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 Manager란, 비즈니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덕트 설계를 하는 사람이자 프로덕트의 범위를 정하고 서비스가 구현되는데 필요한 스토리보드를 만드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duct Manager에 국한된 전공이나 이런 사람만이 Product Manager가 될 수 있다는 기준은 사실 없습니다. 다만 선호되는 성향은 있을 수 있습니다.
우선 디자인이나 컴퓨터공학, 또는 경영학을 전공했다면 조금 더 수월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모바일과 웹에서 보이는 결과물들을 다루는 직업이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감각이 있으면 고객이 어떤 것을 선호하고 고객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적합한 대안인지 선택하기가 쉽기 때문이죠. 또한 개발 없이 구현되는 서비스가 없다 보니 컴퓨터공학을 전공했다면 조금 더 장점을 발휘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과 개발의 과정과 결과물들이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과 맞게 흘러가고 있는지에 대한 사업성을 판단하기 위해 경영학적 지식이 수반되면 더 수월하게 일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굳이 어울리지 않는 사람을 꼽으라면 성격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귀차니즘과 거리가 먼 사람이어야 합니다. Product Manager는 소통관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귀차니즘'이 일상화된 사람들에게는 권하지 않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duct Manager는 신입을 뽑지 않는다'라는 말은 일부 사실입니다. 왜 신입을 잘 뽑지 않을까요? 현재의 기획 프로세스에서 신입사원의 교육까지 짊어지기에는 현장의 Product Manager들이 여유가 없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직시해야 할 사실은 Product Manager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이며, 신입이 아닌 경력자에게 준하는 전문가 인사이트를 쌓기 위해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를 탐구해야 합니다.
가끔 Product Manager 인턴 포지션이 공고로 나오기도 합니다. 쉽게 나오지 않는 포지션이니 잘 준비해서 지원해 보시길 바랍니다.
Product Manager가 되기 위해 가장 추천하는 스펙은 2가지입니다.
첫째는 '창업'입니다. 이 책을 읽는 분들의 나이, 직업, 성별에 관계없이 창업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창업은 자기 분석 및 환경분석을 통한 아이템 선정, 고객 개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 사업타당성 검토, 자금계획 수립 및 홍보와 마케팅전략 수립, 수익모델 개발 등의 과정을 내포하게 됩니다. 이는 Product Manager가 서비스의 시작과 끝, 이후 운영까지 담당하는 과정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최근 유행하고 있는 스마트스토어는 물론 부업 또는 사이드 프로젝트 등을 통해 가장 작은 시도부터 먼저 진행해 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두 번째는 '실제 서비스 론칭'입니다. 서비스 론칭의 경험은 서비스 기획을 위한 방법론과 나의 핵심고객을 누구로 정의 내릴지, 정의 내린 과객에게 특화된 서비스 메뉴의 구조는 어떻게 되는지, 어떤 툴을 활용해 프로토타이핑을 할지 등에 대한 실무 Product Manager와 대등한 경험값을 가지게 됩니다. 다양한 직무 특강과 앱서비스 론칭 강의 또는 유튜브 강좌를 통해 앱 론칭 프로세스를 경험하여 장벽을 최대한 줄여 보기를 권합니다.