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18. 이동평균선의 정배열과 역배열



'수익나는 조건검색식 스스로 만들기' 전자책 출간!!

https://kmong.com/gig/311771

주린이라면 꼭 읽어야 합니다. 그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던 주식 상승의 기초 원리>를 담았습니다.

그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던 주식 상승의 기초 원리>를 담았습니다.

https://kmong.com/gig/282840






이제 막 주식을 시작한 초보분들 중에도 정배열과 역배열이라는 단어는 한번쯤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정배열이 주가에 좋다' 혹은 '역배열은 주가에 안좋다'는 이야기도 들어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정배열은 무엇이고, 열배역을 무엇일까요?


정배열


사실 정배열과 역배열은 매우 쉽습니다. 아래 그림 18-1로 정배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그림 18-1 정배열

말 그대로 정배열은 단기부터 장기까지 순서대로 배열된 상태를 정배열이라고 합니다. 그림 18-2 의 실제 정배열 차트를 보겠습니다. 

그림 18-2 정배열 차트 - 삼성전기 18년 4~6월 

정확하게는 ①번 네모 박스 안의 이평선들이 모두 정배열 상태로 우상향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는 상승 중에 늘 조정을 받기 마련이기 때문에 전체 차트 중에서 ③번과 같이 단기 이평선 간의 역배열 현상이 일어나도 ②번 네모 박스의 구간은 전반적으로 정배열 차트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③번 구간을 역배열 구간이라고 설명했는데, 이제 역배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역배열


역배열은 정배열과 반대의 상태로 그림 18-3과 같이 장기, 중기, 단기의 상태로 배열된 것입니다. 정배열이 상승 추세였다면, 역배열은 하락 추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림 18-3 역배열

그림 18-4 의 실제 역배열 차트를 한번 보겠습니다.

그림 18-4 역배열 차트 - 삼성전기 18년 10~12월 

위의 그림 18-3에서 정배열 차트로 보았던 삼성전기가 18년 10월부터 역배열로 바뀐 모습입니다. ①번 네모 박스 안에서 장기, 중기, 단기로 배열된 역배열의 모습을 뚜렷이 볼 수가 있습니다. ②번 동그라미 안 처럼 중간에 단기 이평선이 정배열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③번 네모 박스 안의 구간은 전반적으로 역배열 차트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정배열은 상승 추세, 역배열은 하락 추세


이미 깨달으셨겠지만, 정배열은 전형적인 상승 추세의 차트이고 역배열은 하락 추세의 차트입니다. 하지만 정배열인 차트가 항상 상승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하락 추세로 전환하여 역배열 차트가 될 수 있으며, 역배열 차트도 언제든지 상승 전환하여 정배열 차트가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을 보여드리기 위해 위의 정배열, 역배열 차트를 2018년 삼성전기의 차트를 예로 들었습니다.

그림 18-5 삼성전기 2018년 차트

①번 네모 박스 안이 정배열 예시로 보여드렸던 그림 18-2 구간이고, ②번 네모 박스 안이 역배열 예시로 보여드렸던 그림 18-4 구간입니다. 정배열로 계속해서 상승 추세를 이어갈 것만 같던 이 종목은 10월 글로벌 주가 하락 구간에서 하방 압력을 못이기고 하락하면서 역배열 구간에 접어들었습니다. 물론 두 구간 사이에서 상승이 완만해지는 조정 구간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정배열 구간이라고 무조건 상승 추세로 보고 매매를 해서는 안되며, 역배열 구간이라고 무조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여 물려있는 종목을 손절해서도 안됩니다. 물론 일반적으로 주식은 역배열이나 하락 추세 구간에서는 매매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매매 기법에 대해서는 기초를 완전히 마스터한 단계에서부터 더 자세히 공부해 나가면 좋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12. 현재가창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