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지식의 차이는 그 유효기간의 유무이다!
지혜와 지식의 차이
나는 매일 새벽에 전철 타는 시간보다 약 20분 먼저 역에 도착하여 근처 마켓에서 내림 커피로 아메리카노를 한잔 사 들고 역 주위를 산책하면서 새로운 날이 시작되는 새벽에 내가 어떻게 늙어 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백영옥 소설가가 말했듯이 인간은 세월이 가면 변하는 것이 섭리라면, 좋은 쪽으로 많이 변했으면 좋겠다 싶다.
공자께서는 사람은 다음 네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으며,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이 상급이고, 배워서 아는 사람이 그다음이고, 곤경에 처해서 배우는 사람은 또 그다음이며, 곤경에 처해도 배우지 않으면 하급이 된다."라고 말씀하셨다.
1) 생이지지(生而知之): 태어나면서부터 아는 사람
2) 학이지지(學而知之): 배워서 아는 사람
3) 곤이학지(困而學之): 곤경에 처해야 배우는 사람
4) 곤이불학(困而不學): 곤경에 처해도 배울 생각을 하지 않는 사람
금강경(金剛經)을 새롭게 해석하고 있는 김원수 법사는 지혜를 생이지지로 지식을 학이지지로 빗대어 설명한다. 인간은 누구나 부처님과 같은 지혜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분별 심 다른 말로 탐진치(貪瞋癡) 때문에 그 본래의 참모습을 잃어버렸다는 것이다. 따라서 깨달음이란 전생에서 이미 습득하여서 금생에서는 배우지 아니해도 저절로 깨닫게 되는 인간의 본래의 모습인 생이지지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바, 마치 집안 어른들의 반대로 원치 않았던 이별을 고해야만 했던 첫사랑을 성인이 되어서 다시 만나는 설렘같이 망상 때문에 본의 아니게 헤어져야만 했던 부처님의 마음과 부처님의 지혜를 다시 만나는 감격스러운 순간이다.
인간은 누구나 무엇을 하고자 하는 마음(탐심-貪心), 하고자 하는 일의 속도가 나지 않는다고 조바심을 내고 화를 내는 마음(진심-眞心), 이만하면 되었다는 어리석고 오만한 마음(치심-癡心)을 멸하면 생이지지한 본래의 자기 모습을 찾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득도는 성철 스님같이 위대한 수행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며,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도 깊은 신심만으로 부처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다. 김원수 법사는 이러한 분별 망상을 멸할 수 있는 아주 단순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떠오르는 모든 생각을 부처님에게 바치고 항상 금강경을 수지 독송하면은 모든 분별과 망상은 자연스레 부처님 마음으로 바뀌게 되어서 부처와 같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불교의 수행 방법과는 그 쾌를 달리한다. 불교는 철학이나 명상 수련이 아니라 부처님을 모시는 종교며, 그 부처님은 바깥세상에 형상으로 존재하는 부처님이 아니라 가슴속 깊은 곳에 숨어서 사는 형상 없는 부처님인 우리들의 속마음이다.
그러면 지혜와 지식의 중요한 차이는 무엇인가? 김원수 법사는 그 유효기간의 유무라고 설명한다. 우리가 현재 사는 금생과 태어나기 이전의 전생 그리고 죽은 이후의 내생을 불교의 삼세설이라 하는바, 지혜는 삼세에 통용되는 영원한 진리지만 지식은 그 유효기간이 지나면 반드시 폐기처분해야만 하는 분별이며 망상이다
유효기간이 지난 지식을 신봉하는 행위는 마치 유통기간이 지난 식품을 섭취했을 때 파생되는 독소와 같이 인간을 병들고 죽게 만든다. 나는 조선을 지배한 엘리트 집단인 사대부가 그토록 목을 맨 사대주의와 성리학 등이 유효기간이 지난 지식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이를 사수하다가 결국에는 나라를 통째로 일본제 국주의자 둘에게 갖다 바치고 국민에게 형용할 수 없는 고초를 겪게 했다는 역사적 사실이 지혜와 지식에 대한 명확한 인식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증거라는 생각이다. 재미 소설가 김은국의 말대로 일제강점기에 우리 민족은 우리의 이름을 빼앗긴 것이 아니라 잃어버린 것이다.
원로 스님들이 제자에게 절대 책을 읽거나 공부하지 말라고 가르친 이유는 지식 공부보다는 지혜 공부를 수도의 근본으로 중요시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내 삶의 역사 속에서 품격 있는 죽음을 준비하고 있는 노인의 절실한 화두인 생이지지를 깨닫는 수행 방법은 의외로 단순하다는 사실을 터득했다. 깨달음은 부처님과 선지식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에서 출발한다는 가르침을 진리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를 받아들이느냐 거부하느냐의 차이가 곧 지혜와 지식의 차이를 이해하는 척도가 된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