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승규 Oct 03. 2022

제품의 올바른 마진 정책

제품마다 가격 정책이 다르다

1인 창업은 과거에 경험을 갖고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결국 1인 창업은 내가 상품을 파는 것이다. 그것이 서비스일 수 있고 상품이 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올바른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 정책이 바람직하다.

내가 경험이 있어서 직접 상품을 개발하여 창업을 하는 경우가 있다. 어려운 환경에서 정말 고생을 하여 만든 상품을 만들었는데 어떻게 마진을 높일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무턱대고 마진을 높일 수 없다. 고객은 나의 상품을 사기 전에 이니 많은 곳에서 상품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손익계산서를 보면 상품 판매는 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 순이익이 있다. 그리고 매출에 대한 할인을 감안한 매출 원가가 있다. 매출은 총 매출과 순매출이 있다. 순매출에서 판관비를 제하면 영업이익이다.

상품의 마진은 공급가 대비 판매 가격을  설정한다. 마진은 내가 상품을 사입하는데 들어간 비용과 운영을 하는데 소요되는 제반 비용을 감안하여 마진을 책정하는 것이다.


1인 창업 이후 경험이 보석하면 초기에는 좀 복잡할 수 있는데 올바른 코칭을 통하여 내가 취급하려는 상품에 대한 합리적인 마진을 정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주얼리 상품의 경우를 보자. 저는 90년 롯데면세점에서 MD 팀장을 경험을 했다. 다양한 아이켐마다 적정한 마진이 부어진다. 주얼리는 저가의 실버 보석부터 고가의 화이니 주얼리가 있다. 먼저 천연 보석은 마진이 낮고 패션 주얼리는 마진이 높다


금속 제품의 경우에도 도금 제품은 마진이 높고 14K와 18K 제품은 마진이 비교적 작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1인 온라인 주얼리  창업, 다이아몬드 시뮬런트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