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팬티바람 May 22. 2024

상처

반대말은 흉터

어렸을 때 나는 여느 아이들과 같이

콧물 찍찍 흘리며 뛰어다니는 개구쟁이였다.

넘어져서 피가 나도 나뭇잎으로 쓱쓱 닦고

다시 뛰어놀곤 했는데 그때 당시 집에 오면 부모님이 나의 몸을 확인하고

약을 발라주시는 게 하나의 루틴이었다.


유독 자주 다쳤던 부위는 무릎이었는데

상처가 마를 날 없이 까지고 또 까져서

결국 놀이터를 벗어날 나이쯤이 되어

다 나았던 것 같다.

그때는 바지에 쓸려 늘 무릎팍이

따끔따끔했었다.

 

지금도 그 자리는 희미하게 피부색이 다르다.

우리는 그걸 흉터라고 부른다.


모든 상처는 그런 것 같다.


그럴싸하게 다 나은 것 같아도

가까이서 유심히 보면 희미하게 보이는,

통증은 없지만 이따금씩 거울을 보면

20년을 훌쩍 되돌아가 타임머신을 타고

놀이터에 있는 내가 보인다. 


거울 속 무릎은 아파 보이지만

거울 밖 나는 아무렇지 않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고마운 사실은

시간은 계속 흐른다는 점이다.

시간은 약이 된다.


나는 그저 상처를 잘 가리고 약을 바를 뿐

가끔 잊었을 때 챙겨주는 사람이 있거나

그리고 넘어지기를 바랄 뿐.

작가의 이전글 노잼시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