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와이아트 Jan 24. 2023

창작을 넘어 창조하는 예술가 : 테오 얀센

“예술과 공학의 장벽은 우리의 마음속에만 존재한다(The walls between art and engineering exist only in our minds).” 



키네틱 아티스트 테오 얀센(Theo Jansen, 1948-)이 2007년 BMW 광고에서 남긴 말이다. 얀센은 과학과 예술을 융합해 만든 움직이는 조각으로 ‘21세기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로 불리는 예술가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도에 개인전을 개최한 적이 있다.


테오 얀센(Theo Jansen) (출처: 위키피디아)


움직이는 예술 작품을 뜻하는 ‘키네틱 아트’는 그리스어로 ‘움직임’을 뜻하는 ‘Kinesis’와 ‘Kinetic’에서 유래되었다. 키네틱 아트는 1920년 러시아 미술가인 나움 가보(Naum Gabo)와 페브스너(Antoine Pevsner)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움직이는 리듬이 조각과 회화예술에 있어서 새로운 요소”라고 선언했는데, 이러한 선언을 계기로 여러 예술가들이 움직이는 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다. 우리에게 익숙한 마르셀 뒤샹의 <자전거 바퀴>가 바로 키네틱 아트의 탄생을 알리는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키네틱 아티스트를 대표하는 테오 얀센은 1990년부터 <해변동물(Strandbeest)>이라고 불리는 시리즈를 만들어오고 있다. 그의 손끝에서 탄생한 해변동물들은 전기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바람이나 물 같은 자연적인 힘으로 스스로 움직인다. 그의 작품은 실제론 ‘무생물’이지만, 스스로는 작품을 ‘생명체’로 규정하고 실제 생물학의 분류 체계처럼 라틴어식 속명과 종명을 붙인다. 기계장치가 스스로 움직인다는 뜻에서 ‘기계 생명체’로 명명한 것이다. 


테오 얀센, <아니마리스 쿠렌스 벤토사(Animaris Currens Ventosa)>, 1993. (출처: 작가 홈페이지)


이처럼 그는 자신의 해변동물을 실재하는 생명체처럼 여긴다. 동물(Ani)과 해변(Maris)을 합쳐 만든 말인 ‘아니마리스(Animaris)’는 ‘기계 생명체’라는 뜻을 지닌다. 이러한 이름에서 볼 수 있듯, 그는 자연과 생명을 존중하는 예술 철학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과학기술의 많은 부분은 자연으로부터 유래된 것이 많다. 가령 비행기는 새를 형상화한 것이고, 카메라는 눈을 모방한 식이다. 이처럼 얀센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조형적 영감을 얻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테오 얀센, <아니마리스 페르치피에레 프리무스(Animaris Percipiere Primus)>, 2006 (출처: 작가 홈페이지)


테오 얀센은 네덜란드 스헤베닝언(Scheveningen) 출신으로, 델프트 공과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1975년까지는 계속 물리학을 공부하다 이후 예술가의 길로 들어섰고, 처음에는 회화 작업을 했지만 이후 설치 작품에 관심을 두게 된다. 특히 수백만 년에 걸쳐 진화해온 대벌레의 진화 과정에서 영감을 받아 컴퓨터로 가상 생물체를 구상하기 시작한 것이 예술과 공학을 융합하는 현재의 작업으로 이어졌다. 


얀센이 작업 활동을 시작한 당시 네덜란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홍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래언덕의 높이를 올리는 방법을 고안 중이었다. 이 과정에서 해변을 거닐며 모래를 밀어내 자연 장벽을 만들어내는 ‘해변동물(Strandbeest)’을 착안했고, 이내 곧 해변동물을 실제로 구현하게 된다. 


테오 얀센, <아니마리스 불가리스(Animaris Vulgaris)>, 1990. (출처: 작가 홈페이지)


해변동물은 첫 등장에서도 알 수 있듯, 평지보다 모래 위에서 더 효과적으로 이동한다. 사람은 평지에서 이동하는 것이 더 편한데, 해변동물은 이와는 반대로 진화한 것이다. 해변동물의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11개의 뼈대로 이루어져 있다. 그는 컴퓨터 오랜 시간의 연구 끝에 가장 적절한 뼈대의 길이 비율을 찾았는데, 작가는 이 숫자들의 집합을 ‘신성한 숫자들(Holy numbers)’이라고 부른다. 11개로 구성된 작은 가지들은 해변동물들이 땅을 내딛고 밀어내면서 반복적으로 걷게 만들어준다. 


테오 얀센의 메커니즘 (출처: 작가 홈페이지)


얀센의 작품들은 기본적으로 플라스틱 파이프와 버려진 페트병으로 만들어진다. 플라스틱 파이프를 구부리고 연장하는 방식을 통해 작품의 뼈대를 만든 뒤, 케이블 타이나 끈으로 플라스틱 파이프들을 엮어 단일한 구조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작품 자체가 스스로를 유지시키며 방어 체계가 가능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플라스틱 파이프와 폐페트병을 이용한 제작 방식 (출처: 작가 홈페이지)


동력으로는 ‘바람’을 주로 사용한다. 단순히 바람에 떠밀리는 느낌이 아니라, 불어오는 바람을 페트병에 저장하고 압축하여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날개 부분을 통해 들어온 바람이 피스톤으로 전달돼 펌프 운동을 하고, 페트병에 수집된 공기는 압력 차이를 이용해 다리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런 방식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바람이 적게 부는 환경에서도 움직임이 가능하다. 친환경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한 공로로 2009년에는 UN 환경계획(UNEP)은 그의 이름을 딴 상을 제정하기도 했다. 


한편, 얀센의 손끝에서 창조된 바다동물들은 실제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진화’를 거듭한다. 그는 자신의 저서 『위대한 몽상가』에서 총 8세대에 걸쳐 진화시기를 분류한다. 이후 4세대가 추가되어 현재까지 총 12세대로 구분되어 있다. 진화를 거듭할수록 보행능력이 강화되고, 근육운동이 세부화되며, 감지능력이 높아진다. 초기에 만들어진 작품들은 관절이 테이프로 연결되어 있었던 반면, 최근의 작품들은 관절이 단단해져 폭풍에도 견딜 수 있는 정도가 되었다. 해안의 환경을 식별하여 파도를 피하거나 자신의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6세대 리냐툼기(Lignatum)기(1997-2001)의 모습. 사람이 타고 조종이 가능하며, 수송의 기능까지 갖추었다. (출처: 작가 홈페이지)


얀센은 이처럼 해변동물의 진화 단계를 연대기별로 정리하면서 자신의 작업을 발전시켜나가고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아니마리스 우메루스(Animaris Umerus)>는 ‘어깨 달린 해변동물’이라는 뜻인데, 등에 달린 날개를 이용해 페트병에 공기를 저장하고, 움직여야 할 상황이 되면 저장된 공기를 동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해변동물은 스스로 움직이고 뇌까지 탑재하면서 끊임없이 진화를 시도한다.


테오 얀센, <아니마리스 우메루스(Animaris Umerus)>, 2009. (출처: 작가 홈페이지)


얀센의 해변동물이 독특한 점은 일반적인 생명체처럼 ‘수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생명체가 영원히 살지 않는 것처럼, 그의 해변동물들도 부서지거나 노후하면 사망하게 된다. 평균수명은 2년 정도이다. 이 기계 생명체들은 움직일 때 모래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때때로 해변의 환경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단체생활을 한다는 세계관을 지니고 있는 이 작품들은 서로 부딪히고 뒤엉키면서 지구 환경에 적응해나간다. 


해변동물이 계속해서 진화를 거듭하다보면 마치 인공지능(AI)처럼 생명체가 스스로 생각하고 홀로 돌아다니는 날이 올 것도 같다. 얀센은 이에 대해 “언젠가는 해변동물들이 바닷가를 자유롭게 걸어 다니며, 번식하며, 무리를 이루어 살게 하고 싶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지구상에 또 다른 생명체가 탄생하는 듯한 모습이다. 


얀센이 이러한 작품을 제작한 것은 네덜란드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홍수 위험을 해결하고자 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사람들이 스스로 환경 보존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하는 것이 자신의 꿈이라고 말한다. 그는 수백만 년에 걸쳐 진화해온 벌레의 모습에서 영감을 받아 친환경적인 작업을 선보인 예술 작품을 통해 환경문제에 목소리를 내고 창작의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다. 




본 글은 '프럼에이'에 발행되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미래를 그리는 생태적 디자인 : 네리 옥스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