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opofilm Jun 08. 2021

[넷플릭스] 새콤달콤 (2021)

새콤달콤한 맛은 도대체 어디에? (채수빈/장기용/크리스탈/넷플릭스 영화)

영화 <새콤달콤> 정보

감독: 이계벽

출연: 채수빈, 장기용, 크리스탈

개봉: 6/4 (넷플릭스)

장르: 로맨틱코미디, 로맨스

러닝타임: 102분

현실 단짠 로맨스(?)

 비정규직 간호사 '다은(채수빈)'은 황달로 입원한 공대생 '혁'에게 유일하게 친절하게 대해주는 인물이다. 혁은 자신을 챙겨주는 다은을 사랑하게 되고, 순수한 애정 공세에 다은도 조금씩 마음을 연다. 퇴원한 그는 다은을 다시 못보게 될 거란 생각에 좌절하지만, 어렵게 연락을 취하게 되면서 '간호사-환자'로 만난 인연에서 연인으로 발전한다. 혁은 다은에게 굉장히 헌신적이었고, 살집 있는 몸매에서 다이어트에도 성공하고 대기업 파견직 사원으로도 발탁되며 승승장구한다. 달콤한 연애를 하고 있던 두 사람이지만, 혁이 바빠짐에 따라 만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권태기에 접어들면서 다은과 혁의 관계는 점차 나빠진다. 그리고 혁 앞에 나타난 회사 동료 '보영(정수정)'의 새콤한 매력 탓에 혁은 점점 다은과의 연애에 집중하지 못한다. 이렇게 파국으로 접어든 커플의 관계 속에서 영화는 말미에 놀라운 반전을 선사한다.

2000년대 로맨스 소설 원작, 구시대적 설정

 <새콤달콤>은 일본의 연애소설 '이니시에이션 러브'를 원작으로 만들어진 로맨스 영화다. 원작이 2000년대 작품인 탓일까. 2021년 영화로 보기에는 굉장히 올드하고 전형적인 속성들이 많다. 순박하고 숙맥인 공대오빠와 예쁘고 매력있는 간호사와의 로맨스. B급 로맨스 만화 설정이 느껴지는 영화 초반부의 구성은 이런 스토리의 영화가 아직까지도 나온다는 사실에 한숨을 불러일으킨다. 오빠 소리 못 들어서 환장한 귀신이 붙었나? 그 놈의 오빠 소리에 설렌다는 설정은 도대체 언제까지 나오는 건지...퇴원 후 '혁이오빠'가 다은을 찾기 위해 핸드폰 번호를 캐내서 전화를 거는 장면은 사실상 범죄다. 그런데 전화를 받고 당황하기는커녕 집으로 오라는 다은의 태도는...현실감각이 많이 떨어지는 내용이다.

새콤하고 달콤하지도 않다, 이래서 하이퍼리얼리즘 연애인가?

 그래도 초반에 '장기용'이 등장하기 전 파트의 로맨스는 B급 감성을 감안하고 보면 나름대로 귀엽다. 하지만 장기용이 등장하고, 채수빈과 정수정 사이를 오가는 아슬한 관계 속 균열들이 나타나며 이야기는 씁쓸함과 지루함만을 남긴다. 결말에 뒤통수를 칠 만한 반전을 선사하기 위해 중후반부의 내용을 포기한 건가 싶을 정도로 멕이 빠진다. 도대체 어떤 부분에서 '새콤달콤'함을 말하고 싶은 건가 의문이 들다가도, 새콤달콤한 연애를 원함에도 현실의 찐연애는 씁쓸하고 하루하루가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의도를 반영한 것인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물론 단순히 현실연애의 씁쓸함만을 반영했다고 하기에는 '장기용'이 맡은 '장혁' 캐릭터가 너무 쓰레기처럼 비춰져 혁과 다은의 연애가 유독 최악인 것처럼 보인다. 모두의 연애가 이들처럼 끔찍하게 끝나는 건 아닐테니. 

채수빈의 인상적인 연기, 그럼에도 아쉬운 캐릭터

 잘생긴 외모의 '장기용'과 천덕꾸러기 같은 면과 새침한 면을 동시에 보여준 '정수정'의 연기도 좋지만, 새콤함과 달콤함의 매력을 가장 절묘하게 표현한 '채수빈'의 연기가 제일 인상적이었다. 영화 초반의 애교 섞인 모습부터 중반부의 달콤한 연인의 모습까지. 특별한 임팩트는 없더라도 영화의 중심을 탄탄하게 잡아준다. 

 하지만, '채수빈'의 훌륭한 연기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다은'이라는 인물에게 너무나 불친절하다. '다은'은 영화에서 시종일관 피해자로 그려진다. 남자친구인 '장혁'은 다은에게 매일 같이 거짓말을 하고 연애의 권태기를 표현하지 못해 안달이며 임신과 낙태까지 겪게 한다. 그럼에도 다은을 옆에서 챙기기는커녕 일을 핑계로 보영과 함께 하고, 다은에게 소홀히 대한다. 이러한 장혁의 태도 앞에 다은은 어떻게 하는가. 다은이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은 영화 속에 1도 담겨져 있지 않다. <새콤달콤>이 철저하게 남자주인공의 시선에서만 영화를 전개하고 두 여성 캐릭터는 주제를 어필하기 위한 수단으로 밖에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말의 반전은 쓰레기 같은 남성 '장혁'을 징악함으로써 관객에게 카타르시스를 선사하게끔 한다. 하지만 영화는 '다은'의 시선을 전혀 그려주지 않았는데, 단순히 자신을 사랑해주는 다른 남자를 만났다는 것만으로 관객이 느꼈던 불쾌함이 해소가 되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엔딩 크레딧이 내려갈 때까지 관객이 통쾌함을 느낄 수 없다는 게 바로 그 이유다.

작가의 이전글 [영화 리뷰] 크루엘라 (202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