터 경계 짓기를 내면화하는 아이들 

5년 전에 근무했던 학교는 '단지 안'에 있었다. 그전에 5년 동안 근무했던 학교는 '단지 밖'에 있었다. 그리고 또 전에 7년 동안 근무했던 학교는 '단지 안'에 있었다. 여기서 '단지'는 이 동네에서 가장 큰 아파트 단지를 이르는 말이다. 1980년대 서울 외곽 신도시 개발 붐에 따라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선 곳이다. 이후 이곳은 '사교육 1번지'로 성장했다.  단지가 들어서기 전에는 도로포장마저 제대로 되지 않았던 서울의 변방이었다. 장마철 한강의 지류가 넘치면 거의 모든 집의 1층까지 잠기던 그런 동네였고, 복개되기 전 흐르는 하수의 냄새가 코를 찌르던 곳이었다. 지금 하수가 흐르는 복개천은 패션거리로 변했다.

이곳에는 단지 중심축을 따라 크게 도는 일방통행 도로가 있다. 처음 이 동네를 방문한 사람들은 일방통행 도로 때문에 목적지를 찾아가는 데 애를 먹는다. 이 중심축을 따라 상권이 형성됐다. 주종은 학원이다. 거의 모든 건물에 학원이 입주해 있으며 건물 전체가 학원으로만 이뤄진 곳도 꽤 있다.

그러면, '단지 아이들'이라는 말이 어떻게 생겨났고 지금은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알아보자. 처음 단지 아이들이라는 말은 1단지에서 14단지에 이르는 아파트 단지 안에 살면서 단지 안에 있는 학교를 다니고 있는 아이들을 이르는 말이었다. 다시 그 안에 앞 단지, 단지라는 말이 있는데 앞 단지는 1~6단지, 뒷 단지는 8~14단지가 들어가 있다. 7단지는 반은 앞 단지에 반은 뒷 단지에 있는 경계 지역이다. 앞 단지의 교육열이 좀 더 높고 이들은 뒷 단지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하여 자부심이 높다. 


단지 아이들에 대비되는 말로 여러 가지가 있다. '길 건너 애들'은 단지와 비단지를 구분하는, 도로 저편에서 단지 안의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을 부르는 말이었다. 비슷한 말로 '연립애들', '빌라애들'과 같은 말이 있었다. 처음에는 '뚝방애들'로도 불렸는데 단지가 형성되면서 밀려난 세입자들이 주로 뚝방 인근에 살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었다. 


끊임없이 경계 짓고, 구분하는 일은 이 동네에서 아주 일상적이었다. 어쩌면 그런 구분과 경계가 이 동네의 사교육 열기를 형성하는 에너지였을지도 모르겠다. 경계 밖 아이들과는 어울리지 말라는 것이 단지 아이들에게 이르는 부모들의 요구였다. 이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끈끈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고등학교까지 올라갔다. 동아리 활동을 정하면서 놀랐던 적이 있다.

과학탐구반의 경우는 초등학교 때부터 형성되어 온 네트워크에 속한 아이들이 들어갔다. 이를테면 과학고 입시준비반 비슷한 것이었다. 이 네트워크는 학부모들이 챙기고 유지하였다. 국제이해반도 마찬가지였다. 외고를 준비하는 아이들의 공부모임 방식으로 진행됐다. 네트워크 밖 아이들이 이 동아리에 들어갈 자유는 있었지만 누구도 들어가지 않았다. 단지 동아리 활동을 같이 한다고 분리, 배제가 없겠는가.  

그런데 이곳 단지 안에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가 들어섰다. 그리고 바로 옆에 신설학교가 생기면서 주상복합에 거주하는 아이들이 이 학교의 '주류'로 자리 잡게 됐다. 당연히 다시 그들만의 경계 짓기가 생겨났다. 주상복합에 사는 아이들과 그냥 일반 단지에 사는 아이들의 구별이 바로 그것이다. 


'단지 아이들'이라는 호명은 질투와 선망의 대상이었다. '단지 안'에 살기 위해, 그쪽에 있는 학교에 배정받기 위해 단지 밖의 두 배가 넘는 주거비를 감당했다. 그런데 이제 사정이 달라져 '단지 아이들'은 '길 건너 아이들'과의 비교 우위 구분에 더하여, 주상복합에 사는 아이들이 비하하는 경계어로 자리 잡았다. 단지와 길 건너를 구분하고, 앞 단지와 뒷 단지를 구분하며, 이제는 주상복합과 단지를 구분하는 끊임없는 계층 구분과 경계 짓기는 아이들에게 어릴 때부터 '무기력과 희망 없음'을 주입한다.  

물론, 이 말이 상위계층 아이들의 인성이 나쁘고, 무조건 경쟁에만 몰입한다는 뜻은 아니다. 내 경험으로 보아 그들은 어렸을 때부터 얻은 문화자본으로 인해 단지 밖 아이들에 비해 독서량이나 교양이 높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가르치는 자의 입장에서는 더욱 우울의 강도가 높을 수밖에 없었다. 한때 선망의 대상이었던 '단지'라는 호명이 이제 그보다 더 잘 사는 초고층 주상복합이 생김으로써 그들에 의해 비하의 대상이 됐다는 점에서 격세지감을 느낄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공교육 정상화 VS 선발의 공정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