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관조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우 Jun 09. 2024

독감

안보길 권함.

어디론가 떠나고 싶다. 다들 많이 생각해 보는 문장이다. 오늘의 나도 그랬다. 별생각 없이 헬스장에 가서 하체 운동을 하고, 집으로 돌아온 뒤 멍하니 있던 침대 위에서 문득. 떠나고 싶어졌다.

어디로 가야 하나? 생각이 들어 가까운 관광지를 검색했다. 그제야 알았다. 난 어딘가로 떠나고 싶은 게 아니었다. 그냥 지금이 싫었던 것이었다.


멍하니 침대 위에 있는 내가 싫고.

멍하니 본 인스타의 행복한 스토리가 싫고.

좋아해도 되나 싶은 애의 SNS를 보고 있는 내가 추해 싫고.

그 모든 게 겹쳐 있는 내가 지독하게 싫다.

떠나고 싶은 건 이 침대 위가 아니었다. 침대 위 나였다.


예전부터 들은, 그리고 행했던 말이 있다. '자신의 감정이 혼란스러울 땐 글로 써봐라. 한결 나아질 것이다.' 

실제로 효과를 꽤 봤다. 왜 내가 이렇게 우울하고 우중충하게 사는지 명확하게 말로 할 수 있었으니까. 지금 이런 글을 쓰는 것도 그 효능을 바라면서 쓰고 있는 것이다. 근데 이번에는 효과가 없는 것 같다.

이전에 보던 책에서 우울은 모두가 거치는 감기 같은 것이라고 했던 문장을 봤었다. 그럴 것이다. 난 지금 감기에 걸린 사람일 뿐이라고 느낀다.


그런데 감기가 아닐 수 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분명 3시간 전까지만 해도 꽤 밝았던 것 같은데. 다른 친구들과 대화할 땐 아니었던 것 같은데, 아니다. 그 모습이 나라는 사람은 맞았나 싶기도 한다.

이 글은 내 브런치에 올리려고 한다. 내가 또 이런 상태에 놓이면 한 번쯤은 생각날 수 도 있으니까. '이때도 아주 지랄 맞게 궁색했구나.' 하면서 볼 수 있게 말이다. 그럼 좀 힘이 날지도 모른다. 그런데 브런치에 욕설을 써도 되는지 모르겠다. 알빠는 아니다. 고작 글이 삭제되고 뭐, 끝이겠지.


이럴 때 뭘 해야 하는지 머리는 이해한다. 뭐라도 해야 한다는 걸 머리는 명령하고 있다. 나는 머리를 두 대정도 쌔게 때렸다. 멍한 게 좀 풀리는 것 같기도 하고, 역으로 다시 멍해지는 것 같기도 했다. 방금 나는 헬스를 갔다 왔고 그리고 이렇게 됐다. 스스로 우울이라는 얕은 우물에 코를 박고 질식을 바라고 있는 기분이다.

뭘 해야 하지? 뭘 해야 할까 생각하면 나는 더 깊게 머리를 박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낀다.

이런 적이 또 있었나 싶다. 침잠하는 우울은 오랜만인가, 겪은 적 없었나. 감기라면 모든 사람은 감기 증상이 다르다. 강도가 다른 게 증상이 다른 거겠지. 오늘 나는 빌뿐이다. 부디 독한 독감이 아니길. 

매거진의 이전글 11월 3일. 악보처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