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재석 Jan 23. 2017

[텐센트 보고서] (1)전환점에 선 중국 인터넷

중국 인터넷 기업의 미래 5년…한국 기업에 주는 제언

원아시아 추정남 기자가 쓴 글을 브런치에도 소개합니다. 



2017년. 텐센트가 어김없이 ‘중국 인터넷 미래 5년 추세 백서’를 냈습니다.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텐센트, 바이두, 알리바바 임원들부터 시작해 최근에 급성장하고 있는 디디추싱, 쥐메이요핀, 즈후, 58동청 등 기업의 CEO… 그리고 중국 투자의 아버지라 불리는 전거지진의 쉬샤오핑등 거물 투자자들까지 머리를 맞대고 중국 인터넷의 미래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중국 인터넷 미래 5년 추세 백서 저자 명단


방대한 양이라 중국인인 왕핑핑 기자와 논의하면 정리한 뒤 한국인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요약하고 다른 보고서 내용이나 기사 내용이 있으면 첨언도 했습니다.


중국 관련 사업을 하는 분들은 중국 인터넷 시장을 모르고는 어떤 것도 할 수 없습니다.


첫번째 이야기: 중국 인터넷 미래 5년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를 필두로한 중국 인터넷 시장의 미래 5년을 전망한다면 한마디로 “분수령”이라고 말하고 싶다. 큰 변혁을 앞두고 무엇인가 큰 한방을 터뜨릴 수 있는 것들이 스물스물(?)올라오는 시기라는 뜻이다.


중국 인터넷 사용자는 이미 최고점을 찍었으며 ‘스마트폰 혁명’과 같은 시장을 전복할만한 기술이 나오지 않는 한 더이상 인터넷 시장의 상승기는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전복할만한 기술’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AI’’VR’’AR’ 등을 꼽고 있지만 아직은 명확한 그림은 나오지 않고 있다. 하지만 분명 ‘AI’’VR’’AR’ 등과 연관된 기술이 이런 토대를 만들고 있으며 인터넷 산업 또한 이 ‘전복할만한 기술’이 나오면서 또 다른 시장을 만들고 성장할 것이다.

이미 인터넷 사용자의 ‘쪽수’는 포화상태다.

2009~2016년 글로벌 인터넷 이용자 증가 추세


세계적으로도 지난해는 이미 47%의 사람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선진국이 81%(10억), 개발도상국이 40.1%(25억명), 후진국이 15.2%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도 별반 다르지 않다.


2009~2016년 중국 인터넷 이용자 증가 추세


중국의 인터넷 인구는 지난해 6월 7억 1000만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중국인구의 51.7%다. 특히 이들중 90%이상은 모바일 인구다. 성장공간이 크지 않다는 의미다.


우리가 기억해야할 부분은 여기부터다.


이런 환경 속에서 (인터넷과 연관된)큰 기업들과 스타트업들은 미래 5년을 어떤 큰 기조속에서 움직여야 할까? 크게 4가지다


1. 지금 상태에서 새롭게 트래픽을 만든다는 것은 힘들다. 사용자가 이미 한계점에 와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트래픽을 만든다해도 큰 파이를 먹기는 힘들다. BAT만해도 이미 자기의 분야들이 확고하게 만들어졌다.

BAT의 인터넷 생태계 확장 현황


새롭게 인터넷 사용자들 끌어들이기 보다는 기존 고객들이 더 많은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예를 들면 텐센트는 위챗 사용자들을 본인들의 전자상거래몰이나 의료건강플랫폼으로 확대될 수 있는 작업을 하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다.


2. 하지만 공격적으로 새로운 인터넷 사용자들을 모으기 위해 나갈 수 있는 부분도 있다. 바로 바다를 건너가는 것이다. 아마도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 쪽으로 새로운 사용자들을 모으기 위해 나갈 것이라고 본다. 또 중국의 3~4선 도시로 이동할 것이다. 이들 도시에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는 이미 깔려져 있지만 사용자들은 아직 최고점에 다다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기억해야 할 것은 마니아 시장이다. 코스프레같은. 마니아 시장은 새로운 사용자들을 모을 수 있다.


3. 기존 인터넷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금전적 가치는 이미 최고점에 다달았다. 기술적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는 서비스가 없다면 그 금전적 가치를 높일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최근 나온 텐센트의 미니앱(샤오청쉬)는 바로 이 점을 노렸다고 볼 수 있다. 하루에 3~4시간 웨이신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갑자기 7~8시간 사용자로 늘릴 수 없다. 가능하다면 바로 이런 기술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것이다.


# 텐센트의 미니앱(샤오청쉬)이란? 위챗 미니앱은 2015년 말 구글이 내놓은 앱 스트리밍(App Streaming)과 유사한 개념으로, 별도의 앱 다운로드 없이 QR코드 스캔이나 검색을 통해 상품 구입, 예약, 스케쥴 관리, 설문조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가벼운’ 앱이다. 서비스와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하나의 새로운 방식이자 기존의 공중 계정뿐만 아니라 위챗의 모든 서비스를 사용자와 더욱더 긴밀하게 연결해줄 수 있는 위챗 네트워크의 중심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4. 큰 기업들이 새로운 변혁을 하려면 기존 중점 산업에서 세력을 넓히는 방향으로, 즉 생태계를 만드는 방향으로 확장해야 한다. 하지만 작은 기업이라면 반드시 ‘전문화’를 방향으로 잡아야 한다.


인터넷 기업들이 반드시 하지 말아야 할 전략도 있다.


1. 가격전쟁이다. 마윈이 아니라면 가격전쟁은 짚을 들고 불속으로 뛰어드는 것이다. 이미 상당수 산업은 거대 기업이 메인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과 가격전쟁을 한다고 했을 때 승산은 0이라고 봐야한다.


2. 팝업창을 통한 마케팅이나 판매전략은 권하지 않는다. 중국의 소비자들은 똑똑해졌다. 이것이 광고글인지 아닌지, 나를 속이려 하는건지 아닌지 금방 알아챈다. 잘나가는 컨텐츠 위해 팝업식으로 여기저기 광고를 나오게 하면서 클릭을 유도하는 식의 전략은 더 이상 매력이 없다


3. 강제적인 마케팅은 안된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미 자기 취향이 뚜렸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출시할때 제조사들은 이미 자사와 관련된 앱을 깔아 출시한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그게 깔려있다고 사용하지는 않는다. 자기가 필요한 것만 쓰기 때문이다. 즉, 힘들여 깔아놓은 들 큰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오히려 역효과라는 사람들도 있다.


4. 세트판매모델은 지양해야 한다.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비방향은 세분화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내가 사고 싶은 A제품과 별로 사고 싶지 않은 B 제품이 세트로 나온다면 사지 않을 확률이 크다. 세트제품의 가격이 싸다한들 A제품 단독으로 나오는것보다 싸지 않을 것이며 A제품만 단독으로 상품이 나오는 플랫폼도 많기 때문이다.


인터넷 기업에게 앞으로는 5년은 아마도 안갯속일 것이다. 하지만 이 안갯속을 지나면 분명 새로운 인터넷 산업이 펼쳐질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안개구간을 안전하게 지내야 한다. 지금 만약 중국과 인터넷이라는 키워드로 창업이나 사업을 5년내에 준비한다면 반드시 공략해야 할 지점이 4가지 있다.


1. 기술+ : 5년후 인터넷과 관련된 산업에는 인공지능이라던지 빅데이터의 응용이라던지 클라우드컴퓨팅 같은 대표적인 신기술이 융합된 ‘기술+산업’이 되던지 ‘기술+제품’이 되야한다. 물론 가장 좋은 건 ‘기술+제품+비즈니스모델’이 같이 나오는 것이다.


2. 시장+:시장자체가 업그레이드 될 수 있는 시장을 노려야한다. 예를 들어 택시나 버스 같은 운송시장은 업그레이드 되면서 택시를 불러서 쓰는 ‘디디다쳐(카카오택시)’서비스가 나왔는데 이런 시장자체가 업그레이드 된 곳으로 가야한다. 그리고 이 업그레이드 된 시장에서 다수를 위한 서비스가 아닌 소수를 위한 서비스를 해야 성공확률이 높다. 예를들면 최근 중국 출장갔을때 부른 션저우 쫜처의 경우 고급택시서비스인데 쫜처(차를 대여하는)시장에서도 고급서비스가 성장가능성이 높다. 션저우쫜처를 탓을 때 기사들이 단정한 옷을 입고 껌을 씹지 않고 차안에는 간식이 있었던걸로 기억난다.


중국 시장에서 성공한 100대 브랜드를 보면 음식관련이 많은데 중국인의 1인당 소비수준이 올라면서 의식주 중 ‘식’에 쓰는 돈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브랜드들을 찬찬히 살펴보면 예전에는 ‘00식품’이라고 해서 이것저것 파는게 많았는데 대부분 000아이스크림, 000생과일쥬스 등 아주 세분화돼있다.


결론을 내리자면, 시장자체가 업그레이드된 시장을 타깃으로 하면서도 세분화된 고객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사업을 해야 승산이 크다는 이야기다.


3. 테이터+ :사용자의 마음을 알려면 데이터가 필요하다. 내가 디디다쳐를 사용한 고객이라야 이런 출행서비스(운송수단과 관련한 서비스)를 사용할 확률이 높다. 내가 사업에 성공할 확률을 높이려면 반드시 고객 타깃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테이터는 필수다.


4. 창업+: 창업을 하려면 큰 기업의 우산밑으로 들어가라고 권한다. 그들 기업의 전략이나 서비스와 연동되는 서비스를 기획하면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의미다. 그만큼 인터넷 시장에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BAT등 거두의 영향력은 크다. 연관이 있어야 그들도 협력하고 투자한다.


나온지 한 시간된 따끈따끈한 그래프다.


중국 인터넷 유니콘 기업 현황. 500억 달러이상의 가치에 알리페이를 운영하는 앤트파이낸셜 그룹이 랭크돼 있다.


지난 2016년 중국 인터넷 관련 유니콘 기업은 71개사다. 총 3516억달러의 기업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65%가 BAT와 관련이 있다.


100억이상 7개회사 蚂蚁金服(알리페이) 小米(샤오미)、滴滴出行(디디추싱)、陆金所(루진수어)、新美大(신메이따)、众安保险(중안바오시엔)、大疆科技(DJI)중 DJI를 제외하고는 모두 BAT와 관련있다. 샤오미도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간접적인 투자 관계다.


50~100억사이 기업 9개 今日头条(진르토우이타오)、菜鸟网络(차이우왕루어)、京东金融(징동진롱)、链家网(렌지아왕)、口碑网(코우삐왕)、微众银行(웨이중인항)、魅族(메이주)、威马汽车(웨이마치쳐) 중 8개는 BAT관련이다.


그들의 생태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가장 가능성 높은 성공 방법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은 중국을 모른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