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테판 츠바이크 저, ‘체스 이야기’를 읽고
이길 수도 있었을 체스 한 판
슈테판 츠바이크 저, ‘체스 이야기’를 읽고
우둔해 보이고, 이마가 넓으며, 어느 것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아 시키는 일을 제외하고는 텅 빈 눈으로 허공을 우두커니 쳐다보며 방에 앉아 있는 게 전부여서 도대체 커서 무슨 일을 할 수나 있을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한 아이가 있었다. 도나우강에서 돛대도 없는 작은 배를 운항하며 겨우 생계를 유지하던 슬라브 남부 출신 선장의 아들이었다. 그는 사고로 아버지를 잃은 후 어느 착한 신부와 함께 살게 되었다. 신부는 그를 교육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했지만, 그의 무능력과 무관심은 시간이 갈수록 확실해졌다. 어느 날, 신부가 지방경찰과 체스를 두고 있는데, 그 소년은 말없이 그들 옆에 웅크리고 앉아 무거운 눈꺼풀을 끔뻑거리며 체스판을 응시하고 있었다. 전화가 한 통 걸려오고 신부는 자리를 일어나야만 했다. 끝내지 못한 체스는 다음을 기약해야 했다. 바로 그때였다. 자리에서 일어난 신부를 대신하여 체스를 두다가 열네 번 체스 말을 주고받은 후 소년은 지방경찰을 이겨버리고 만다. 나중에 신부가 돌아와 소년과 겨루었지만 같은 결과였다.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은 아이가 체스 천재로 거듭나는 순간이었다. 그 소년의 이름은 미르코 첸토비치. 한때 세계 체스 챔피언을 거머쥐었던 인물의 이름이다.
바로 그 미르코 첸토비치가 세계 챔피언이 되어 현재 뉴욕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로 가는 배를 타고 있다. 우연히 그 배를 탄 슈테판 츠바이크인 듯한 화자는 그가 몹시 궁금했다. 그에게 다가가고 싶었지만 폐쇄적이고 미성숙하고 체스 밖에 모르는 그에게는 그럴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묘안을 생각해 낸다. 배 한 편에서 체스를 두어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궁극적으로 미르코의 발걸음을 유도하는 것이었다. 작전은 성공한다. 미르코가 제 발로 찾아온 것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저자는 한 미지의 인물을 등장시킨다. 미르코와 대비되는 작품 속 또 다른 주인공인 이 인물은 오스트리아 출신이자 정부 인사에 깊숙이 관여했던 변호사였고, 나치가 강제수용소 대신 그로부터 비밀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게슈타포의 군사사령부로 쓰였던 한 호텔 방에 감금했던 자였다. 그 호텔 방은 책, 신문, 종이 한 장, 연필 한 개 없이 문 하나, 침대 하나, 안락의자 하나, 세면대 하나, 창살이 있는 창문 하나밖에 없는 완벽한 진공상태의 공간이었다. 게슈타포의 심문은 참을 만했으나 호텔 방 안에서 가만히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무위의 시간은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다. 어느 심문받는 날, 그는 운 좋게 게슈타포의 옷에서 책 한 권을 훔쳐 방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그 책은 소설이나 에세이가 아닌 150편의 챔피언 시합을 모아 둔 체스교습서였다. 체스에 관해 상식 이상 관심이 없던 그는 풀뿌리라도 잡는 심정으로 그 책을 보고 또 본다. 모조리 다 외우고, 머릿속으로 혼자 체스를 둘 수 있는 수준이 될 때까지 말이다. 덕분에 게슈타포의 지속적인 심문에도 온전히 정신을 붙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길어지면서 그는 내면의 붕괴를 겪게 된다. 그는 흑을 잡은 자아와 백을 잡은 자아로 분열되어 서로의 의도를 알아내기 위해 애써야 했고, 동시에 들키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사태는 점점 심각해져 급기야 정신분열 증상을 보이게 되었다. 그리고 병원으로 실려가게 된다. 그는 병원에서 착한 의사를 만났고, 그 덕분에 오스트리아 추방 동의서에 서명을 하고 미국으로 건너온 것이었다. 그리고 마침 화자와 미르코와 같은 배를 타고 아르헨티나로 가는 길이었던 것이다. 그 역시 체스판에 기웃거리다가 화자가 속한 팀이 미르코에게 막 지고 있을 무렵 기막힌 훈수를 두었고, 덕분에 화자 팀은 게임에서 패배하지 않을 수 있었다.
미르코를 체스판으로 유인하는 데 성공한 화자는 이 미지의 인물에게 관심이 갔고, 미르코와 시합해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길일 수 있다는 운명 같은 기분을 느낀다. 그래서 그를 찾아가 미르코와의 대결을 부탁한다. 딱 한 판 만이라는 단서를 달면서 말이다. 그는 자기가 과거에 병원으로 실려갔던 원인, 즉 정신분열증, 공황, 극심한 스트레스 등에 다시 노출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로 합의를 하고 다음 날을 기약한다.
다음 날, 미르코와 미지의 인물과의 대결은 흥미진진하게 펼쳐지고 세계 챔피언 미르코는 이 인물에게 패배를 경험한다. 미르코는 한 판 더 두자고 제안한다. 이 미지의 인물은 본인이 딱 한 판 만이라고 선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덥석 그 제안을 승낙해 버린다. 그러나 그다음 판에서 미르코의 느리디 느린 게임 진행 속도 때문에 조급해진 그에게는 과거의 정신분열증과 공황 증상이 온몸에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유일한 사람이었던 화자는 그에게 게임을 그만두라고 조용히 말한다. 다행히 그는 화자의 말을 받아들이고 유유히 자리를 떠난다. 체스판 앞에 남은 최후 승리자 미르코는 여전히 느리지만 떠난 인물의 체스가 꽤 나쁘지 않았다고 말하고 아마추어치고는 비범한 재능을 지닌 사람인 것 같다고 여유 있게 칭찬한다. 그리고 작품은 끝을 맺는다.
마무리랄 게 없이, 끝나지 않은 이야기인 것 같은 느낌으로 끝을 맺는 이 작품은 소설이 아닌 '노벨레'라는 형식으로 쓰였다고 한다. 노벨레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신기한 사건을 간결한 묘사방식으로 재현한 비교적 짧은 산문 또는 운문 형식'이다. 해설에 적힌 이 문장을 읽고 나는 이 작품이 비로소 손에 잡혔다. 작품의 줄거리를 충분히 파악했는데도 불구하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이것저것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문학작품에 대한 해석은 제2의 저자인 독자의 재량에 전적으로 달려있다는 말을 100퍼센트 수긍하진 않는 나는 여전히 저자의 의도가 궁금했다. 왜 슈테판 츠바이크는 이 사건을 허구를 가미하여 글로 남긴 걸까?
작품이 어디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지가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미지의 인물의 등장으로 미르코가 곤란함을 느끼게 된 장면도 의미가 있겠지만, 그것보다는 그 곤란함에도 불구하고 최후의 승리자는 여전히 미르코라는 사실에 이 작품의 방점이 있는 것 같다. 미지의 인물은 세계 챔피언에게 잽 한 방을 먹여 아주 잠시 충격을 줄 수는 있었지만 궁극적으로 승리자의 위치에 서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여유롭게 보일 정도로 느릿느릿한 미르코의 행동 앞에서 초조하고 긴장하여 다시 과거의 정신분열과 공황을 경험하게 되면서 서둘러 기권으로 게임을 포기해야 했다는 점에 나는 주목한다.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의 강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도 세계 챔피언에게는 계란으로 바위 치는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에 저자의 메시지가 숨어 있다는 생각이다.
나치의 영향력을 피해 브라질로 망명해 1942년 자살로 생을 마감한 슈테판 츠바이크의 마지막 작품이기 때문일까. 그는 자신의 모습을 이 미지의 인물에게 투영했던 건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미르코는 나치이자 히틀러의 분신이 아니었을까. 그렇다고 해도 나는 못내 아쉽다. 몇 년만 더 기다렸다면 그 강력했던 히틀러가 먼저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사실을 뉴스로 알게 되었을 텐데 말이다. 게다가 슈테판 츠바이크의 독자들은 또 다른 모습으로 진화한 츠바이크의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를 맞이했을 수도 있었을 텐데 말이다. 아… 체스에서 승리하는 방법은 게임에서 이기는 것만이 아니라 체스를 두는 사람이 먼저 죽어버리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누군가가 츠바이크에게 말해주었더라면! 아쉽고, 또 아쉽다. 위대한 작가를 잃었다는 건 인류의 큰 손실일 것이기 때문이다.
* 슈테판 츠바이크 읽기
1. 감정의 혼란: https://rtmodel.tistory.com/1608
2. 환상의 밤: https://rtmodel.tistory.com/1615
3. 도스토옙스키를 쓰다: https://rtmodel.tistory.com/1625
4. 과거로의 여행: https://rtmodel.tistory.com/1652
5. 체스 이야기: https://rtmodel.tistory.com/1797
#세창미디어
#김영웅의책과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