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소평변호사 Mar 31. 2023

보증보험계약, 보증계약, 주채무 채무부존재확인소송

법과 생활 민사소송

- A가 2017. 9.경 B 회사로부터 공사 하도급약정

A가 C 보증보험회사와 이행보증보험계약체결하고 보증보험증권발급받아 B에게 지급            

A는 공사 지연 중 2018. 1.경 B 회사에 공사포기각서를 작성하여 지급            

B회사는 A의 공사포기를 이유로 C 보증보험회사에 대해 보증금지급청구            

A는 2019. 1.경 C 보증보험회사에 대해 B 회사의 보증보험금 청구가 부당하다는 이유로 이의제기        

A는 2019. 2.경 C 보증보험회사가 A의 요구에 의해 B 회사에 대해 보증보험금 지급을 보류하고 있는 상태임을 감안하여 B회사를 상대로 공사하도급 약정에 기한 채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확인소송제기            

1심 : 원고 A 승소판결 : A의 B에 대한 채무부존재 확인

2심 : A의 확인청구는 B 회사와 C 보증보험회사간 권리관계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유효적절한 방법이 아니라는 이유로 확인의 이익을 인정하지 않아 각하


1 확인소송에서 '확인의 이익'의 의미                                           

확인의 소에서 확인의 이익은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의 지위에 현존하는 불안·위험이 있고 그 불안·위험을 제거하는 데 피고를 상대로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일 때 인정되므로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관계를 다툼으로써 원고의 법률상 지위에 불안·위험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면 확인의 이익이 인정된다.


2 주거래계약상의 채권채무의 확인을 구하는 것이 분쟁해결의 유효적절한 방법인지 여부

보증보험이 피보험자와 특정 법률관계가 있는 보험계약자(주계약상의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피보험자(주계약상의 채권자)가 입게 될 손해의 전보를 보험자가 인수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손해보험으로서, 형식적으로는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을 보험사고로 하는 보험계약이나 실질적으로는 보증의 성격을 가지고 보증계약과 같은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대법원2012다67559 등 참조).


보증보험에 관한 약정의 경우 보증보험계약의 보험자(C)는 보험계약자가 피보험자(B회사)에게 계약상의 채무불이행 또는 법령상의 의무불이행으로 입힌 손해를 보상할 책임이 있다(상법 제726조의 5).


보증보험계약에 대해서는 보증채무에 관한 민법규정이 적용(준용, 상법제 726조의 7)되고, 보증보험계약이 체결된 경우 보험자의 피보험자에 대한 보험금채무는 보험계약자의 피보험자에 대한 주계약에 따른 채무를 전제로 하고, 보험금이 지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험계약자(주계약 채무자 A)는 피보험자(B회사) 사이의 주계약 채무에 관한 다툼은 보험자(C)의 피보험자에 대한 보험금지급채무에 관한 다툼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러한 경우 주계약 채무자이기도 한 보험계약자(A)는 주계약 채권자인 피보험자를 상대로 주계약에 따른 채무부존재확인을 구하는 것이 분쟁해결의 유효적절한 수단이 될 수 있다.

관련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Wh-d7iSRwb4&list=PLER6tK7dO96cxYhVSKDGnF2anDu87Mw8c


https://www.youtube.com/watch?v=K1c2A7JR4lo&t=242s

https://www.youtube.com/watch?v=c7XWJoCtvDk

https://www.youtube.com/watch?v=fn4Oh13tuLE

https://www.youtube.com/watch?v=TKIDAei-kII&t=54s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