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yangpa Dec 31. 2017

아프리카에도 샴페인 바가 있다. 한국에 빈민촌이 있듯이

 얼마 전에 가난에 대한 글을 올렸다. 양파 니가 가난을 어찌 안다고 가난한 사람들을 이렇게 기만하냐 류의 댓글을 몇 개 봤다. 내가 이 사람들을 알지 못하니까 이 사람들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고 가정하고, 필진 소개인 '런던 IT 인' 정도로 나를 판단한다고 가정하겠다. 


 난 아프리카에서 거의 20년 살았다. 거기에서 찢어지게 못 살았냐 하면, 부모님이 사업으로 쫄딱 망한 몇 년도 (부모님이 친지들에게 돈을 빌려와서) 사실 백인 지역 집에서 잘 버텼고, 학교에는 사정해서 장학금 처리로 잘 다녔고, 밥 굶을 일 없었다. 좀 서러울 때가 아예 없었다면 거짓말인데 내가 워낙 무던하고 둔한 성격이라 그냥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갔다. 


 내가 남아공 떠나기 전에 우리 집에서 일하던 아줌마는 (그렇다! 나는 서른까지 집안 청소, 설거지 거의 안 하고 자란 공주다!) 우리 집에서 일하면서 새로 집을 샀다며 좋아했다. 무려 자기가 처음으로 '수도'가 달린 집에서 살 수 있게 되었다고 했었다. 아, 정말 멍하더라. 아프리카 살면서 찢어지는 가난은 어느 정도 안다고 자만했었는데 그건 생각도 못했다. 


 역대급 또라이 무가베가 집권하는 짐바브웨의 학교 선생님들은, 몇 년 전에 들은 얘기로 한달에 2달러를 받는다. 그걸로 생활이 가능하냐면 당연히 아니지. 그렇다면 어떻게 살림을 꾸리는가? 학교에서 선생님으로 일하면 남아공으로 여행하는게 훨씬 쉬워진다. 그래서 학교 선생님들은 돌아가면서 남아공에 일하러 간다. 남아있는 선생님들이 출장(?) 간 선생님들의 가족을 건사하고, 출장간 선생님들은 거리에서 자고 먹을 것을 최대한 아끼면서 무슨 잡다한 일이라도 하여 돈을 모아 다시 돌아간다. 짐바브웨에서 남아공까지 오는데에 여자들은 거의 다 강간을 경험한다고 보면 되고, 남녀 가릴 것 없이 강도를 당한다. 


 이 한 문단을 얼마나 흥미롭게 읽었는지 모르겠으나, 보통 사람들은 모르는 나라 나오면 거기부터 신경 끈다. 보통 인간은 “내 기분을 낫게 하기 위한 가난 포르노”, 그러니까 나보다 못한 사람을 보면서 와! 난 그래도 낫지 않나? 역시 난 고등학교때 공부 열심히 해서 안 가난해 하는 식이 아니라면 가난에 별로 관심 없다. 가난한 나라에 살면서 어쩔 수 없이 일상적으로 가난을 접해야 하는 사람의 경우에도 점점 무신경해지고, 어쨌든 내 손의 가시가 더 아프다. 고등학생인 나도 내가 미국으로 유학 못 가는 집안의 현실이 훨씬 답답했지, 현실적으로는 훨씬 더 심각한 남아공의 빈부 격차에는 그리 분노하지 않았다. 아프리카 정치와 역사를 공부해도 그랬다. 


 사람의 뇌는 분류 기계다. 수없이 쏟아져 들어오는 시그널을 어떻게 빨리 분류하고 쓸데 없는 건 갖다 버리기를 계속적으로 배운다. 그러면서 이기적인 필터링이 점점 강해진다. 내 일이 제일 힘들고 내가 제일 고생한다. 나와 관계없는 일은 드라마틱하게 재미 없지 않는 이상 필터된다. 요즘 처럼 살기 힘들 때엔 그게 당연하기도 하다. 하지만. 


 사유는 가능하잖아. 거리에서 구걸하는 사람은 왜 그 자리에 앉게 됐을까. 이 사람은 저녁에 뭘 할까. 심심할 때 뭐 할까. 나랑 똑같이 눈코입 달린 사람이고, 어렸을 때는 내가 내 새끼 이뻐하는 것처럼 부모님이 이쁘게 키웠을 텐데 언제부터 일이 꼬였을까. 사실 나도 부모님을 믿고 돈 빌려줄 사람 없었으면 거리 나앉았을 수도 있지. 미국에서도 중산층이었다가 병에 걸리고 집 잃고 홈리스로 전락하는 이들 많은데, 거리에 나앉는 순간부터 예상 수명이 확 줄어든다. 그런 생각 하지 않나? 


 시리아는 2000년대만 하더라도 비민주적이진 않아도 콘크리트급으로 안정적이랬다가 급작스레 무너진 케이스다.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가뭄이 심하고 온도가 올라가니 작물이 다 망해서, 이전에는 잘 살던 농부들이 난민이 되어 도시로 몰려들고, 실업률이 올라가고, 뭐 그러다가 정치적인 불안으로 이어졌다고 어디서 짧게 읽은 기억이 난다. 나야 뭐 그냥 기사 읽고 지나갔지만, 그게 한국의 농민이라고 생각해보자. 농부들의 70% 가 망해서 서울로 올라왔다면. 이전에는 그럭저럭 잘 살던 중산층 농민이 아이들까지 다 안고 메고 서울의 거리를 헤맨다면. 


 그래봤자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시리아 난민 모금에 얼마 돈 기부하고 “그래도 뭔가 했다”는 식으로 자기 위안 삼는 것 뿐이지만, 그래도 그에 대해서 생각은 할 수 있잖소. 물론 내가 사는게 제일 걱정되고 제일 급하다 해도 생각도 못하는 건 아니잖소. 다 같은 사람인데. 


 그 글에서 “가난한 이에게 근성이 없다”고 한 말은, 사실 선진국들이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자주 하는 말이다. 빅토리아 시대때 영국인들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한 말이기도 하고, 지금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도 나오는 말이다. 구조적인 착취, 거기까지 오게 된 역사, 그 역사에 기여한 자기 잘못은 나 몰라라 하고 그냥 ‘네가 그따위니까 그런 거야’로 돌려버린다. 그러면 쉽다. 내 잘못도 아니고, 가난한 건 그 사람이 불성실하다는 증거다. 게다가 그 논리로는 내가 안 가난한 건 내가 성실하고 잘났다는 증거다. 이렇게 일석 다조의 기쁨을 주는 논리다. 나한테만. 


 나도 이기적인 사람이니까 내가 월급 50만원짜리 고졸 유부녀에서 지금까지 온 건 내가 잘났기 때문이고 내가 노오오오력을 이빠이 해서라고 말 하고 싶은 충동 있다. 그랬다면 내 글의 톤은 많이 달라졌을 거다. 그리고 아무런 의미가 없었을 거다. 상대방을 이해 못하고, 하려는 마음도 없고, 자신이 운 좋았던 상황을 이해 못하고, 이래저래 도움을 준 사회의 세팅과 특혜를 무시하고 개인의 성공으로만 쓴다면, 그 정도로 자기애 필터가 강한 사람의 메시지는 단 하나밖에 없기 때문이다. 


 나나나난나난난나난ㄴㄴ나나나나나나나나나나나나나~~~ 오마이갓 아임 퐌타스틱!!


페북 원글 링크 

매거진의 이전글 가난한 이들에게 근성이 부족하다 욕한 당신에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