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테토아부지 Oct 26. 2023

"이런게 시네마다"…노장의 참회록<플라워 킬링 문>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은 오늘날 주류 영화계에서 ‘시네마’를 표상하는 대표적인 감독으로 여겨진다. 그는 마블 히어로 영화가 열풍일 때 “테마파크”라고 일침을 가했고, 최근 BFI 런던영화제에서 열린 에드가 라이트 감독과의 대담에선 “(영화와 달리) 콘텐츠는 먹고 버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농담조’였지만, ‘진지한’ 영화를 극장에서 봐야 한다는 그의 굳은 신념이 강하게 드러났다.


영화가 굉장히 유장하다. 요즘 영화엔 거의 없는 장편소설 바이브.


스코세이지 감독의 신작 ‘플라워 킬링 문’(19일 개봉)은 “잘 봐, 이게 진짜 영화다”라는 노장의 선언문 같다. 2시간 남짓을 못 견뎌 2배속으로 돌려보고, 그마저도 유튜브로 10분 요약 영상을 보는 시대에 3시간 26분이란 러닝타임만으로 이 영화는 도발적이다. 미국 서부가 배경이지만 총잡이 영웅은 없고, 연쇄살인이 있지만 미스터리도 없다. 


스코세이지는 서부 개척시대에 인디언을 밟고 올라선 미국 자본주의의 민낯을 건조하게 드러내고, 탐욕과 폭력으로 점철된 미국사를 참회한다.


굉장히 나쁜 놈과 나쁜 놈에게 젖어들어 나쁜 짓을 한 놈이다. 생각해보니 둘 다 나쁜 미국 백인놈들이다ㅜ


영화의 배경은 1920년대 미국의 오클라호마. 인디언인 오세이지족은 원래 살던 땅에서 쫓겨나 척박한 오클라호마 북동부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된다. 그런데 이 땅에서 석유가 터지고, 이들은 막대한 부를 얻게 된다. 끈적끈적한 석유가 인디언들의 몸을 까맣게 물들이는 오프닝 장면처럼, 돈 냄새를 맡은 백인들은 ‘홍인종’이라 부르며 멸시하던 인디언들에게 빌붙는다. 주간지 ‘뉴요커’ 출신인 작가 데이비드 그랜의 논픽션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Killers of the flower moon, 국내 발간 제목은 ‘플라워 문’)을 기초로 한 실화 바탕 영화다.


메뉴가 뭐에요


스코세이지 감독의 신구 페르소나인 리어나도 디캐프리오와 로버트 드니로가 동시에 출연한 첫 번째 영화다. 턱을 내민 채 한껏 인상을 쓰지만 속은 물렁하고 아둔한 어니스트 역의 디캐프리오와 겉은 인자하지만 속은 무자비한 삼촌 윌리엄 헤일 역의 드니로는 최선의 연기를 펼치며 스코세이지와 환상의 호흡을 보여준다. 특히 드니로는 ‘킹’이라 불리는 마을의 큰 어른이지만, 실상은 인디언들에게 허무함과 나태함이란 독소를 주입하고 그들의 재산을 가로채는 비열한 악역을 연기했다. 삼촌의 지시로 유산을 노리고 접근한 어니스트와 결혼한 오세이지족 여성 몰리 역의 릴리 글래드스톤이 극의 무게중심을 잡는다. 두 수다쟁이 남자 사이에서 줄곧 침묵을 지키는 몰리의 슬픈 눈은 여운이 길다.


제시 플레먼스가 뭘 해볼 수도 없게 다 짜여져 있더라. FBI 태동은 책으로 보자.


보드빌 극장으로 돌아가 영화 속 영화 느낌을 주는 영화의 엔딩은 파격적이다. 보드빌은 20세기 초까지 미국에서 인기를 끈 버라이어티쇼로 영화가 등장하기 전까지 최고의 엔터테인먼트였다. 요즘에야 전통적인 영화 지킴이로 여겨지지만, 사실 스코세이지 감독은 관습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영화 미학을 개척해 나간 비주류에 가깝다. 미국사를 되짚은 이 영화의 마지막을 영화의 효시였던 보드빌로 마무리하는 엔딩은 침체된 영화의 다음 길을 묻는 노장의 고통스러운 질문 같다. 그가 직접 변사로 나와 고발하는 듯한 장면은 그래서 더 울림을 준디.


인디언 아낙네들의 수다씬


제목인 ‘플라워 킬링 문’은 인디언들의 몰락과 이들을 착취해 부를 축적하는 백인들을 은유하는 말이다. 5월에 핀 키 큰 꽃들이 빛과 물을 독차지해 4월에 피었던 꽃들은 생명력을 잃고 땅에 묻힌다. 그래서 오세이지족은 5월을 ‘꽃을 죽이는 달(플라워 킬링 문)’이라고 불렀다.

작가의 이전글 '전우치' 그리고 '천박사…강동원표 프랜차이즈 탄생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