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휫먼 Nov 22. 2022

“어떤 동아리셨어요?” : Web3 커뮤니티 입문기

“어떤 동아리셨어요?”


처음 만나는 사람을 알아갈 때, 전공이 무엇인지보다 어떤 동아리에서 활동했는지가 그 사람을 더 잘 드러내는 것 같다. 전공은 점수나 조건에 맞춰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동아리는 상대적으로 개인의 ‘찐' 관심사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고등학생-대학생 시절, 내가 열심히 활동했던 동아리는 두 개. 환경 동아리와 락밴드 동아리이다.



고등학생 때, 이대론 안 된다는 위기감에 환경 동아리를 만들었다. 약 10년 전에도, 지구온난화와 기후 위기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지금은 더 심각해졌지만 말이다.



학교 급식실 앞에서, 지역 축제에서, 피켓을 들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외쳤다. 동아리원들은 우리의 활동이 함께 잘 살기 위한 일이라고 생각했지만, 지나가시던 한 선생님의 “그런 거 해도 대학 가는데 하나도 도움 안 돼~!”라는 말에 무너져내리기도 했다.



대학에 들어와서는 순전히 흥미를 따라갔다. 나는 공연의 현장감이 좋았다. 무엇보다도, 공연장에는 무대 위에도, 관객석에도, ‘그 순간에 푹 빠진’ 사람들이 가득했다. ‘나도 무대에 서고 싶다’는 생각으로 무턱대고 락밴드 동아리에 들어갔다. 반년간 드럼을 치다가, 3년 반 가량은 베이스를 치며 여러 무대를 서고 또 지켜봤다.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날 수 있어 좋았지만, 한편으로는 그 사랑하는 음악을 현실 때문에 포기하는 안타까운 순간도 많이 마주쳐야 했다. ‘왜 인디 아티스트들은 돈을 벌기가 힘들까?’하는 의문은 ’어떻게 하면 이들이 더 알려질 수 있을까?’ 하는 행동으로 이어졌다. 인디 밴드들이 자신을 알릴 수 있는 공연을 기획하기도 하고, 관련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해 보기도 했다.



환경 동아리와 락밴드 동아리.


피켓을 들고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외치던 나와 베이스를 들고 락 음악을 연주하던 나의 모습은 달라 보이지만, 공통적인 배움이 하나 있었다. 어떤 개체들이 살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생태계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배움을 바탕으로 얼마 전 나의 꿈을 다시 정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세상에 질문을 던지는 사람들을 도와,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고 싶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환경, 예술, 교육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에 뛰어드는 사람들을 돕는 일, 임팩트 생태계를 구축하는 일을 하고 싶다.


그리고 이를 현실화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이 '커뮤니티'라고 생각한다. 어떤 분야든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만드는 일은 혼자서 해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같은 가치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우리가 함께 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끊임없이 소통하고, 각자의 전문성을 발휘하여 힘을 합쳐야 한다. 어떻게 이 마법 같은 일이 가능할까?



나는 그 가능성을 Web3에서 봤다.


“그래서 Web3가 뭔데?”

블록체인, NFT, 여기저기서 들려오지만, 여전히 낯선 개념인 ‘Web3’와 ‘소셜 임팩트', 그리고 ‘커뮤니티'가 어떤 연결점이 있는지 앞으로 함께 알아가보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