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윤배 May 26. 2022

울릉도의 오래된 미래, 울릉손꽁치어업

울릉도 손꽁치어업의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을 바라며

울릉도에서는 매년 5~6월이면 특별한 어업 활동이 펼쳐졌다. 손으로 꽁치를 잡는 이른바 손꽁치어업이다. 꽁치는 우리나라 동해, 오호츠크해, 일본 연안에서 미국 연안에 이르는 북태평양 해역 등의 수심 30m 이내에 주로 분포하는 냉수성 근해 회유 어류로, 우리나라에 회유해 오는 어군은 겨울에는 동중국해, 일본 남쪽 바다에서 월동하다가 봄이 되면 동해안으로 올라와 산란하고, 더 북쪽으로 이동하였다가 가을이 되면 다시 남쪽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울릉도 근해에서는 통상 5~6월이 산란기이다.


꽁치의 수명은 약 3~4년으로, 2년차부터 산란하며 산란기 동안에 약 1,500~9,000개의 알을 낳는다. 꽁치는 산란할 때 해조류 등 바다에 떠다니는 물체에 몸을 비비면서 알을 낳는 습성이 있는데, 알에는 약 20여개의 털이 돋아 있어 해조류나 표류물에 잘 달라붙는 특징과 관련된다.



울릉도에서는 이러한 꽁치의 산란 습성을 이용하여 몰이라 불렀던 모자반과 같은 해조류를 활용하여 울릉도 연안에서 손으로 꽁치를 잡아왔다. 울릉도 연안에서 꽁치가 산란하는 6월 전후는 울릉도에서 연중 바다 날씨가 가장 좋은 계절이다.


손꽁치 어업은 손이 배위에서 충분히 물속으로 들어갈 수 있어야하기에 조그마한 선박이 필요하다. 울릉도에서는 3~4명 탈 수 있는 목선인 강고배 혹은 떼배가 활용되었다. 꽁치를 유인하는 해조류 또한 필요하다. 몰이라 불리는 괭생이모자반 같은 대형해조류가 활용되었다.



손꽁치 어업은 파도와 바람이 잔잔한 날을 살피며 조업 해역을 정했다. 북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은 댄갈바람, 댄갈청풍이라 불렀고, 남서풍은 갈바람, 동남풍은 동갈바람, 을진바람, 그리고 서풍은 청풍이라 불렀다. 청풍은 울릉도 지역에서만 부르는 독특한 바람 이름이었다.


조업 해역에 도착하면 새끼를 꼬아 만든 줄로 몰을 묶고 수면에 띄운다. 몰을 긴 줄과 짧은 줄로 연결해 짧은 줄은 배 가까이에, 긴 줄은 배에서 멀리 하여 몰을 넓게 펴는 것도 중요하다. 이때 물 흐르는 방향을 고려해 몰이 배 밑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닻줄을 이용하여 배 방향을 조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1960~70년대 울릉도에서 왕성했던 손꽁치어업을 기억하는 울릉도 현포 주민 최해관씨(1940년생)는 무엇보다 몰을 잘 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최해관씨는 떼배의 노를 날렵하게 젓는 울릉도 어업사의 산 증인이기도 하다.


몰을 펼친 다음에는 꽁치가 몰 주변으로 몰려올 때 까지 기다림의 시간이 필요하다. 꽁치가 몰려올 때 먼저 한쪽 손의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꽁치를 잡은 다음에 다른 손으로 연신 꽁치를 잡아 배에 건져 올린다. 많이 잡을 때는 3~4가마니는 거뜬했다. 꽁치가 많을 때는 몰이 꽁치 알의 무게에 가라앉기 때문에 가마니를 펴서 몰 대신에 활용하기도 했다.


(울릉도 손꽁치 어업, MBC뉴스, 1987.6.3)

https://imnews.imbc.com/replay/1987/nwdesk/article/1791338_29505.html


이렇게 잡은 꽁치는 그물로 잡은 꽁치에 비해 껍질을 벗겨 바로 먹을 정도로 신선도 면에서 매우 우수했고, 그물로 인한 해양쓰레기 문제 혹은 타 어종의 어획 문제가 없어 매우 친환경적인 어법이었다. 울릉도에서는 손꽁치로 젓갈을 담그거나 꽁치를 말려 갈아 육수처럼 국에 넣기도 했으며, 꽁치 완자를 만들어 미역국에 넣기도 했다. 꽁치젓은 멸치젓에 비해 굉장히 깊은 맛이 우러나 울릉도 김장젓은 전부 꽁치젓갈이었다.


하지만 무엇보다 울릉도 주민에게 손꽁치는 춘궁기를 견디는 구황 수산물이었으며, 가축이 적은 울릉도에서 축산물을 대신하는 최고의 단백질 공급원이었다. 손꽁치는 과거 울릉도의 주식이었던 보리가 익어 수확하기 직전에 통상 조업이 시작됨으로써 울릉명이, 부지깽이와 같은 봄의 산채나물처럼 배고픈 울릉도 주민의 허기를 달래는 구황 수산물이었다. 울릉도의 봄의 허기를 달래는 바다의 선물이었다.


1961년 울릉군 통계자료에 따르면 울릉도의 주요 수산물은 오징어(5,646톤), 명태(747톤), 미역(359톤), 꽁치(317톤)로 꽁치는 오징어, 명태와 함께 주요 어종이었다. 그러나 그 많던 꽁치는 이제 울릉도 주변의 아열대화와 함께 서서히 자취를 감추고 있다. 우리나라 연근해 꽁치 어획량 또한 1970년대 연평균 29,022톤에서 2010년대 연평균 1,449톤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늦봄 울릉도 바다를 누볐던 손꽁치어업 또한 거의 자취를 감추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제슬로푸드협회에서 점차 잊혀져가는 음식문화유산 보전 차원에서 울릉손꽁치를 지난 2014년에 맛의 방주로 지정하였으며, 울릉군에서는 슬로푸드 울릉지부와 연계해 다양한 음식문화 보전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경상북도와 울릉군에서는 울릉도 손꽁치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신청해 어업기술과 어업문화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어업인의 고령화, 우리 세대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아열대화라는 바다 환경변화 앞에서 해양수산인의 적응이 요구된다. 그 과정에서 울릉도만의 독특함과 색깔을 잘 찾는 것이 중요하다. 고령화된 어업인은 걸어 다니는 울릉도의 자연사 박물관이다.


너무도 울릉도다웠고, 너무도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보여줬던 울릉도 손꽁치어업. 손꽁치어업의 시대적 재해석을 통한 새로운 문화자원 창출이 필요하다. 울릉도의 오래된 미래, 울릉도 손꽁치어업의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을 희망해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