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짱언니 Feb 23. 2017

VIN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차를 사는 사람도 VIN을 확인하겠지만, 차를 생산하는 사람에게도 VIN은 중요하다.

공용으로 쓰는 물품이 있기 때문에 각별히 심여를 기울인다.

차량 등록 번호, 일명 차대번호라고도 하는 이 번호는 차량의 등록시나 차량의 소유권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모든 법적인 사항에 사용된다.

(상품의 바코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차체에 타각(금속에 문자나 숫자를 새기는 것)되어 있는 차대번호와 등록증에 기록되어 있는 차대 번호는 일치해야 한다.

타각은 자동차의 보닛을 열어보면 크로스 맴버나 대쉬 패널부에 부착, 엔진룸 격벽, 운전선 쪽 윈드실드 하단, 앞바퀴 부근의 차체 안쪽, 운전석 도어 프레임 안쪽엔진 룸, 운전석 B필러 하단 라벨, 프레임, 트렁크 룸 예비타이어 보관장소 옆 차체 등에 되어 있다.

정기검사시 등록증에 기록된 차대번호 3곳을 확인하는데, 차량마다 타각이 다르므로 인하여 위조나 변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하고 있다.






알파벳과 숫자를 무작위로 조합하여 만드는 것이 아니라 총 17자리의 숫자와 알파벳으로 구분되며 제일 첫자리는 제조국을 나타내는 알파벳이다.

한국의 경우 k로 시작하고 아시아는 J~R, 유럽은 S~Z (독일 W 영국 S 이태리 Z)로 시작하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숫자 1 4 5 세개를 사용한다.

두번째 자리가 의미하는 것은 제작사

기아는 N,현대는 M(H는혼다를 나타내므로), 대우는 L, 쌍용은 P

벤츠는 D, BMW 는B, 아우디는 A, 포르쉐는 P, 토요타는 T

로 시작한다.

세번째 자리는 차량의 종류를 의미하며 브랜드가 자체적으로 규정하기 때문에 브랜드별로 사용하는 문자나 숫자가 달라진다 

네번째에서 아홉번째 자리는 자동차의 특성(모델, 트림, 보디타입, 안전장치, 엔진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낸다.

열번째 자리는 제작연도를 의미하며,

2001년에 생산한 자동차는 1, 2002년은 2, 2003년은 3으로 표시하여 2009년에는 9로 표시되구요.

2010년에는 알파벳 A로 표시! 

그 후 숫자와 알파벳을 번갈아 사용한다

11번째 자리는 제작 공장을 뜻하는데 브랜드별로 공장마다 부여한 코드를 표시한다.

12번째 자리에서 17번째까지 6자리는 자동차 생산번호가 표시되며, 정비시에 필요한 부품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 차량 리콜 시에도 이 6자리 숫자를 알아야만 확인이 가능하다고 한다.


VIN 확인시                                                                                    

Manufacturer : 영어 그대로 제조회사를 뜻합니다, 
Manufacturer address : 회사의 주소
Product type : 자동차의 종류,승용차인지, 대형인지 등
Make : 브랜드
Check digit : 확인란
Model year : 연식
Plant code : 공장코드
Sequential number : 생산번호                           

를 나타내고 있으니, 참고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원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